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씨에스제주 공식 카페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이쁜이야~(경상)..
    2. 416kmg
    3. 호야8016
    4. 제주도로 고고~~..
    5. 수법
    1. 투어프로
    2. 푸우19
    3. 하늘울타리
    4. 청와대
    5. CY Park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허브티
    2. 포임
    3. gaeddong
    4. 르네몰
    5. 리차드리
    1. 쌩상35
    2. 달민
    3. 상큼한새벽
    4. Hwang.9
    5. 판경
 
 
카페 게시글
제주도 렌트카 스크랩 박물관은 살아있다, <제주 박물관 투어 버스>는 콜럼부스의 알?
이재정CS[제주] 추천 0 조회 154 13.11.04 10:5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길 위의 인문학 박물관 천국,

<나를 알아가는 제주>에 관한 당신의 생각이 궁금하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가장 성공적인< 제주 관광의 활성화 모델>은 무엇인가요? 

1998년에 출시된 제주삼다수 혹은 2006년에 설립된 었던 제주항공?

하지만 나는 제주도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 건 `올레길`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 그리스 신화박물관 >

 

가장 큰 이유는 제주도의 뻔한 관광코스에 익숙했던 관광객을

제주도 속살을 볼 수 있게 길을 열어줬다는 점에서 실보다는 득이 큰 성공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유인촌 전 문화체육부장관도 제주 올레길을 그렇게 표현했다. 

 

지난 3일 서귀포시 안덕면 본태박물관(관장 김선희)에서 열린 제11차 제주문화관광포럼 세미나에서

유인촌 전 문화부 장관이 <문화콘텐츠된 박물관의 사업육성>이란 주제로 발표한 내용이 주목받고 있다.

 

                         < 세계 자동차 박물관 >

 

그의 오랜 고민은 <제주도가 어떻게 활성화되어야 할까>였다고 한다

답은 < 새로운 것을 찾으려는 노력보다 원래 갖고 있는 제주의 것을 보여주는 것이 경쟁력>이라고 했다

 

과연 그가 생각하는 <박물관>은 어떤 곳이었을까 궁금했다

그의 박물관은 <미래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곳>이었고

제주도가 지금처럼 자가용이나 단체 관광버스로 이동하는 체계로는 개별 관광객이의 접근이 어렵다는,

그래서 제주 박물관을 편하게 다닐 수 있는 대중버스가 마련되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즉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다닐 수 있는 <박물관 투어 버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다.

 

나는 그의 말이 제주올레에 버금가는 파격적인 생각이라고 단언한다

물론 그것이 <공공재적인 성격>이라고 누가 반문할 수도 있다

 

                                                                         < 박물관은 살아있다 >

 

하지만 그가 이어서 역설한 <박물관의 전문성>을 대입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그는 <박물관의 전문성>에 관하여 

<공무원들도 많은 일을 하지만 전문적인 인력들이 더 풍부한 활동을 만들어 낸다

관광객들을 끌어 들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피력했다

그런 점에서 제주 박물관 투어 버스 프로젝트는 역시 민간에서 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

인프라와 창의성을 갖춘 민간기업이라면 더욱 가능성이 큰 사업이라고.

인프라는 지역과 유관 비지니스를 끌어낼 수 있는 로컬 사업자이며

창의성은 지역 박물관이라는 물성과 움직이는 공간과 시간에 어울리는 콘텐츠를 ?붙일 수 있는 민간 사업자를 말함이다.  

 

그 역할, 당신이 맡는 건 어떨까요?

 < 당신이 주인공 >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