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의 의미와 유래
가을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자 달이 유난히 밝은 명절을 일컫는 추석. 추석은 4대 명절 중 하나로서 풍요와 화목을 상징한다. 다가올 추석을 맞아 추석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살펴보자.
가을 한가운데 있는 날, 추석
우리가 흔히 부르는 추석秋夕은 한자어로서, 가배, 중추절, 한가위로도 불린다. 우선, 가배는 추석을 일컫는 고어古語인 ‘가위’를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라는 뜻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는 곧 ‘가운뎃날’을 의미한다. 한자어로는 중추절仲秋節이라 하는데, 이는 가배와 마찬가지로 가을의 한가운데 명절을 뜻한다. 한가위는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진 말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 또는 ‘가을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을 의미한다. 이처럼 추석은 가을 한가운데 있는 날로 설날, 한식,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다.
추석에 담긴 의미
추석秋夕은 음력 8월 15일로, 1년 중 가장 큰 만월 날이다. 이 시기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 있어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의 수확을 거둘 계절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농촌에서는 봄·여름철 농사일이 끝나고 오곡이 익는 계절인 만큼 풍요를 기리는 행사를 풍성하게 치렀다. 특히 추석은 농공감사일農功感謝日로서, 이날 명절식으로 송편을 빚어 조상에게 올려 차례를 지내고 성묘하는 것이 중요한 행사였다. 추석 전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 벌초하고, 추석날 아침에는 햇곡으로 빚은 송편과 각종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이처럼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엄숙한 세시풍속이 있었던 반면, 강강술래나 씨름과 같은 세시놀이 또한 풍성하게 행해졌다.
추석의 유래와 기원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시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7월 15일부터 8월 한가위 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삼 삼기를 하였다. 두레삼은 각 부락의 부녀자들이 음력 7월 15일부터 매일 저녁에 차례로 집을 옮겨가며 길쌈을 하는 것으로, 이들은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하여 여럿이 노래하고 이야기하면서 하였다고 한다. 추석이 되면 이들은 많은 음식을 장만하여 담소와 가무로써 한껏 즐겼다. 마지막 날은 심사를 통해 승패를 가린 뒤,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며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놀았다고 한다. 이처럼 신라시대에 이미 세시명절로 자리 잡던 추석은 고려에 와서도 큰 명절로 여겨져 9대 속절俗節에 포함되었다.
추석의 세시풍속 : 대명절을 보내는 방법
추석은 풍요와 화목을 상징하는 명절로서, 한가위를 보내기 위한 다양한 명절식과 세시놀이가 존재한다.
추석의 명절식
추석의 명절식은 송편으로, 송편이란 이름은 송편을 찔 때 켜마다 솔잎을 깔기 때문에 붙여졌다. 송편은 쌀가루를 익반죽하여 햇녹두, 청대콩, 동부, 깨, 밤, 대추, 고구마, 곶감, 계피가루 같은 것을 소로 넣어 둥글게 빚는다. 송편과 함께 토란국을 차례상에 올리기도 한다. 또한 햇버섯, 도라지, 쇠고기에 양념을 하여 볶아 꼬챙이에 끼운 화양적과 화양적과 같은 방법이되 밀가루를 묻혀 지진 누름적도 추석의 명절식이다.
추석의 세시놀이
추석에는 강강술래, 줄다리기, 가마싸움, 소놀이, 거북놀이, 소싸움, 닭싸움 같은 놀이를 한다. 특히 추석과 같은 보름 명절에는 강강술래와 같은 원무圓舞가 중심을 이룬다. 강강술래는 풍요를 상징하는 달에 비유되는 놀이이다. 농경사회에서 보름달은 풍요를 상징하며, 만월滿月은 만삭의 여성으로 비유된다. 이는 생산의 주체인 여성 자체가 풍요를 상징하므로, 추석의 강강술래는 여성들이 함께 원을 그리며 논다는 의미에서 풍요의 극치를 의미한다. 소놀이와 거북놀이는 멍석을 쓰고 소로 가장하여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놀아주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 풍년 기원 놀이이다. 두 사람이 궁둥이를 맞대고 엎드리면 그 위에 멍석을 씌운다. 앞사람은 막대기 두 개로 뿔을, 뒷사람은 동아줄을 이용해 꼬리를 만든다. 이후 농부 한 명이 소를 끌고 부잣집을 찾아다니는 놀이이다. 소는 농부와 마찬가지로 농사일을 하는 존재였기에 우리 조상들은 소를 가족의 일원으로 특별히 여겼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달이 가장 밝은 가을 저녁, 풍요와 화목을 기원하는 우리 조상들의 바람이 가득 담긴 추석 속담 중 하나이다. 다가올 추석에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 그동안 못다한 대화도 나누며 풍성한 명절을 보내는 것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