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2024. 1. 20. (토)
ㅇ날씨; 흐리고 오후 눈발까지.
ㅇ동행; 친구 한 사람.
2. 교통
ㅇ갈때
*왕십리역; 전철 4호선으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전철 2호선 으로 환승.
*왕십리역-서울숲역; 수인,분당선 이용.
ㅇ올때
*회현역에서 전철 4호선 이용 귀가.
3. 진행경과
ㅇ서울숲 남산길은 2022 .4월호 월간 산에 걷기 좋은 길로 소개 되고, 그 오래 전에도 도심등상로로
게재된바 있어 수인,분당선 전철 개통 이전, 전철 2호선 뚝섬역에서 출발 서울숲을 지나 남산까지
진행한 바 있습니다.
ㅇ처음 진행시와 비교해 보니 등로가 지자체별 구역 마다 근린공원 체육시설 걷기길 조성등으로 잘
정비되어 있어 진행에 큰 불편 사항은 없으나 논골 4거리와 금호로 일부 시가지 구간의 길표시가
다소 미비하게 생각 되었고, 많은 산 등산로와 같이 데크길 설치가 현재도진행 중으로 지나친 시설
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ㅇ진행코스
*서울숲역-서울숲 가족마당-성수대교북단 교차로-용비교-응봉선입구-응봉산정(정상)-독서당로육교
-대현산 장미원-큰매봉-대현산공원-공원사무소-논골4거리-대현산 배수지공원-금호산맨발공원-금
호산유아숲체험장-서울방송고교-매봉정상(응봉산정)-버티고개태통로- 3거리-남산둘레길입구-남산
산악회-한양도성전망대-남산공원길-남산 팔각정(정상)-케이블카-분수대-안중근의사광장-벡범광장-
회현육교-숭례문-회현역.
ㅇ탐방거리
*gps 측정거리; 12.5km(아래개념도참조)
*서울숲, 남산 길
*南山(275.85m, 서울의 랜드마크))
1)위치; 서울특결시 중구와 용산구에 걸쳐 있는 산입니다.
2)명칭; 조선조 이태조가 1394년 풍수지리에 따라 도읍을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
이므로 남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상 案山에 해당합니다.
나라에 평안을 비는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산신령을 모시는 신당을 세웠는데 이 신당은 목멱대왕
산신을 모시고 있어 목멱신사라고 불렸으며 이때부터 이 산을 "木覓山"으로 불렀습니다.
"목멱"은 앞산의 이두식 표기라고 합니다.
조선 도읍 초기부터 신성한 영산으로 여겨온 남산은 終南山 仁慶山 列慶山 마뫼등으로도 불렸
습니다.
3) 북악산 낙산 인왕산과 더불어 한양의 내륙 분지를 형성하던 곳이고 조선 도읍초기 이들 산군의 능선을
따라 성곽이 쌓였습니다.
정상에는 조선중기까지 봄,가을에 초제를 지내던 국사당과 봉수제의 종점인 봉수대가 있고 성벽의 일부
가 남아 있습니다.
4)남산은 대부분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북쪽에 북악산 동쪽에 낙산 서쪽에 인왕산과 함께 서울 의 중앙
부를 둘려 싸고 있습니다.
5)남산공원;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1가.
유형; 자연공원.
면적; 2,958,864㎡.
1940.3.12. 남산일대공원지정.
1968. 9. 2. 개원. 서울특별시의 최대 공원.
ㅇ변천; 1908년 일본제국이 무상 증여 받아 공원 조성(남산 식물원-남산 3터널구간)
1910년 시민공원으로 개장.
1916년 남산 전체를공원화.
1918년 조선신궁 건립: 천황 숭배.
탑골공원에 이어 남산도 시민공원으로 개발 "한양공원"이라 불렀습니다.
고종 친필의 "한양공원"이란 석비가 구 통일원청사에 보존 되아 있습니다.
*남산공원은 4개 지구로 되어 있습니다.
ㅇ장충지구; 장충공원 일대.
ㅇ예장지구; 와룡묘가 있는 남산골 한옥마을 일대.
ㅇ회현지구; 과학교육원 남산도서관 안중근의사 기념관 일대.
ㅇ한남지구; 야외 식물원 지구.
이 외에 분수대 2개소 야생화공원 남산전시관 팔각정 서울타워 케이블카 놀이터 주치장등의 시설.
ㅇ남산공원 식물; 85과 552종.
초본 42과 187속 361종.
목본 43과 93속 191종.
주요식물; 신갈나무 아까시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 소나무 잣나무 단풍나무등.
야생동물 7목 26과 61종.
*볼거리
ㅇN서울 타워(해발 480m); 서울 전경 조망 가능.
ㅇ남산 케이블카; 국내최초 1962. 5. 12. 개통.
ㅇ남산골 한옥; 1990년 남산 제모습 찾기 사업으로 24,180평 지형 복원.
전통정원에 서울민솓자료 한옥 5게동 건립.
ㅇ서울 1000년 타임캡슐; 1994. 11. 29. 서울 정도 600년을 맞아 문물 600점 매설.
개봉; 2394. 11. 29.예정.
ㅇ남산오르미; 남산 끝 자락과 케이불카 연결; 경사형 에리베이터.
ㅇ석호정; 조선조부터 남산 활터.
ㅇ기타; 도서관 국립극장 사명대사동의 동상 다수 백범광장 문학의 집 남산식물원 남산봉수대
실개천(2.6km) 한양도성 일부등.
*鷹峰山(95.4m)
1)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과 금호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한강과 중랑천의 합류부에 위치 함.
2)명칭; 조선조 임금이 이 곳에서 매를 놓아 사냥을 하였다고 전하는 데서 매봉 또는 한자명으로 응봉
이라고 불렀습니다.
매봉 응봉 작은 매봉 매봉산으로도 불립니다.
3)과거에 봉우리 밑에 있는 바위가 한강을 향하여 깎아 지른듯 하여 천연적으로 낚시터가 되있으므로
立石釣魚라 해서 경도십영의 하나로 유명 하였습니다.
4)한강과 중랑천의 합류부에 있어 철새가 많이 찾아와 산 정상에서는철새를 관찰할수 있으며 서울숲
과 남산 청계산 우면산까지 조망 할수 있어 많은 사람이 즐겨 찾는 장소로, 야간에는 야경 또한 좋아
사진 촬영을 위해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5)정상에 전통 정자가 있고 현재와 관계가 공존하는 운치있는 장소로 최근 드라마 촬영 장소로 사용
되기도 하였고 봄철 개나리가 아름다워 개나리산으로 불히기도 합니다.
*서울 중심점
*금호 명칭유래
*두뭇개 동호 명칭 유래
5. 풍광사진
1)서울 숲-비룡교 구간의 풍광
▲서울 숲 입구
▲무지개 터널 위 전망대
▲서울숲 가족 마당
▲숲 산책로
▲보행가교 뒤로 갤러리아 포레 타워
▲용비교 위에서 응봉산 조망
▲용비교; 갤러리아 포레(좌)와 SM 아크로(우) 타워
▲용비교에서 관악산 조망
2)응봉산 입구-독서당로 육교 구간의 풍광
▲용비교 서단에서 응봉산 오름 데크 길
▲건너온 용비교 조망
▲응봉산 오름 길
▲응봉산 정
▲갤러리아 포레, SM 아크로 타워 그리고 뒤로 롯데 타워가............
▲성수대교
▲앞에서 부터 두모교 동호대교(철교) 힌남대교 반포대교 뒤로 관악산-호암산 능선이 선명하다.
3)독서당 공원 입구-매봉산 오름 구간의 풍광
▲대현산 장미원
▲대현산 맨발 황톳길
▲대현산 배수지 공원
▲금호산 맨발공원
▲금호산 근린 공원의 황톳길
▲수호초; 겨울 날씨에도 싱그럽다.
▲아름다운 모습의 곡선 나무계단의 능선 오름길
▲매봉산 오름 데크길 우 성동구 좌 중구로 경계 길이다.
4)매봉산(응봉정)-버티고개 3거리 구간의 풍광
▲매봉산 응봉정
▲매봉산 응봉정에서 롯데 타워 조망; 눈발이 날리는 날씨로 흐리게 보인다.
▲매봉산 하산길의 돌탑군
▲매봉산 하산길에 남산타워 줌인
▲버티고개 생태통로
▲버티고개 생태통로 지난 오름 데크길
5)남산둘레길 입구-남산 서울타워 버스정류장
▲남산도성 순성 오름길
▲남산 산악회
▲한양도성
▲국립극장 조망과 뒤 신라호텔
▲한양도성
▲롯데 타워 줌인
▲수락간 -불암산 조망
▲ 백운대부터 보현봉 문수봉까지 조망
▲ 향로봉-비봉- 사모바위- 문수봉 능선 조망
▲ 오봉, 도봉산 줌인
▲이상, 남산 순환 산책 길
▲우측 성벽옆의 순환 도로, 좌측 길로 올라 왔다.
6)남산 정상 모습
▲1985년 9월 22일, 중앙일보의 타임캡슐; 500년후 개봉.
▲인왕산(좌)과 청와대 뒤의 북악(우,백악 마루) 조망
▲사랑의 맹세(자물쇠 월)
▲남산 봉수대
▲남산 팔각정
▲이상, N서울 남산 타워; 타워 주위에는 눈이 날리는 날씨 밈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파가 ..........
▲여의도 63 스퀘어와 용산역등이 멀리 보인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백범 광장의 이시영 선생(좌), 김구 선생(우) 동상
7)트랭글 궤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