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이메일 스캔들 무혐의 소식과 파리기후협정 발효 등에 힘입어 동반 강세다.
7일 오전 9시40분 현재 풍력주인 태웅(044490). 동국S&C(100130), 유니슨(018000), 씨에스윈드(112610), 태양광주인 OCI(010060)와 에스에너지(095910), 한화케미칼(009830) 등이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힐러리가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50%로 올리겠다는 공약을 하면서 신재생에너지주는 힐러리 수혜주로 꼽히고 있다. 힐러리와 트럼프가 접전 중인 가운데 힐러리의 이메일 스캔들이 무혐의로 결론나면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 4일(현지시간)을 기점으로 파리 기후협약이 발효된 것도 모멘텀으로 작용하고 있다. 파리 협정은 오는 2020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기후 관련 국제협약이다. 세계 195개국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해 지구 온도 상승폭을 2도 아래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국도 지난 3일 국회 본회의에서 비준 동의안이 통과돼 파리협정에 참여하게 됐다.
*풍력발전 관련기업
파리기후 협약으로 풍력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힐러리는 신 재생에너지 비율 목표치를 오바마 목표인 25%에서 33%로 상향
- 풍력 발전은 가장효율적인 발전기로 검증받아 향후 안정적인 투자가 전망됨
신기후 협약 후 정말 알게 모르게 엄청난 상승을 보였네요.
그런데 종목별 차별화가 너무 심한듯 합니다.
씨에스윈드, 현진소재 정도가 공략 좋아보입니다.
관련 뉴스좀 참고하세요.
신(新)기후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기온 상승의 주원인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온실가스 때문이라고 IPCC(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계획이 공동 설립한 국제 협의체)는 결론지었다 신(新)기후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1870년과 2011년 사이 1,900기가톤(연평 균 13기가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었다. 현재는 약 36기가톤의 이산화탄소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기온은 20~30년만에 2도가 상승 할 수 있다. 기온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어느 시점에서는 거의 제로에 가 까운 수준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시켜야 한다.
■풍력발전 요약
풍력은 국가에 의해 계획, 육성되는 산업이다.
중국: 2005년 레벨 대비 2030년 GDP 대비 배출량 60~65% 감축 목표
인도: 2005년 레벨 대비 2030년 배출량 33~35% 감축 목표
일본: 2013년 레벨 대비 2030년 배출량 26% 감축 목표
EU: 1990년 레벨 대비 2030년 배출량 최소 40% 감축 목표
브라질: 2005년 레벨 대비 2025년 배출량 37% 감축 목표
한국: 2030년 BAU 레벨 대비 2030년 배출량 37% 감축 목표
누적 설치량: 2016년 429GW에서 2025년까지 801~1,931GW 추정
*해상 풍력 전망
@국가별 풍력 관련 지원정책 및 관련 규제
국가 | 지원 정책 | 관련 규제 및 요구사항 |
미국 | - 생산세액감면제도(Production Tax Credit, USD 2.2 cent/KWh를 10년 간 지원) 및 투자세액공제제도(Investment Tax Credit, 풍력발전 단지에 투자 시에 투자금액의 30%를 감면) 운영 - 29개 주에서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Renewable Portfolio Standard) 목표 운용 |
- 2015년말 생산세액감면제도(PTC)는 2020년 1월까지, 투자세액공제제도(ITC)는 2022년 1월까지 연장되었음 |
캐나다 (온타리오) |
- 발전차액지원(Feed-In-Tariff) 제도 시행(20년 간 육상풍력 CAD 13.5 cent/kWh, 해상풍력 CAD 19 cent/kWh 적용) | - 온타리오주 내에서 생산된 제품 또는 제공된 서비스를 50% 이상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지역 내 생산품 사용조건 (Local Contents Requirement) 시행 |
독일 | - 발전차액지원제도(Feed-In-Tariff) 시행(2014년 8월 이후 건설되는 풍력 프로젝트에 대해서 20년 간 육상풍력 EUR 8.9 cent/kWh, 해상풍력 EUR 19.4 cent/kWh 적용) - 풍력발전 보조금을 점진적으로 줄여 최종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를 기존의 재래식 발전소와 경쟁토록 하겠다는 구상 |
- 육상풍력에 대해서는 연간 설치 용량이 2.5GW 이상이 될 경우 보조금을 축소하는 제도(breathing cap)를 시행할 예정임 |
영국 | - 2016년까지는 20년 간 고정된 신재생 에너지 의무 인증서 (ROC: Renewable Obligation Certificate) 가격을 적용 받음 - 2017년부터는 15년 간 시장 기준가격(market reference price)이 계약상의 권리행사가격(strike price)보다 낮을 경우, 발전사업자가 그 차액을 보상받아 기대 수익을 달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기준가격이 권리 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 발전사업자가 그 차액을 반납하는 장기차액거래(CfD: Contract for Difference) 방식으로 인센티브 제도 변경됨 |
- 장기차액거래(CfD) 제도가 적용되면서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하는 developer들은 해당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하기 위해 어떻게 local supply chain를 활용할 것이며 어느 정도의 local job을 활용할 지에 대한 상세한 “supply chain plan”을 영국 정부에 제출해야 함 |
프랑스 | - 발전차액 지원제도(Feed-In-Tariff) 시행 (초기 10년 간 육상풍력 EUR 8.2 cent/kWh, 해상풍력 EUR 13 cent/kWh 적용, 이후 10년 간 조정 가능) - 2012년에 1단계로 1.9GW, 2014년에 2단계로 1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 관련 입찰을 통한 업체 선정 완료 |
- 해상풍력 발전의 주요 부품(너셀, 블레이드, 타워, 모노파일 등)을 프랑스 내에서 생산할 것을 요구하는 지역 내 생산품 사용조건 (Local Contents Requirement) 시행 - 2013년에 풍력발전소 개발지역 (Zone de Development Eolien, ZDE)법과 신규프로젝트에 대해 최소 5기의 풍력발전기 설치를 요구하는 규정을 폐지하는 등 풍력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시행 |
일본 | - 발전차액지원(FIT: Feed-In-Tariff) 제도 시행 (육상풍력 EUR 16 cent/kWh, 해상풍력 EUR 26 cent/kWh 적용, 해상풍력 관련 FIT는 2014년 4월부터 적용됨) | - 2012년 10월에 도입된 엄격한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법안으로 인해 많은 풍력발전 단지 건설이 지연되고 있어, 평가 기간을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규제완화 정책 수립 중임 |
중국 | - 각 지역 별 풍력 자원의 질에 따라 4단계로 구분된 발전차액 지원제도(Feed-In-Tariff) 시행 중 | - 블레이드 및 타워에 대해서 일괄(turnkey) 구매 방식이 아닌 개별 공개 입찰 시행 |
국내 | -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수립 및 운영 중임 (2022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부분 공급목표 10%) | - 전남 및 제주도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 내에서 생산된 풍력발전기 부품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지역 내 생산품 사용조건 (Local Contents Requirement) 시행 |
*전기료 인상추진
이유는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를 위해서라고 한다.
정부가 2020년까지 총 42조원을 투자해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투자로 지난해 7.6%에 그쳤던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29년까지 20.6%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풍력발전기의 구조
씨에스윈드-설립되었으며 풍력발전 설비 및 제조, 관련 기술 개발, 강구조물 제작 및 설치, 풍력발전 관련 컨설팅 및 지원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풍력발전기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수록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며, 동사는 풍력발전기를 높은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풍력발전 타워 및 풍력발전 타워용 알루미늄 플랫폼 등을 생산하고 있음 세계 풍력발전기 상위 10개 사 중 7개 사를 고객으로 확보하였으며, 판매지역도 북미와 유럽 뿐만 아니라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수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음 향후 해상풍력 시장이 풍력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베트남 공장 설비를 증설하고, 향후 유럽 해상풍력 시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에 신규 해상풍력 타워 공장을 건설할 예정임 매출비중은 풍력타워제품 99.58%, 풍력타워상품 0.38%, 서비스매출 0.04%로 구성
하이록코리아-관이음쇠 및 밸브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종속회사인(주)협동사는 동사제조를 위한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종속회사로 편입하였으며, Hy-lok China CO.,LTD.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 내 판매법인을 종속회사로 편입 경기변동에 비교적 비탄력적이며 제품의 경쟁요소로는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제품을 납품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고,기술력, 품질, 가격, 그리고 고객지원 등이 주요 경쟁 요소임 주요 수요처는 국내 조선, 해양 업계를 비롯하여 여러 산유국, 발전시설, 대형 플랜트, 군수산업 등이며, 선주사, 정유시설이나 플랜트, 발전시설의 시공사 등이 주된 고객임 매출비중은 Hy-Lok Fitting 20.15%, Bite Type Fitting 9.21%, Pipe Fitting 4.96%, Hy-Lok Valve 46.36%, rlxk 19.32%로 구성
태웅-원자력, 풍력발전, 플랜트산업, 조선업에 소요되는 핵심 단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단조업은 크게 자유형 단조와 금형 단조로 구분되는데 금형 단조는 자동차 부품이나 중장비 부품, 소형 공구와 같은 크기가 작고 규격이 표준화된 제품을 금형을 사용해서 대량생산하는 방식이며 자유형 단조는 주문생산 공급됨 품질, 납기, 가격이 자유형단조업의 주요 경쟁요소이며 제품생산에 적합한 특화된 생산능력, 공정별 제조기술, 숙련된 기술들이 요구됨2014년 풍력용 타워플랜지 세계 일류 상품으로 선정되었으며 자유형단조에 주로 사용되는 원재료는 철강 인고트, 슬래브, 블룸으로서 철강재나 스크랩의 가격변동에 영향을 받음 매출비중은 자유형단조품 91.93%, SLAB등8.07%로 구성
성광벤드-금속관이음쇠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영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조선업, 석유화학,조선해양, 발전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금속관이음쇠를 생산, 판매하는 단일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음 대우조선해양(주)ㆍ현대중공업(주)ㆍ두산중공업(주)ㆍ삼성엔지니어링(주)ㆍ삼성중공업(주)ㆍ지에스건설(주)ㆍ에스케이건설(주) 등에서 그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인정받아 계속적으로 제품 공급 국내 산업용 피팅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과 품질, 생산시설을 갖춘 업체로는 동사와 (주)태광이 유일하며, 2014년도 시장점유율은 55.93%를 기록 매출비중은 배관자재 제품85.64%, 배관자재 상품 15.39%, 배관자재 기타매출 4.31%, 내부매출 -5.34%로 구성
태광-배관자재, 관이음쇠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사업부문은 관이음쇠류 단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SK건설, GS건설 등 국내 대기업이 주매출처임 높은 기술력과 고품질의 제조공정이 요구되는 특수분야인 철강관이음쇠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동사와 (주)성광벤드 두 업체로 대형 및 특수강 부분에 대한 시장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음 지식경제부 선정 세계일류상품생산기업으로 인증을 받았고, 매출액 대비 세계 제일의 점유율을 점하고 있음 매출비중은 관이음쇠류 100%로 구성
동국S&C-풍력발전설비 ,건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주 생산품은 풍력발전기용 지주대인 WIND-TOWER이며 해상풍력 및 기타 신재생에너지사업의 미래지향적인 제품개발을 시도 중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과 관련해 2009년 7월 10일 한국남동발전, 동양건설산업 및 EURUS ENERGY JAPAN과 공동사업개발협약을 체결하여 관련 사업을 추진 중 전남 신안군 앞바다에 향후 16만 가구에 대한 전기공급이 가능한 200MW 급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할 예정 매출비중은 윈드타워 68.16%, 기타 1.99%, 건설 29.85%로 구성
유니슨-풍력발전기 생산 및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업집단의 명칭은 Toshiba Corporation으로 윈앤피주식회사, KOUNISON HOLDINGS, 유니슨(중국)풍전유한공사, Makambako Energy Limited 등 총 6개의 계열회사를 소유 경상남도 사천시에 국내 최대규모 풍력발전 전용공장을 통해 풍력발전시스템 완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대규모 야적장과 해안에 인접한 최적의 물류체제를 보유하고 있음 풍력터빈용 PM 동기발전기 설계, 저풍속 S클래스 2MW급 풍력시스템 개발 등을 계속 추진하고 있음 매출비중은 풍력발전기 100%로 구성
현진소재-금속단조제품의 제조와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선박엔진부품 및 풍력발전부품 외 자유단조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Steam/Gas 터빈의 Rotor shaft, Turbine/Compressor Disk 등 발전부품과 조선엔진부품 및 육상 발전부품의 핵심부품인 중 저속 Crankshaft를 생산, 자유단조제품 생산함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등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풍력발전 및 원자력/화력발전 부품시장은 꾸준한 성장이 예상됨 동사는 전체 매출의 약 50% 이상이 수출품목이며, 수출액 증대를 위하여 일본, 중국,유럽, 북미 등 신규시장 개척을 통한 영업력 확대에도 주력 매출구성은 제품 79.82%, 상품 외 15.64%, 부산물4.25%, 임가공 0.29% 등으로 구분
주식특전사 클럽(http://cafe.daum.net/instock)
기관의 시스템을 붕괴시키는 급등주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클릭한번에 주식인생이 바뀔수도 있습니다.
주식은 성공한 사람을 따라해야 성공합니다.
7000% 수익율 비법을 공개합니다.
피땀흘려 모은 돈 허무하게 날리시겠습니까? 후회하기전에 특전사가 되십시요.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