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흥리 암각화를 보러가던중 표지판을 보고 가흥리 암각화 답사를 끝내고 정도전생가에
가야지 했다...그리고 정도전생가를 내비게이션에서 아무리 찾아도 없어 ㅠㅠ
표지판을 본곳에서 빙빙 둘러보다보니 삼판서고택...이래서 내비에 안나왔나?
어찌됐든 찾았다.
주차장에서 삼판서고택 올라가는 길
제민루
삼판서고택 올라가는길에 있는 제민루
영주시 가흥1동 서천(西川)가의 언덕 위에 있다. 본래 구성산 남쪽 기슭에 있었는데 1433년(세종 15)에 군수 반저(潘渚)가 창건하였으며 1467년(세종 13)에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보수하였고 1588년(선조 21)에 향인(鄕人)의 합력(合力)으로 개축하니 향서당(鄕序堂)과 상접(相接)하였다. 1598년(선조 31)에 군수 이윤상(李允商)이 의국(醫局) 3칸을 설치하고 약제(藥劑)를 취급하다가 다시 의약소(醫藥所)로 개칭(改稱)하고 제약구민(劑藥救民)하다가 폐지(廢止)되었다.
1608년(선조 41)에 군수 이대진(李大震)이 또 루의 북쪽에 의국을 재건(再建)하고 의료업무를 실시하여 제민사업을 하였다고 전해오고 있다.
이 루는 점지(点地)가 창활(敞豁)하며 우편(右便)에는 장강(長江)이 흐르고 앞으로는 광야(廣野)를 두어 여름이 되면 바람이 청량(淸凉)하고 십리장제(十里長堤)에 녹음(綠陰)이 장관을 이루어 그 경관(景觀)이 뛰어나 유영(遺詠)하기 좋은 곳임으로 선비들이 모여 음풍영월(吟風詠月)을 즐기기도 하고 경로소(敬老所)를 두어 애친경장(愛親敬長)의 미풍을 계몽(啓蒙)하던 곳이다. 창건후 오랜 풍상(風霜)을 겪어 여러차례 보수(補修)를 하였으나 노후(老朽)로 퇴락이 심하던 중 1961년의 홍수(洪水)로 붕괴(崩壞)되고 말았다.(영주문화원 부분 발췌)
햇빛에 그림자가 된 사진찍는 모습의 손이 꼭 찌까찌까 게 같은걸 ㅎㅎㅎ
삼판서고택이란,
고려말부터 조선초까지 세 분의 판서가 연이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주택의 첫 주인은 고려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를 지낸 정운경(1305~1366)으로, 정운경은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1343~ )에게, 황유정은 다시 사위인 영유현령 김소량(1384~1449)에게 이 고택을 물려주었는데 김소량의 아들 김담(1416~1464)이 이조판서에 올랐다.
이때부터 김판서의 후손들이 이 고택에서 대를 이어가며 살았다. 이 고택은 세분의 판서를 비롯하여
조선개국 일등공신 정도전, 사헌부 지평 황전, 집현전학사 김증 등 수 많은 학자와 명신들을 배출한 곳일 뿐만 아니라 경향각지의 많은 선비들과 교류한 조선시대 명문가로서 명성이 높았다.
삼판서고택은 구성공원 남쪽 (현 영주동)에서 영주선비의 표상으로 수백년을 이어져 오다가 1961년 대홍수로 기울어지고 수년 후 철거 되었다가 2008년 10월 서천이 내려다보이는 이곳 구학공원에 복원되어 ‘선비의 고장’ 영주를 상징하는 명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삼판서 약사
정판서 : 정운경 (鄭云敬 1305 ~ 1366)
본관은 봉화이고 사시(私諡)는 염의(廉義)이다. 조선개국공신인 정도전의 아버지로 어려서 영주와 복주(안동)의 향교에서 수학한 뒤 개경에 올라가 십이도와 교유하여 이곡등과 사귀었다. 1326년(충숙왕 13) 사마시에 합격하고, 1330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상주목사로 나갔다. 이 후 전교교감, 주부, 도평의녹사, 삼사도사, 통례문지후, 전의주부, 홍복도감의 판관을 거쳐 1343년 밀성군지사가 되었다.
삼사판관을 거쳐 서운부정 성균사예, 보문각지제교, 양강도안렴사, 교주도안렴사, 전법총량에 이르렀다. 이어 전교사판사로 전주목사 병부시랑, 비서감 보문각 직학사로 옮겨 강릉도(江陵道)와 삭방도의 존무사로 파견되어 백성을 안찰하였으며 형부상서에 초수되었다. 검교밀직제학에 제수 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고향인 영주로 돌아왔다. 문계서원에 영렬공 금의 선생과 배향되었으나 고종때 훼철되고 영주 모현사에 제향되었으며 문집은 “염의선생실기”가 있다.
황판서 : 황유정 1343 ~
본관은 평해로 초휘는 지정, 호는 미균이다. 고려 보문각제학 근의 아들로 영해부사 원로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순흥안씨로서 문정공 축의 딸이다. 일찍이 문과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쳐 예조 형조전서를 지냈다. 1390년(공양왕 2)에 작성된 ‘영주호적대장’에 의하면 ‘그는 48세에 초계군수를 지냈으며 단정 첨렴하여 백성들과 아전들이 오래도록 그 덕을 기렸다 고 한다.’
그는 젊어서부터 논어를 즐겨 읽었으며 시문에 뛰어나 당인의 풍조가 있었다. 그가 열두살에 안동 유림들의 모임인 도회에 나가 병서라는 시를 지었는데 고간이 이 시구를 보고 놀라 장원으로 뽑았다고 한다. 낙향 후 집에 소쇄헌이라는 현판을 걸고 가금 외손자 김담의 집을 찾아 시를 지으면서 유유자적하기도 했다.
김판서 : 김담 (1416~1464)
본관은 선성(예안)이고 자는 거원 호는 무송헌, 시호는 문절이다. 아버지는 현령소량이며 어머니는 평해황씨이다. 1435년(세종 17)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정자. 저작랑. 박사. 승문원 부교리를 지냈다. 이후 이조정랑으로 문과 중시에 급제하고 충주목사, 안동부사, 경주부윤을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특히 이순지와 함께 ‘칠정산내외편’을 만들었는데 이는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최초의 역법으로 역학의 기본이 되었다. 그는 이순지와 더불어 당대에 가장 뛰어난 천문학자로서 세종대의 천문. 역법사업에 크게 공헌 하였다.. 또한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찬시와 천문도가 전한다. 광해군때 영주 사림에서 향현사와 문계서당을 지어 배향했다. 뒤에 다시 귀강서원과 단계서원으로 승격되어 배향되어 오다가 흥선대원군 때 철폐되었다. 저서로는 ‘김문절공일고’ ‘제가역상집’ ‘무송헌문집’등이있다.
삼판서고택의 인물들
정도전(1342 ~ 1398)
본관은 봉화 자는 종지 호는 삼봉, 시호는 문헌이다. 충주사록으로 출사하여 전교주부 통례문지후, 성균박사, 예의정랑, 성균관대사성, 조선개국공신 1등으로 문하시랑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 편호조사 겸판상서사사, 보문각대학사, 지경연예문춘추관사, 겸의흥친군위절제사를 겸직하여 판의홍삼군부사 경상 전라 양광 삼도도총제사가 되었다. 저서로 조선경국전 고려국사 경제문감 삼봉집등이 있다. 조선의 모든 문물과 제도를 창안하여 기틀을 잡았다. 삼봉은 몇차례의 유배에서 풀려나 이곳 삼판서고택에서 심신을 달래기도 했다.
정도복 (1351 ~ 1435)
정도전의 동생으로 자는 내지 호는 일봉으로 고려에서 좌승선을 역임했고 조선개국 후 양촌 권근과 함께 학자지남도 등으로 후학들을 지도하여 유학입국을 다지는 데 공헌하였다. 성균관대사성, 한성판윤을 역임하였으며 그가 낙향ㅇ하여 살던곳을 한성판윤이 살앗다 하여 지금도 한성동(이산면 원리)이라 부른다.
황전 (1369~1411)
본관은 평해로 황유정의 아들이다. 사헌부지평 청도군수를 지냈다.
황현 (1369~1434)
황전의 동생으로 권지선균직강, 예문관응교, 성균관대사성 인수부윤을 지냈다.
황연 (1380~1461)
황전의 동생으로 생원 숭의랑 순흥훈도를 지냈다.
김소량 (1384~1449)
본관은 선성으로 중참판 로의 아들이며 김담의 아버지다. 영유헌령을 지냈으며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중직되었다.
김증 (? ~ 1456)
김담의 형이다. 문과 문과중시, 성균관 학유, 집현전 학사, 예조좌랑, 승문원부교리, 김산(김천)군수를 지냈다. 저서로 ‘동국정운’ ‘역대병오’ ‘홍무정운역훈’ ‘직해동자습역훈평화’ 등이 있으며 한글창제에 참여했다.
김홍
김증의 동생 통례원 통찬을 지냈다.
이 밖에도 삼판서 고택에서는 권지훈련원 녹사 김만석, 단성현감 김만균, 통례원좌통에 김만칭, 천문학교수 김만인, 사섬시 첨정 김윤의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또한 그동안 문과 7명, 무과 1명, 생원 5명, 진사 3명을 배출하고 10명이 문집을 남겼다. 그 중에서 정승 1명, 판서급 4명, 성균관대사성 1명, 참판 1명, 홍문관교리 1명, 지방관 3명, 교수 훈도 3명, 참봉 3명 등 많은 인물들이 선비의 집 삼판서 고택을 빛냈다.
이곳에는 문화해설사 쌤이 계시는데 해설을 들어보는것도 좋을듯 싶다.
답사를 떠날때 미리 자료를 찾고 공부를 하고 가는데 예정에 없던 답사여서 해설쌤에게 해설을 부탁하여 들었다.
이제 배고 고프니 점심을 먹으로...여주에 엄청 유명하다는 우리복집으로...갔는데
콩나물이 잔뜩 들어간 복지리는 시원하고 맛이 있었으나 반찬은 맛없고 밥도 질고... 엄청맛이 없어서...먹다 말았다.
(개인적인 맛이므로 태클 금지)
이제 밥도 먹었고, 삼판서고택을 보느라고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을 깜빡 건너뛰고 말았다..
다음기회에~!!!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