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6
上九는 睽孤하야 見豕負塗와 載鬼一車라.
(상구) (규고) (견시부도) (재귀일거)
先張之弧다가 後說之弧하야 匪寇라 婚媾니
(선장지호) (후탈지호) (비구) (혼구)
往遇雨하면 即吉하리라.
(왕우우) (즉길)
象曰遇雨之吉은 群疑 亡也라.
(상왈우우지길) (군의 망야)
●상구는 규가 외로워서 돼지가 진흙을 짊어진 것과 귀신을 한수레
실은 것을 보느니라.
먼저는 활을 매기다가 뒤에는 활을 벗겨서,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하자는 것이니, 가서 비를 만나면 곧 길하리라.
상에 가로되, '우우지길' 은 뭇 의심이 없어진 것이니라.
(豕 - 돼지 시. 負 - 짐질 부. 塗 - 진흙 도. 載 - 실을 재.
弧 - 활 호. 匪 - 아닐 비. 寇 - 도둑 구. 疑 - 의심할 의.
張 - 베풀 장. 멕일 장. 說 = 脫 )
★뜻풀이
화택규괘 아래로 부터 여섯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상구는 어긋나는 괘의 끝에 있어 모두가 흩어지려 하는 때이고, 밝은 체의
위에 있으니 지나치게 밝아 따르는 자가 없어 외로운 것이다.
육삼과 정응이나 어긋나는 때에 지나치게 밝아 의심이 많은데다, 아래로 坎
의 어둠이 있으니 그 의심함이 가득하게 되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육삼을 적으로 알고 활로 쏘려다가, 자세히 보니 혼인을 하
자고 하는 것이어서 만나 혼인을 하니, 이제까지 품었던 의심이 모두 사라져
길하게 되는 것이다.
①정응인 육삼이 구사와 구이 사이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있으며, 상구가 규의
맨위에 홀로 있으므로 외로운 형상이다.
처음에는 육삼이 더러운 형상을 하고 있어 적으로 오인하여 활로 쏘려고 하다
가, 마침내는 그 의심이 풀려서 정응으로 서로 화합하게 된다.
②往遇雨
상구가 육삼을 만나는 것을 말한다. 육삼이 陰이기 때문에 '雨' 라고 했다.
반대로 육삼이 상구를 만나는 것은 '遇剛' 이라고 표현한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주역 화택규를 봅니다~^^
화택규의 효를 익힙니다^^
고맙습니다
주역하경34괘 화택규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