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너희가 다 각각 제 곳으로 흩어지고 나를 혼자 둘 때가 오나니 벌써 왔도다 그러나 내가 혼자 있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께서 나와 함께 계시느니라" (요한복음 16:32)
겟세마네에서 괴로워하시는 주님과 교제하는 이는 거의 없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도 아직은 "그 심한 고뇌"의 신비를 지켜볼 만큼 은혜 안에서 충분히 자라지 못했습니다. 제집에서 열리는 유월절 잔치에 여념이 없는 이들은, 율법에 따라 살지만 복음의 영에 관해서는 아직 갓난아기에 지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을 대표합니다. 열둘, 아니 겨우 열한 명만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이 위대한 광경"을 바라볼 특권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 여덟은 멀찌감치 떨어져 있었습니다. 비록 주님과 교제는 나누었으나 이들은 그렇게 친밀하진 못했습니다. 오직 지극히 사랑 받은 세 명만이 주의 신비한 슬픔의 베일로 다가서는 영광을 누렸습니다. 그러나 그들도 베일 안까지 들여다보지는 못했습니다. 주님이 홀로 그 포도주 틀을 밟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베드로와 세베대의 두 아들은 "믿음의 선조들"로 일컬어지는 출중하고 노련한 소수의 성도들을 대표합니다. 이들은 큰 파도를 체험했기에 구세주가 당하는 그 수난의 파랑을 어느 정도 측량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고난 속에서 주와 교제하며 그의 죽으심에도 동참합니다. 그러나 이들조차 고난의 신비 그 깊숙한 데까지는 이르지 못합니다. 그리스 정교회의 기도서에는 "주님의 알 수 없는 고난"이라는 놀라운 구절이 있습니다. 실로 주님이 당하신 슬픔 속엔 인간이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주님만의 내실이 있습니다. "그가 주신 이 모든 기쁨은 우리가 헤아릴 수 없는 고민으로 셈한 것이라." - 아이작 왓츠(Issac Warrs)
<스펄전과 함께하는 365 아침묵상, 3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