“2024년 11월 22일 “오늘의 말씀 묵상 편지”
“그 고기는 정결한 모든 자가 그것을 먹을지니라.2”
“그러나 그의 제사의 희생제물이 서원이나 자원하는 예물이면 그는 그 희생제물을 드리는 날에 먹을 것이요, 그 남은 것은 이튿날에도 먹되 그 희생제물의 고기의 나머지는 셋째 날에 불사를지니 만일 그의 화목제물의 고기를 셋째 날에 조금이라도 먹으면 그 제사는 열납되지 않을 것이요, 또 그것을 드리는 자에게도 그것이 드린 것으로 간주되지 아니하고 도리어 가증한 것이 될 것이며 그것을 먹는 자가 자기 불법을 담당하리라. 그 고기가 부정한 물건에 접촉되었으면 먹지 말고 불사를지니 그 고기는 정결한 모든 자가 그것을 먹을지니라.(레위기 7:16-19)
('But if the sacrifice of his offering is a vow or a voluntary offering, it shall be eaten the same day that he offers his sacrifice ; but on the next day the remainder of it also may be eaten ; 'the remainder of the flesh of the sacrifice on the third day must be burned with fire. 'And if any of the flesh of the sacrifice of his peace offering is eaten at all on the third day, it shall not be accepted, nor shall it be imputed to him; it shall be an abomination to him who offers it, and the person who eats of it shall bear guilt. 'The flesh that touches any unclean thing shall not be eaten. It shall be burned with fire. And as for the clean flesh, all who are clean may eat of it.)”
임마누엘!!
오늘의 말씀 탐구의 주제는 ‘정결한 자’ 곧 ‘깨끗한 자’(한글 개역개정 성경 번역)입니다.
히브리어 'tahor(타호르)'.‘깨끗한’, ‘순결한(clean, pure)’입니다.
.타호르(형용사)는 타헤르(taher): 깨끗하다, 순수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순수한(pure)‘, ’깨끗한‘, ’정결한(clean)'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94회 나옵니다.
'정금(精金)의 경우처럼 물질적인 의미로, 의식적인 의미로, 그리고 윤리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단어는 더러움, 부정함, 불결, 결함이 없는 것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영적 혹은 의식상의 깨끗한 상태를 묘사할 뿐 아니라 순수한 물질을 묘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금은 흔히 불순물이 없는 물질로 생각되어 왔습니다. 그러므로 언약궤, 분향단, 성전 입구는 정금으로 싸여졌습니다(출 25:11, 출 37:11-26, 대하 3:4). 성전의 어떤 비품들과 기구들 - 속죄소, 등대, 대접, 숟가락, 붓는 병, 쟁반 - 은 '정금'으로 만들어졌습니다(출 37:6, 출 37:16-24). 대제사장의 의복에는 '정금으로 만든 두 사슬'과 '정금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출 28:14, 출 28:22, 출 28:36).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이 죄로 더럽혀지지 않은 영적, 도덕적 순결을 지닐 것을 요구하십니다.
죄에 대해 깨끗지 못한 자는 어느 누구도 하나님의 거부와 형벌을 받게 됩니다. 이 더럽혀짐은 결코 제거되거나 극복되지 못합니다. 죄는 자손들을 대대로 더럽힙니다. 이리하여 욥은 "누가 깨끗한 것을 더러운 것 가운데서 낼 수 있으리이까"(욥 14:4)라고 묻습니다.
이와 반대로 겉으로 보이는 모든 외관에 대해서는 "깨끗한 자와 깨끗지 않은 자며...결국이 일반이니"(전 9:2)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죄인의 우두머리에게도 희망은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라도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시 51:10).
인류의 더럽혀진 본성과 행위와는 매우 대조적으로 "여호와의 말씀은 순결" 하십니다(시 12:6). 여호와는 "눈이 정결하시므로 악을 참아 보지" 못하십니다(합 1:13).
'정결한'이란 말은 다른 사람과의 합니한다. 반대로, 더러움의 제거를 상징하는 의식 절차가 준수되면 정결하게 됩니다.
언약의 백성들은 "사람의 시체를 만진 자는 칠일을 부정하리니"(민 19:11)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제사장은 '골육지친'을 제외한 그의 백성 가운데 죽은 자로 인하여 스스로를 더럽혀서는 안 되었습니다(레 21:1-2). "자기 몸을 구별하여 여호와께 드리는 모든 날 동안은"(민 6:6-7) 대제사장 및 나실인 조차도 이 규례를 완화 시킬 수 없었습니다.
정결 의식은 사람이 죄 가운데서 잉태되고 태어났다는 사실을 강조하였습니다. 비록 임신 및 출산이 비도덕적인 것으로 낙인 찍히지는 않았지만(죽음 그 자체가 죄가 아니듯이), 자식을 낳은 여인은 적절한 정결의식을 행할 때 까지 부정한 상태로 남아 있었습니다(레 12장).
레 15장은 월경중인 여자와 설정하는 남자, 그리고 동침하여 설정한 남자와 여자(레 15:18)에 대한 정결 의식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의식적으로 '정결하기' 위하여 이스라엘 백성은 또한 어떤 동물의 고기를 먹는 것과 심지어 그것을 만지는 것 조차도 삼가야 했습니다(레 11장, 신 14:3-21).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정착한 후에 이 규례들에 약간의 수정이 가해졌습니다(신 12:15, 신 12:22, 신 15:22).
정결의식에는 주로 물의 사용이 수반되었습니다. 정결케 되어야 할 사람은 자신의 몸과 의복을 씻도록 요구 받았습니다(레 15:27). 물은 사람과 그의 장막과 장막의 모든 비품들에 뿌려졌습니다. "정한 자가 우슬초를 취하여 그 물을 찍어서 장막과 그 모든 기구와 거기 있는 사람들에게 뿌리고 또 뼈나 죽임을 당한 자나 시체나무덤을 만진 자에게 뿌리되"(민 19:18), 때때로 정결케 된 자는 옷을 갈아 입어야 했습니다(레 6:11).
그러나 의식은 하나님의 은총과 용서를 얻는데 있어서 공적 있는 행위는 아니었습니다. 또한 의식들이 기계적으로 행해지는 경우, 그들의 의도된 목적에 이바지하지 못했습니다.
의식들이 죄악의 더럽힘으로부터 정결케 되기 위한 어떤 사람의 회개와 진실한 바람을 표현하지 않는 한 그 의식들은 하나님께 가증한 것이 되며 오직 그 사람의 죄를 더할 뿐입니다. 피가 가득한 손으로(사 1:15) 의식에서 하나님 앞에 나아와 그의 범죄의 정결을 위해 간구하지 않는 자는 소돔과 고모라의 백성만큼이나 사악한 자로 판단을 받았습니다.
시온의 소망은 예물을 통한 이러한 정결에 있습니다.
"나 주가 말하노라. 이스라엘 자손이 예물을 깨끗한 그릇에 담아 주의 성전에 드림 같이 그들이 너희 모든 형제를 모든 민족에게서 취하여 말과 수레와 가마와 노새와 빠른 짐승에 태워 나의 성산 예루살렘으로 데려 다가 주에게 예물로 드릴 것이요,”(사 66:20).
감사합니다.
서울에서
이 우복 목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