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주의 백반이었다고 합니다. 한정식은 보통 2만원 이상인데 백반은 7천원만 주어도 반찬이 10가지 이상 나옵니다.
저도 전라도 한정식 먹었는데 다 못먹고 버려지는 음식이 많아요.
맛이 없어서가 아니라 너무 많다보니 다 못먹지요.
짠 젓갈 같은게 많은것도 건강상 문제구요..
허영만이 여수 출신이니 전라도 음식에 대해 가장 친근감을 느끼실 것입니다.
전라도 음식이 발달한 이유는 재료의 공급도 있지만 조선시대 유배지로
양반들이 전라도에 가서 전수한 음식이 많다고 합니다.
정약용의 경우도 강진에 유배되었는데 상당히 미식가 였다고 합니다.
첫댓글 음식 칼럽이스티니 하는 자들의 입맛과 우리의 입맛은 다르지요.
방송도 그렇고 떠들어대는 것들 믿을수가 없지요.
말쟁이들의 말들에 속지 맙시다.
허영만은 평양, 진주냉면에 대한 만화도 창작을 했어요. 전라도 사람이 냉면을 평가한다는 것이 좀 의아하긴 한데 보면 실향민들의 추억이 담긴 맛이란 내용이더군요. 맛은 생각과 연결이 되어 있는듯 해요.
진정한 한식은 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냥 집밥이 아닌가??
한식 조리사 시험 과목은 황혜성 교수가 만들었는데 거의 궁중음식이라 아쉬워요. 서민적인 음식이 추가되고 있긴 한데 콩나물밥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