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한국장례문화학회 원문보기 글쓴이: 장묘박
제가 2006. 11. 21까지 수집한 목록입니다.
공부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혹 이 외에 유용한 자료가 있으면 제게 메일로 쏘아 주세요
멜 주소 ; taehop52@hanmail.net
- 葬墓文化 關聯 硏究資料 및 參考文獻 -
<단행본> - 著者 姓名 가나다 順
강명상『재미있는 중국의 이색풍습』을유문화사, 1995
강인구『古墳硏究』학연문화사, 2000
강인구『韓半島의 古墳』아르케, 2000
강인구『고고학으로 본 한국고대사』학연문화사, 1997
고덕기 외『장례지도사 입문』대학서림, 2004
고제희『한국의 묘지기행』1, 2, 3, 자작나무, 1997
공상철외 4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다락원, 2001
곽병휴「시청의 묘지과」『하이델베르그에서 쓴 독일, 독일인』신지서원, 2000
기세춘「죽음은 삶에 무엇인가 - 장례논쟁-」『고을은 바뀌어도 우물은 바뀌지 않는다.』화남출판사, 2002
김기웅『고분』대원사, 1998
김무조 외『아름다운 장례문화』구름사랑, 2003
김병모『韓國人의 발자취』집문당, 1985
김상우『죽음의 사회학』부산대학교 출판부, 2005
김열규 외3인『한국인의 죽음과 삶』철학과현실사, 2001
김용갑「상례풍속」『영남과 호남의 문화비교』풀빛, 1998
김원룡『韓國考古學硏究』일지사, 1987
김원룡『韓國의 古墳』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김인철『고려무덤 발굴보고』백산자료원, 2003
김태복 편저『도시와 묘지』근화, 1992
김태복 편저『묘지문제에 관한 연구』한국토지행정학회, 1986
金赫濟 교열『상례비요』명문당, 1972
남민희『현대 생활 속의 상장례』학문사, 2001
남민희『장례의 이론과 실제』학문사, 2001
남민희『상장례 민속학』시그마트레스, 2002
맹난자『인생은 아름다워라, 영혼의 순례 묘지기행』김영사, 2004
문옥표 외『조선시대 관혼상제 2』상례편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문옥표 외『조선시대 관혼상제 3』상례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문옥표 외『조선시대 관혼상제 4』상례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박경준『빛깔 있는 책들, 다비와 사리』대원사, 2001
박용운 외 공저『고려시대 사람들 이야기』2, 신서원, 2002
박의서『한국의 전통 장례』재원, 2002
박태호『서울 장묘시설 100년사』(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3
박태호『세계묘지문화기행』서해문집, 2005
박태호『장례의 역사 - 고인돌부터 납골당까지, 숭배와 기피의 역사』서해문집, 2006
방학봉『발해문화연구』이론과 실천, 1991
배영기『죽음에 대한 문화적 이해』한국학술정보, 2006
변광현『고인돌과 거석문화』미리내, 2001
변우혁『수목장 - 에코 다잉의 세계』도솔, 2006
석광준(북한사회과학원)『조선의 고인돌무덤 연구』중심, 2002
송천호 외『일본의 장례문화』명지대학교출판부, 2005
승효상「시구르트 레베렌츠와 우드랜드 공동묘지」『건축, 사유의 기호』돌베개, 2004
신동원『조선 사람의 생로병사』한겨레신문사, 1999
신동원『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역사비평사, 2004
안우환『火葬-우리 조상이 추진한 오래된 길을 가라』생각하는 창, 2004
양관 지음, 장인성 임대희 역『중국 역대 陵寢제도』서경, 2005
양무석 외『현대장례와 염습실습』대학서림, 2004
엄기표『(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학연문화사, 2003
윤갑원『반 평의 진리』지선당, 2001
尹乃鉉『韓國古代史新論』일지사, 1986
이광규『한국문화의 역사인류학』집문당, 1998
이광수『인도는 무엇으로 사는가』웅진출판, 1998
이남석『백제의 고분 문화』서경, 2002
이남석『백제 묘제의 연구』서경, 2002
이복순『성경으로 본 장례, 매장과 화장의 근거』은진출판사, 2006
이상목『한국인의 죽음관과 생명윤리』동아대학교 석당문화연구원, 2005
이은봉『여러 종교에서 보는 죽음관』가톨릭출판사, 1995
이은봉『한국인의 죽음관』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이을상『죽음과 윤리』백산서당, 2006
이이화「화장을 하거나 공동묘지에 묻어라」『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한길사, 2004
이재운 외4인『한국인의 사후세계관』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이춘식『中國史 序說』교보문고, 1991
이필도, 황규성, 서분희『시신 메이크업 이론 및 실제』서울보건대학, 2005
임재해『빛깔 있는 책들(16), 전통 상례』대원사, 1995
임 준『북망산천』삼포, 1997
張長植『韓國의 風水說話 硏究』민속원, 1995
장철수『옛 무덤의 社會史』웅진, 1995
장철수『韓國의 冠婚喪祭』집문당, 1995
전호태『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鄭璟喜『韓國古代社會文化史硏究』일지사, 1990
조명철 외3인「일본인은 무덤을 만드는 대신 화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일본인의 선택』다 른세상, 2002
최몽룡『흙과 인류』주류성, 2000
최몽룡 외3인 편저『한국지석묘유적 종합조사·연구』Ⅰ·Ⅱ, 문화재청·서울대학교박물관, 1990
최병헌『新羅古墳硏究』일지사, 1992
최전권『실전 묘지풍수』좋은글, 1999
崔昌祚『韓國의 風水思想』민음사, 1984
최창조『땅의 눈물 땅의 희망』궁리출판, 2000
하문석『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백산자료원, 1999
한상복 외2인『문화인류학 개설』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함정임『유럽 예술묘지 기행 - 그리고 나는 베네치아로 갔다』중앙M&B, 2003
허빈, 김선풍 외2인 편저「일본의 장묘제도와 영혼관념」『한국과 중국의 민간신앙』보고사, 2004
홍보식『新羅後期 古墳文化 硏究』춘추각, 2003
황규성 외『시신 위생처리(미국의 장례문화)』대학서림, 2003
황규성, 서분희, 이필도『회복 기술학 이론 및 실제』서울보건대학, 2005
경성부『경성부사』1·2, 경성부사, 1936
고려대학교 박물관『파평 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 보고서』2003
국립민속박물관『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1990(사진자료, 논문은 저자별)
국립민속박물관『한국의 제사』2003
국립민속박물관『草墳』2003
국립중앙박물관『다시 보는 역사편지 - 고려묘지명』2006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1-50권
국사편찬위원회 편『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한국문화사05, 두산동아, 2005
대한건축학회 편『한국건축사』기문당, 2003
동아대학교박물관, 경상남도『남강유역 문화유적 발굴도록』「상촌리유적 B」1999
(북한)사회과학원『평양 일대의 락랑무덤에 대한 연구』중심, 2001
서울대학교박물관 편저『한국 지석묘(고인돌) 유적 종합조사ㆍ연구』Ⅰ․Ⅱ, 문화재청, 1999
연합통신『멍드는 금수강산』1994
용인市『용인의 분묘문화』용인문화원, 용인시사편찬위원회, 용인대학교전통문화연구소, 2001
우봉이씨대종회『도암 이재 선생 원저 國譯 四禮便覽』명문당, 1992
한국고문서학회『조선시대 생활사』역사비평사, 1996
한국고문서학회『조선시대 생활사2』역사비평사, 2000
한국국가기록원「고대의 장례 풍속 - 세골장」『기록으로 여는 세상 속』진리탐구, 2002
한국문원 편집실 편『왕릉』한국문원, 1995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청년사, 1996
한국역사연구회『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청년사, 1997
한국역사연구회『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청년사, 199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편『세계의 장례문화』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한국출토복식연구회 편『韓國의 壽衣文化』신유, 2002
행정자치부, 국토연구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지방자치시대의 분쟁 사례집』1999
게르트 미슐러, 유혜자 역『자살의 문화사』시공사, 2002
니겔 발리, 고양성 역『죽음의 얼굴』예문, 2001
베리 엘빈 다이어. 그렉 와츠, 안종설 역『관을 떨어뜨리지 마라』이가서, 2003
시오노 나나미, 이현진 역「해골사원 순례기」『이탈리아에서 보내온 편지1』한길사, 2005
애드가 모랭, 김명숙 역『인간과 죽음』동문선, 2000
올라프 라더(Olaf B. Rader), 김희상 역『사자(死者)와 권력』작가정신, 2004
와다나베 마사미「중세시대의 유골 도둑」『도둑의 문화사』이마고, 2003
존 바우커, 박규태 유기쁨 역『세계 종교로 보는 죽음의 의미』청년사, 2005
첸치첸, 유상철 역「도쿄의 장례외교」『열 가지 외교 이야기』랜덤하우스 중앙, 2004
카트야 두벡, 이군호 역『죽음에 관한 잡학 사전』을유문화사, 2004
톰 히크먼, 이문희 역『사용설명서, 죽음』뿌리와 이파리, 2005
프랑수아즈 다스튀르, 이길래 역『죽음 유한성에 대하여』동문선 현대신서, 2003
필립 아리에스(Philippe Ariès), 유선자 역『죽음 앞에 선 인간』상, 하, 동문선, 1997
필립 아리에스(Philippe Ariès), 이종민 역『죽음의 역사』동문선, 1998
필립 아리에스(Philippe Ariès), 고선일 역『죽음 앞의 인간』새물결, 2004
富谷 至(도미아 이따루), 임병덕 외1인 역『유골의 증언』서경문화사, 1999
J.B. 노스, 윤이흠 역『세계종교사』상,하, 현음사, 1986
Jacques Barozzi 『Guide des Cimetières Parisiens』(프랑스)Editions Hervas, 1990
井上治代(이노우에 하루요), 이성환 이미애 역『현대 일본인의 삶과 죽음』중문, 2004
村山智順, 崔吉城 譯『朝鮮의 風水』민음사, 1990
村山智順, 鄭鉉祐 譯『韓國의 風水』명문당, 1991
河邑厚德 林由香里, 허일범 허영범 역『티베트 死者의 書』불교춘추사, 1998
佐藤 昌 譯著『西洋墓地史』Ⅰ, Ⅱ, 社團法人日本公園綠地協會, 1988
八木澤壯一 외 1『火葬場』(日本)大明堂, 1983
八木澤壯一 『火葬場及び關聯施設に關する建築計劃的硏究』(日本)1982
橫田 睦 『お骨のゆくえ- 火葬大國日本の技術』(日本)平凡社, 2000
小島麗逸『アジア墳墓考』勁草書房, 1994
森謙二『墓と葬送の社會史』(日本)講談社, 1993(번역본)
森謙二『墓と葬送の現在』(日本)東京堂出版, 2000
井上治代『지금 장례식·묘지가 변한다』(日本)三省堂, 2000(번역본)
현대묘지연구회『묘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日本)다이아몬드사, 2000(번역본)
黑田輝政『묘의 새로운 사고』(日本)미네르바書房, 1992(번역본)
鳴海德直『ああ火葬』(日本)新潟日報事業社, 1995
鯖田豊之『火葬の文化』(日本)新潮選書, 1990
陶立璠(김종식 역) 『중국민속학의 이해』 집문당, 1997
東京都『江戶の葬送墓制』東京都公文書館, 1999
<학위 논문> - 필자 성명 가나다 순
강순희「사례분석을 통한 공설납골시설의 이미지 개선에 관한 연구」2002년 울산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姜賢淑「高句麗 古墳 硏究」200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고호동「화장장 Scale merit에 관한 연구」2005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상장례전공 석사학위논문
김경숙「조선후기 山訟과 사회갈등 연구」2002년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경희「西洋 喪葬禮 儀式 및 服飾에 관한 연구』2001년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명희「매장에서 화장으로 : 죽음의 처리에 대한 국가의 개입」200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金文澤「16~17世紀 安東의 眞城李氏 門中 硏究」2005 한국학중앙연구원(구 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 대학원 문학박사학위논문
김우림「조선시대 神道碑·墓碑 연구」1998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욱일「비성서적인 기독교 상․제례의식 연구」2005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상 장례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재경「韓國의 納骨施設 建築計劃에 관한 연구」2002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재성「VEDA와 UPANISAD에서 불(火)의 形而上學」1981년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석사학위논문
金正鎬「綜合葬禮施設의 建築計劃에 관한 硏究 - 專門葬禮式場과 納骨堂 計劃을 중심으로」2001년 홍 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건축설계전공 석사학위논문
남상철「장례종사자의 감염예방대책과 사후관리에 관한 연구」2005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상장례전공 석사학위논문
노정렬「종합장례문화시설 건축설계 연구 - 공간 및 형태표현의 절제적 건축원리를 이용한 설계제 안」2000년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文鍾棋「都市내 納骨施設 設置計劃에 대한 硏究」2003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건축계획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문희정「르네상스 피렌체에서 장례문화와 젠더」2002년 서울대학과 대학원 서양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민병욱「화장문화 정착을 위한 장례문화시설 설계기준 연구」2001년 상명대학교 대학원 한경조경학전 공 박사학위 논문
朴成珪「公園墓地 計劃에 관한 硏究」1988년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조경설계전공 석사 학위논문
朴恩午「公園墓地 槪念을 적용한 都市公園造成方案에 관한 연구」1986년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 설계학과 조경설계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진아「도제 납골용기 개발 연구」2001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도예전공 석사학위논문
박호영「수도권시민들의 葬事意識 改善方案에 관한 연구」2005년도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 학과 석사학위논문
박희열「재난으로 인한 집단사망자의 장례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2005년 명지대학교 사회교 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상장례전공 석사학위논문
방정미「朝鮮前期 婦女子의 上寺問題」2000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역사교육전 공 석사학위논문
변영돈「高麗史와 高麗史節要에 나타난 自殺事例에 관한 연구」1988년 서울대학과 의학과 정신과학전 공 의학석사학위 논문
손경희「朝鮮時代 喪禮服飾의 現代的 理解」200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석사학위논문
송성호「전시공간과 납골공간을 수직적으로 연계한 도예인 추모 전시관 계획에 관한 연구」2001년 경 희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송현동「한국의 죽음의례 연구」2006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종교학전공 박사학위논문
安明仙「金屬製 納骨 奉安容器의 造形性에 관한 硏究」2006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금속조형전공 박사학위논문
안우환「화장장 관리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2002년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장례문화학과 석사 학위 논문
안호용「조선 전기 상제의 변천과 그 사회적 의미」1989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 문
양영훈「納骨堂 納骨室과 參拜室의 建築計劃에 관한 硏究」2000년 경상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 사학위논문
양윤식「화장장의 공간구성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2000년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전공 석 사학위논문
엄기표「고려시대 石造浮屠 연구」2003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廉日烈「協商을 통한 都市計劃施設 立地決定 要因에 관한 硏究 - 광주시 운정동 화장장 분쟁을 중심 으로」1998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吳榮模「전문 장례식장 조문공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2002년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학 전 공 석사학위논문
劉寬順「우리나라 襚衣에 關한 硏究 - 朝鮮朝를 中心으로」1990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의류 직물학전공 박사학위논문
柳喆熙「韓國葬禮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 特히 墳墓를 중심으로」1970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일 반사회전공 석사학위논문
李蘭暎「高麗時代의 墓誌硏究 - 묘지를 통홰 본 형식과 葬制」1971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李敏植「朝鮮時代 陵墓碑에 關한 硏究」1997년 한성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수장「기피시설입지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1996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박사학위논문
이 영「조선시대 王陵陵域의 建築과 配置形式 硏究」1992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윤숙「高麗時代 墓誌銘의 書體美 硏究」2002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사상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진우「한국사회 장묘관행 변화의 추세 연구 - 매장에서 화장으로」2004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 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춘열「韓․中․日 納骨施設 比較 硏究 - 制度․施設을 中心으로」2004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장례문화전공 석사학위논문
이 화「조선시대 묘지풍수신앙의 연구」1999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이희인「中部地方 高麗時代 古墳 硏究」2003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고고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장만희「도시 납골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2004년 인제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석 사학위논문
전재성『VEDA와 UPANISAD에서 불(火)의 形而上學』1981년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석사학위 논문
鄭肯植「朝鮮初期 朱子家禮規範의 수용에 관한 考察 - 喪禮를 중심으로」198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제사 전공 석사학위 논문
鄭肯植「朝鮮初期 祭祀承繼法制의 成立에 관한 硏究」199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제사 전공 박사학위 논문
정길자「新羅藏骨容器硏究」1979년 숭전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정길자「신라시대의 火葬骨藏用土器 硏究」1989년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鄭鍾秀「韓國 複葬制 硏究」1984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석사학위 논문
鄭鍾秀「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1994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정형철「고려시대 火葬에 대한 재검토」2002년 동아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정호기「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2002년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
조복란「현대 한국사회의 〈죽음〉 대응 양상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 ‘장례식’의 변화와 ‘〈죽음〉의 처리’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2001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趙連美「朝鮮時代 神道碑 硏究」1999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한국미술사 전공 석사학위 논문
조정래「장묘제도의 개선방안으로 화장에 관한 연구」1998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석사 학위 논문
최경미「火葬에 대한 고등학생의식 연구」2002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최해율「조선시대 상장례·상례행렬복식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199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최현숙「한국의 사적 원조연결결망에 있어서의 상례부조에 관한 연구」1990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 회복지학과 사회복지전공 박사학위논문
최호림「조선시대 墓制에 관한 연구」1983년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하태섭「일상적 공공공간으로서 납골당 계획에 관한 연구」2001년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건축설계 전공 석사학위논문
황을순「佛敎傳來와 冠婚喪祭에 관한 연구」1985 동아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 논문
黃晸郁「高麗時代 石槨墓佛 硏究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2002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미술사 전공 석사학위 논문
Nguyen Tai Phuong Mai「한국과 베트남의 전통 장례 비교 연구」200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 과정 한국학전공 석사학위논문
<일반 논문 등> - 필자 성명 가나다 순
강기홍「독일 장사법 체계에서 수목장」『공법학연구』제7권 제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6
강동구「장묘관련학과의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강봉룡「영산강 유역 '옹관고분'의 대두와 그 역사적 의미 - 타지역 옹관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론』41·42, 서울대국사학과, 1999
강성경「원불교의 죽음관 一考 - 천도품과 생사편을 중심으로」『원불교학』제6집, 한국원불교학회, 2001
강성경「한국의 전통喪禮와 죽음관 연구(2)」『민속학술자료 총서 311 - 禮, 喪ㆍ祭禮 6』우리마당 터, 2003
강수길「죽음이 결정하는 삶의 형태 - 全商國의 소설 高麗葬을 중심으로」『국어교육』제46집, 한국 어교육학회, 1983
강순희, 성인수「도시규모에 따른 공설납골당의 설치유형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 집』제21권, 2001
강위원, 김시덕, 안화춘「중국 흑룡강성 조선족 생활문화의 지속과 변동 - 의례와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제12집, 한국사진학회, 2005
강인구「백제의 화장묘 - 새로운 백제묘제」『미술사학연구』한국미술사학회, 1972
강인구「백제의 화장묘·3」『백제 웅진천도 1500주년 기념 논총』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75
강인구「중국지역 화장묘 연구」『진단학보 46·47』진단학회, 1979
姜仁求「中國墓制가 武寧王陵에 미친 影響」『백제 무녕왕릉 연구논문집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 소, 1991
고부자「보성 삼베 연구」『복식문화연구』제12권 제1호, 복식문화학회, 2004
고부자「조선시대 남자복식」『환생 - 석주선박사 10주기 추모 출토복식 특별전』서울역사박물관, 단 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고수현「특수직역 연금기금의 장사복지사업 참여방안」『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고승희「비선호시설의 입지갈등의 요인에 대한 연구」『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 회, 2002
고영진「15․16世紀 朱子家禮의 시행과 그 意義」『한국사론』제21집,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9
고호동「화장장 Scale merit에 관한 연구」『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공병석「『禮記』 喪葬觀의 人文意識」『유교사상연구』제20집, 한국유교학회, 2004
郭長根「湖南 東部地域 古冢의 분포상과 그 意味」『백제연구』제31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關根英行「일본 葬制에 나타난 淨化관념」『일본학보』제52집, 한국일본학회, 2002
구미래「불교전래에 따른 火葬의 수용양상과 변화 요인」『민속문화의 전통과 외래문화』실천민속학 회편, 집문당, 2002
구미래「火葬을 하면서 무덤도 달라졌다」『민속문화가 외래문화를 만나다』실천민속학회 편, 집문당, 2003
구미래「불교 천도재에 투영된 유교의 제사 이념」『한국민속학』제42집, 한국민속학회, 2005
구성회「漢代厚葬風習과 薄葬論」『사림』제15집, 수선사학회, 2001
구인회「죽음의 개념과 뇌사찬반론」『과학사상』범양사, 2004
권복규「朝鮮前期의 역병 유행에 관하여」『한국사론』43집, 서울대학교국사학과, 2000
권성수「장례문화의 발상전환을 위한 제언」『신학지남』1999년 봄호, 신학지남사
권영숙 외1인「출토복식을 통해 본 임란 전후 대전지역의 염습제도와 의생활 양식」『한국의류산업학 회지』제8권 제3호, 한국의류산업학회, 2006
권오경「상여소리의 자장가 사설 수용 양상」- 풍수신앙을 중심으로『문학과 언어』제16집, 문학과언 어학회, 1995
권오성「상여소리의 음악적 특성」- 선율골격을 중심으로 -『국악과 교육』제3집, 한국음악교육학회, 1979
권오영「중서부지방 백제 토광묘에 대한 시론적 검토」『백제 연구』제22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1
권오영「고대 한국의 喪葬儀禮」『한국고대사 연구』20,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경문화사, 2000
권오영「喪葬制를 중심으로 한 武寧王陵과 南朝墓의 비교」『백제문화』3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 소, 2002
권오현「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연구」『한국학 논집 제28집』계명대학교 한국학연 구소, 2001
권태원「羅代 喪․葬風에 대하여」『호서사학』제3집, 호서사학회, 1974
김경숙「朝鮮後期 親族秩序와 宗山紛爭」『조선시대사학보』조선시대사학회, 2000
김경숙「18, 19세기 사족층의 墳山 대립과 山訟」『한국학보』일지사(한국학보), 2002
김경혜「수도권 주민의 장례의식 변화」『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김경희, 이순흥「西洋 壽衣文化에 관한 연구」『복식문화연구』제9권 제3호, 복식문화학회, 2001
김규식 외 8인「사망진단서(사체검안서) 작성의 문제점」『대한응급의학회지』제11권, 대한응급의학회, 2000
김기덕「한국의 매장문화와 화장문화」『역사민속학』제16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3
김기선「風水地理學의 現場論的 理解」『민속학술자료총서 191 - 風水地理 2』우리마당 터, 2002
김기선「葬事法令의 문제점과 개정방향」『민속학술자료총서 311 - 禮, 喪ㆍ祭禮 6』우리마당 터, 2003
김기선「蒙古秘史에 나타난 몽골인의 장례습속」『몽골학』제13집, 한국몽골학회, 2002
김기주「조선중기 이후 가례서와 반가에서의 행례 공간 연구」『민속학연구』제12호, 국립민속박물 관 2003
김기웅「고분에서 엿볼 수 있는 신라의 장송문화」『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 - 신라 종교의 신 연구』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4
金基鉉「儒敎의 喪葬禮에 담긴 生死意識」『유교사상연구』제15집, 한국유교학회, 2001
金吉植「古代의 氷庫와 喪葬禮」『한국고고학보』제47권, 한국고고학회, 2002
김달수「묘지제도 변천과 분묘기지권의 적용배제에 관한 연구」『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 학회, 2004
김달수「장사시설 등의 생활방해에 관한 연구」『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김달수「부산시와 경남의 장사시설에 관한 연구」『제8차 정기학술대회 자료집』한국장례문화학회, 2006
金大煥「新羅 古冢의 지역성과 의의」『신라문화』제23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김도경, 최우영「추모공원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추모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 학회지』제31권, 한국조경학회, 2003
김도경․조용철․김승현「애견 추모 공원 계획안」『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논문집』제7집,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2004
김도희「NIMBY와 PIMFY 시설입지정책의 갈등구조 비교분석 - '북구 화장장 유치사업'과 '경부고속 전철 울산역 유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제13권 1호, 한국정책학회, 2004
金東奎「葬法散考」『비교민속학』제4집, 비교민속학회, 1989
김동식「신소설에 등장하는 죽음의 양상」- 소문과 꿈을 중심으로『한국현대문학연구』제11집, 한국 현대문학연구, 2002
金東旭, 高福男「出土 朝鮮時代 遺衣의 服飾史的 硏究」『복식』제2집, 한국복식학회, 1978
김두규「(왜)조선후기에는 묘지풍수가 유행했나?」『내일을 여는 역사』제17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4
김두섭, 이삼식「지역의 생태환경에 따른 사망원인구조의 차이」『한국사회학』제38집 4호, 한국사회학회, 2004
金明淑「朝鮮後期 士大夫 服飾 試論 - 洪禹協 墓 出土遺衣를 中心으로」『복식』제17집, 한국복식학 회, 1991
김명숙「조선시대 왕실 상례의 욕의와 염습의」『충청대학논문』제21집, 충청대학교, 2002
金玟漢「高麗葬說話의 虛構性에 關한 硏究」『한국사상과 문화』제5집, 한국사상문화학회, 1999
金三代子「喪葬禮 用具 및 用品」『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1990
김상우「일상생활의 위기와 커뮤니케이션 - 죽음 의례 속의 유가족 의사결정을 중심으로」『언론과 정보』제10집, 부산대학교언론정보연구소, 2004
김상준「조선시대의 예송과 모랄폴리틱」『한국사회학』제35집 2호, 한국사회학회, 2001
김선경「조선후기 山訟과 山林 所有權의 실태」『동방학지』제77, 78, 79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3
김선근「불교의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고찰」『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김선풍「우리나라 喪禮와 喪輿의 특질」『민속학술자료 총서 106 - 禮, 喪ㆍ祭禮 2』우리마당 터, 2001
김성환「고려시대 묘지명 신례」『한국문화』제25집,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문화), 2000
金世基「墓制로 본 伽倻社會」『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3
金素希「죽음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종교교육학연구』제15권, 한국종교교육학회, 2002
김수민「평양지역 고구려변화수렵도에 보이는 생사관」『고구려연구』제15집, 고구려연구회, 2003
김순미「불가의 상례와 僧喪服圖」『동양한문학연구』제21집, 동양한문학회, 2005
김승태「양화진 외국인 묘지 설정 과정 재검토」『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식』제74호, 한국기독교역사 연구소, 2006
김시덕「가정의례준칙이 현행 상례에 미친 영향」『역사민속학』제12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김시덕「神主의 有無에 따른 喪禮의 差異」『역사민속학』제15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김시덕「현행 상례용어의 변용」『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김시덕「고구려 상례문화의 정체성」『역사민속학』제18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4
김시덕「일본의 장제디렉터 제도」『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김시덕「현대 도시공간의 상장례문화」『한국민속학』제41집, 한국민속학회, 2005
김시덕「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장례의 문화적 전통」『도시 속의 민속』제16회 실천민속학회 동계 전국학술논문발표대회, 실천민속학회, 2006
김시덕「일본식 화장과 납골묘가 현대 한국의 장묘문화에 미친 영향 - 그 문제점을 중심으로」『도시 민속학의 방법과 방향Ⅱ』한국민속학회 제172차 학술발표회, 2006
金時晃「韓國 喪禮 初喪 硏究」『東洋禮學』제7집, 동양예학회, 2002
金時晃「韓國 喪禮 葬禮 硏究」『東洋禮學』제8집, 동양예학회, 2002
김신미, 이윤정, 김순이「노인과 성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연구」『한국노년학』제23집, 한 국노년학회, 2003
김영관「조선시대 치관(治棺)과 치장(治葬)의 일반적 경향」『환생 - 석주선박사 10주기 추모 출토복 식 특별전』서울역사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김영미「불교의 죽음관」『전주사학』제7집, 전주대 역사문화연구소, 1999
김영미「불교의 수용과 신라인의 죽음관의 변화」『한국고대사 연구』20,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경문 화사, 2000
김영미「18세기 전반 향촌 양반의 삶과 신앙」- 이준의 《도제일기》를 중심으로『사학연구』제82호, 한국사학회, 2006
김영삼, 김종배, 윤정의, 황규성, 임용빈「병원성 Versinia enterocolitica 균주 검출을 위한 이중 PCR 분석」『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김영삼, 김기명, 조진연, 윤정의, 황규성「항성제 내성균의 고찰을 통한 장례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김영수「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한국민속학』제35집, 한국민속학회, 2002
김영숙「死의 不淨에 대한 一考察 - 今昔 編者의식을 중심으로」『일어연구』제19집, 한국외대일본연 구소, 2002
김영진「고대 이스라엘의 죽음에 대한 이해」『한국기독교사학논총』제32집, 한국기독교학회, 2004
金榮煥「拓跋鮮卑 初期의 喪葬 習俗 小考 - 北魏 建國 以前의 墓葬을 중심으로」『명지사론』제11, 12집, 명지사학회, 2000
金容德「喪葬禮 風俗의 史的 考察」『민속학술자료총서, 예 상제례』7, 우리마당 터, 2003
김용서 외3인「한국 상례복에 관한 연구」『한복연구』제6권2호, 한복문화학회, 2003
김용선「고려 지배층의 매장지에 대한 고찰」『동아연구』제17집,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1989
김용선「고려 귀족의 결혼․출산과 수명」『한국사연구』제103집, 한국사연구회, 1998
김용선「고려묘지명 - 돌에 새긴 삶과 사회」『다시 보는 역사편지 - 고려묘지명』국립중앙박물관, 2006
김용표「죽음 종교교육적 접근 ; 불교에서 본 죽음과 종교교육」『종교교육학연구』제19집, 한국종교 교육학회, 2004
金龍星「新羅 古冢의 擴散過程」『신라문화』제23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金右臨「朝鮮時代 墓碑文을 통해서 본 合葬 問題」『한국복식』제17집,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 관 등, 1999
김우림「조선시대 묘제에 나타난 상징체계」『역사민속학』제2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0
김우림「조선시대 묘제에 대한 이해」『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보고서』고려대학교 박물관, 2003
김우림「조선시대 묘제의 변천과정 및 출토복식」『환생 - 석주선박사 10주기 추모 출토복식 특별 전』서울역사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김윤정「朝鮮中期 祭祀承繼와 兄亡弟及의 변화」『조선시대사학보』20집, 조선시대사학회, 2002
金益洙「韓國人의 孝思想 形成과 家庭精神」『한국사상과 문화』제3집, 한국사상문화학회, 1999
김인락, 홍원식「동양의학의 생사론 연구 ;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원전사학교실」『대한원전의사학회 지』제3집, 대한원전의사학회, 1989
김재복「NIMBY현상 해결사례 - 수원시 화장장 이전건립 사례 중심으로-」『도시문제 36호』대한지 방행정공제회, 2001
김재현「人骨로 본 고대 한일 관계사」『한국고대사연구』한국고대사학회편, 서경문화사, 2002
김정배「魏志東夷傳에 나타난 고대인의 생활습속」『대동문화연구』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9
김정호, 박언곤「전문장례식장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제21 권 1호, 2001
김정희「종설 ; 죽음에 대한 소고 - 주요 종교의 죽음관을 중심으로」『보건과 사회과학』제18집, 한 국보건사회학회, 2005
김종인「노인의 사망원인에 대한 거주지역간 사회 환경요인 분석」『한국노년학』제25권 제2호, 한국 노년학회, 2005
金鍾徹「大伽倻墓制의 編年硏究 - 高靈 池山洞 古墳群을 중심으로」『한국학논집』제9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2
김종헌․김정태․전동훈「이탈리아 묘지건축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논문 집』제4집,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 연구원, 2001
김종헌「현대 묘지 건축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 논문집』제1집, 경희대학교 산 학협력기술연구원, 1995
김지수「전통예법과 철학사상에서 본 분묘발굴과 매장문화」『법사학연구24』한국법사학회, 2001
김천영「님비현상과 지방자치」열린사이버대학 강의록, 2001
김철자「영흥도 지방의 제사와 상례절차」『幾甸문화연구』제28집, 인천교육대 기전문화연구소, 2000
김태현, 한은주「장묘문화의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생활문화연구』제17집,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 화연구소, 2003
김학수「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증시(贈諡) 행정」『고문서연구』제23집, 한국고문서학회, 2003
김한양, 백운철「비대칭정보 수용자의 주민기피시설 인식도에 대한 실증분석」『부동산정책연구』제5 집 제2호, (사)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04
김향태, 이정만「이용자 중심으로 본 종합병원 영안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한국의료복지시설 학회지』제16집 제11호,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0
김헌선「상여소리 짝소리의 가창방식, 생성조건, 분포와 변이」『한국민요학』제11집, 한국민요학회, 2002
김혜정「씻김굿 상여소리의 사용양상과 민요, 무가의 관계 -순천과 진도 씻김굿을 중심으로」『공연 문화연구』제12권, 한국공연문화학회, 2006
金 澔「奎章閣 소장 ‘檢案’의 기초적 검토」『조선시대사학보』제4집, 조선시대사학회, 1998
金 澔「新註無寃綠과 조선전기의 檢屍」『법사학연구』제27호, 한국법사학회, 2003
김호병「21세기 ‘葬地文化’에 대한 방향 고찰」『논문집』제19집, 원광보건전문대학, 1996
김호상, 김재현「신라 왕경 소재 화장묘의 구조와 출토인골 분석」『신라 문화제 학술논문집』제26집, 경주사학회, 2005
김효경「조선후기 능참봉에 관한 연구 - 頤齋亂藁 莊陵參奉 자료를 중심으로」『고문서연구』제20집, 한국고문서학회, 2002
김효경「파평 윤씨 정정공파 교하 종중의 제사」『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보고서』고려대학교 박 물관, 2003
김후련「日本神話에 나타난 타계관」『일어일문학연구』제33집, 한국일어일문학회, 1998
金厚蓮「葬送儀禮からみた他界の變遷過程 - 黃泉から地獄へ」『일어일문학연구』제35집, 한국일어일문학 회, 1999
김후련「고대 일본인의 장송의례」『비교민속학』제23집, 비교민속학, 2002
나수임「한국의례복식의 기호학적 분석(Ⅱ) - 조선시대 상례복식을 중심으로」『복식문화연구』제8권 제5호, 복식문화학회, 2000
나희라「西王母神話에 보이는 古代 中國人의 生死觀」『종교학연구』제15집,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 회, 1996
나희라「고대 한국의 타계관」『한국고대사 연구』30,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경문화사, 2003
나희라「고대의 상장례와 생사관」『역사와 현실』제54권, 한국역사연구회, 2004
남궁호「성남시 화장장시설 설비설계사례」『건축설비』 제2권 제4호, 한국건축설비학회, 1999
南珉㺿, 韓明淑「수의의 금기에 관한 고찰」『복식문화연구』제7집, 복식문화학회, 1999
南珉㺿, 韓明淑「조선시대 수의와 현행 수의의 착의법에 관한 연구」『복식문화연구』제8집, 복식문화 학회, 2000
남종진「중국 묘지명 기원 고」『중국어문학논집』제26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
盧明鎬「高麗의 五服親과 親族關係 法制」『한국사연구』33, 한국사연구회, 1981
魯成煥「韓國 焚身의 象徵的 意味」『비교민속학』제12집, 비교민속학회, 1995
노성환「사후결혼의 구조연구」『비교민속학』제16집, 비교민속학회, 1999
魯成煥「韓國 割腹에 관한 硏究」『일본문화학보』제14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02
魯成煥「韓國 焚身과 日本의 割腹」『일본어문학』제12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02
魯成煥「韓․中․日 割腹의 比較硏究」『비교민속학』제23집, 비교민속학회, 2002
盧仁淑「中國에서의 喪禮文化의 展開」『유교사상연구』제15집, 한국유교학회, 2001
니시오 나오야「일본 간사이대학 박물관 소장 고려 묘지」『역사와 현실』한국역사연구회, 2002
도민재「조선 초기 유교의례와 예속의 보급」『동양철학』제15권, 한국동양철학회, 2003
류성민「현대 한국 기독교의 죽음관 - 장례 의식을 중심으로」『전주사학』제7집, 전주대 역사문화연 구소, 1999
류인희「儒家의 죽음의 이해 - 살아도 죽은, 죽어도 산 삶」『동서철학연구』제23집, 한국동서철학회, 2002
류종목「상여소리의 판소리 편입 양상」『한국민요학』제9집, 한국민요학회, 2001
류종목「민요에 표현된 한국인의 생사관」『한국민요학』제14집, 한국민요학회, 2004
馬宗樂「高麗中期 政治權力과 儒學思想」『부산사학』제32집, 부산경남사학회, 1997
문광희「한국의 상례복에 관한 연구」『한복문화』제2권3호, 한복문화학회, 1999
문애리「儒林葬의 의례절차와 사회적 의미」『역사민속학』제8집, 역사민속학회, 1999
문영석「해외 죽음학(Thanatology)의 동향과 전망」『종교연구』제39집, 한국종교학회, 2005
문을식「불교는 죽음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보조사상』제22집, 보조사상연구원, 2004
문지성「今本《儀禮》喪服經傳의 성립과정」『중국어문학논집』제8호, 중국어문학연구회, 1996
문지성「유가의 인간관계 모델에 대한 수치적 이해」- 《의례》‘상복’을 중심으로『중국어문학논집』 제9호, 중국어문학연구회, 1997
민병욱, 이행렬, 이재근「화장장 이용자의 시설요구에 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27호, 한국조경 학회, 1999
박경애「혼인 상태가 성별 사망력에 미치는 영향」『한국사회학』제28집, 한국사회학회, 1994
박광렬「新羅 積石木槨墓의 開始에 對한 檢討」『경주사학』제20호, 경주사학회, 2001
박광수「원불교의 천도제 의례」『원불교 사상과 종교문화』제31집,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5
박두이「喪葬服의 構造와 構成原理」『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1990
박명근「수도권지역 납골시설에 관한 연구」http://www.zenculture.org, 2005
박미해「조선중기 이문건 가의 遷葬禮 준비」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사회와 역사』제68권, 한 국사회과학회(문학과 지성사), 2005
朴普鉉「短脚高杯로 본 積石木槨墳의 消滅年代」『신라문화』제15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8
朴相晧「葬事法의 問題點과 改善方案」『토지법학』제18호, 한국토지법학회, 2003
박선경「한국인의 죽음관」 - 신화․설화에 나타난 죽음의 상징-『한국문학과 비평』제5집,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학회, 1999
박성규「주자의 제사론 - 귀신문제를 중심으로」『동방학지』제121호, 2003
朴聖實「朝鮮前期 出土服飾 硏究 - 壬亂以前 時期를 中心으로」『복식』제19집, 한국복식학회, 1992
박성실「京畿道 水軍節度使 兼 三道統禦使 李行益公 出土服飾 小考」『박물관지』제3집,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1996
박성실「출토복식을 통해 보는 조선시대 여성들의 옷맵시」『환생 - 석주선박사 10주기 추모 출토복 식 특별전』서울역사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朴淳發「漢城百濟 成立期 諸墓制의 編年檢討」『선사와 고대』제6집, 한국고대학회, 1995
朴淳發「墓制의 政治․社會的 含意 - 家族合葬墓 登場의 背景을 중심으로」『사학논총』사학논총 간 행위원회, 2000
朴順浩「全北地方의 草墳에 대하여」『한국민속학』제10집, 한국민속학회, 1977
박아론「장례문화에 대한 고찰」『신학지남』1999년 봄호, 신학지남사
朴永福「古新羅時代 墓制硏究」『사학지』제11집, 단국사학회, 1977
박윤미, 황은경, 정복남「宜寧 全義李氏 出土服飾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복식문화연구』제11집, 복식문화학회, 2003
박인재, 이재근「서울시 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한국정원학회지』제20권 4호, 한국정원학회, 2002
박전열「일본의 화장풍속의 정착과정 연구」『일본학보』제57집 2권, 2003
박정규「국어 ‘죽음어’의 구조 및 의미적 양상」『어문연구』통권 제104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1
박정석「장례사의 업무와 죽음에 대한 태도 - 광주지역 장례사를 중심으로」『보건과 사회과학』제12 집, 한국보건사회학회, 2002
박정석「도시지역의 장례공간과 장례방식에 대한 사례 연구 - 광주시 지역을 중심으로」『비교민속 학』제25집, 비교민속학회, 2002
박종찬「효율적인 국토이용을 위한 묘지조형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디자인학연구』제12권제4호, 한국디자인학회, 1999
박중균「淸州地域의 元三國期古 墓制의 基礎的 硏究 - 土壙墓를 중심으로」『호서고고학』제2집, 호 서고고학회, 1999
박진아「도제 납골용기 개발 연구」2001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도예전공 석사학위논문
朴鍾天「조선시대 典禮論爭에 대한 재평가 - 入承大統의 전례문제를 중심으로」『한국사상과 문화』 제11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朴鍾天「仁祖代 典禮論爭(1623~1635)에 대한 宗敎學的 再評價」『종교학연구』제17집, 서울대학교 종 교학연구회, 1998
박진태「한국 고대제의의 종류와 연극의 형성」『공연문화연구』제7집, 한국공연문화학회, 2003
박철민「부산시 영락공원 신축공사 설비설계 사례」『건축설비』제2권 제4호, 한국건축설비학회, 1999
박태호「일본 화장장문화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새서울 터전』서울특별시, 2000
박태호「한국 고대의 火葬文化에 관한 연구 - 고고학적인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장례문화연구』제 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박태호, 김시덕「조선시대 묘비의 종류와 특징」『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박혜인「가정의례의 변화와 21세기 지향모색」『한국가족복지학』제6권 1호, 한국가족복지학회, 2001
박희정「장례서비스 개선을 위한 새로운 접근」『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방학봉「발해 정효공주무덤과 하남툰무덤에 대하여」『한국학보72』한국학보(일지사), 1993
방학봉「발해인의 매장습관과 그의 특징에 대하여」『한국전통문화연구 제6집』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0
배병일「분묘기지권에 관한 고찰」『새마을 지역개발 연구』영남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1998
배상경「장기 정씨묘 출토복식에 대한 보존처리」『복식』제47집, 한국복식학회, 1999
裵相賢「《朱子家禮》와 그 朝鮮에서의 行用過程」『동방학지』제70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배영동「안동포 생산과 소비의 전통과 현대적 의미」『한국민속학』한국민속학회, 2003
백두현「언간을 통해서 본 선비문화 -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제례와 상례」『선비문화』제8 집, 남명학연구원, 2005
백문임「멜로드라마와 한(恨)의 미학 - ‘갯마을’과 ‘월하의 공동묘지’를 중심으로」『민족문학사연구』 제29집, 민족문학사학회, 2005
백석종·이옥분「전통 성묘문화와 공간성을 고려한 납골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전주대학교 공학 기술종합연구소 학술논문집 제7권 제1호』2001
백승옥「광개토왕릉비의 성격과 장군총의 주인공」『한국고대사연구』제41집, 한국고대사학회, 2006
백종섭「서울시 추모공원 건립정책의 갈등원인과 해결방안」『한국행정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한국행정학회, 2002
邊寧振「禮樂思想의 本質을 통해 본 朝鮮後期 禮訟의 倫理的 意味」『한국사상과 문화』제7집, 한국 사상문화학회, 2000
세키네히데유키(關根英行)「한국인과 일본인 영혼관의 연원에 관한 고찰」- 초혼재생(招魂再生)․정화 (淨化)․탈혼(脫魂)『일본문화연구』제4집, 동아시아 일본학회, 2001
山本孝文「古墳資料로 본 新羅勢力의 湖西地方 進出」『호서고고학』제4,5집, 호서고고학회, 2001
山本孝文「伽倻地域 橫穴式石室의 出現背景 - 墓制 變化의 諸側面에 대한 豫備考察」『백제연구』제 34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1
徐永大「新羅의 佛敎受容과 天神觀念」『한국사상사학』제10집, 한국사상사학회, 1998
徐仁漢「仁祖初 服制論議에 대한 小考」『북악사론』제1집, 북악사학회, 1989
석대권「제례를 통해서 본 종교적 관념의 변화」『비교민속학』제24집, 비교민속학회, 2003
成洛俊「甕棺古墳의 墳形喪 - 方臺形과 圓形墳을 中心으로」『호남고고학보』제5집, 호남고고학회, 1997
成炳禧「喪葬禮에 있어서의 女性의 役割」『여성문제연구』제11집,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 구소, 1982
소황옥 외1인「한국 전통 상복과 현대의 상복 변화에 관한 연구」『한복문화』제7권3호, 한복문화학 회, 2004
손정일「고대 중국인의 사후 인식」『중국어문학 논집』제29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4
송기호「발해 정효공주 묘비의 고증에 대하여」『한국문화』제2집,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 국문화), 1981
宋基豪「발해의 多人葬에 대한 연구」『한국사론』제11집,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4
송길원「기독교와 장례문화 ; 화장 문제에 대한 사회 문화적 논의」『성경과 신학 26』한국복음주의 신학회, 1999
송미경「18세기 여성 엽습의(斂襲衣) 일례에 관한 고찰 - 안동권씨(1664~1722) 출토복식을 중심으 로」『복식』제52집, 한국복식학회, 2002
송미경「驪興 閔氏(1586~1656) 墓 出土服飾」『복식』제53집, 한국복식학회, 2003
송성호, 김종헌「납골당 수직적 연계를 위한 동선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제21권, 2001
宋宰鏞「韓․中․日 儀禮에 나타난 共通性과 多樣性」『비교민속학』제21 , 비교민속학회, 2001
송재용「儀禮와 敎育」『비교민속학』제25집, 비교민속학회, 2003
송재용「儀禮와 政治」『비교민속학』제26집, 비교민속학회, 2004
송현동「근대 이후 상장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역사민속학』14,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송현동「현대 한국 장례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종교연구』제32집, 한국종교학회, 2003
송현동「한국 장례연구의 경향과 과제」『한국문화인류학』제37권 2호, 한국문화인류학회, 2004
송현동「의례와 사회변화 - 장례식장을 중심으로」『종교연구』제35집, 한국종교학회, 2004
송현동「한국사회의 죽음에 대한 태도 - 죽음의 경관을 중심으로」『비교문화연구』제11집 2호, 서울 대 비교문화연구소, 2005
송현동「현대 한국의 장례의식에 나타난 죽음관」『종교연구』제43집, 한국종교학회, 2006
송현동「장묘문화개선운동의 성과와 한계」『제8차 정기학술대회 자료집』한국장례문화학회, 2006
宋涍禎「高麗時代 疫疾에 대한 硏究 -12․13세기를 중심으로」『명지사론』11,12집, 명지사학회, 2000
申大鉉「韓國 古代 舍利莊嚴의 樣式 硏究 - 특히 寶閣形 舍利器의 발생과 전개에 대하여」『문화사 학』제17집, 한국문화사학회, 2002
신점식「전통 상장례에 나타난 한국인의 죽음관 연구」『민속학술자료총서, 예 상제례』7, 우리마당 터, 2003
申千湜「晋州 石岬山 古墳群의 銘文 檢討」『명지사론』제13집, 명지사학회, 2002
신호철「충북대박물관 소장 묘지 연구」『호서사학』제39집, 호서사학회, 2004
沈奉謹「日本 支石墓의 一考察」『부산사학』제3집, 부산경남사학회, 1979
沈富子, 全惠淑「文益新墓의 出土服飾」『복식』제10집, 한국복식학회, 1986
심한수「대형 참사현장에서 Embalming의 역할 탐색」『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심혁주「티벳 천장의 문화적 고찰」『중국학연구』제37집, 중국학연구회, 2006
심희기「양반사회의 산송과 묘지풍수」『한국 법제사 강의』삼영사, 1997
안동환「발해만 타기도 사람들의 상장의례」『중국인문과학』제30집, 중국인문학회, 2005
안명선「납골봉안용기의 현대적 모색」『제8차 정기학술대회 자료집』한국장례문화학회, 2006
안명숙, 김은정「光州出土 長澤高氏 服飾遺物에 관한 연구」『한국의류학회지』제24집, 한국의류학회, 1998
안명숙「17세기 여자 출토복식의 일례 - 전남 영암출토 경주이씨(?~1684) 분묘의 출토복식을 중심으 로」『복식』제51집, 한국복식학회, 2001
안명숙「남도지역 출토복식의 현황과 연구과제」『한국의류학회지』제25집, 한국의류학회, 2001
안양규「화장에 대한 현대 한국 종교인의 태도」『종교연구』26집, 한국종교학회, 2002,
안우환「집단묘지 재개발 실태 및 발전방향」『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安鍾範「韓國 民謠에 나타난 죽음 意識」『중앙민속학』제3집,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1991
양귀만「묘지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대한부동산학회지』제22집, 대한부동산학회, 2004
엄경흠「경상도 상여소리와의 비교를 통한 <청산별곡> 이해」『한국시가연구』제16집, 한국시가학회, 2004
嚴基杓「新羅 僧侶들의 葬禮法과 石造浮屠」『문화사학』제18집, 한국문화사학회, 2002
엄익성「高麗時代 古墳에 대한 一考察」『고려시대의 용인』학연문화사, 1998
여호규「집안지역 고구려 초대형 적석묘의 전개과정과 피장자 문제」『한국고대사 연구』41, 한국고 대사학회, 2006
오용록「상여소리를 통해 본 노래의 형성」『한국음악연구』제30집, 한국국악학회, 2001
오진탁「죽음을 알면 자살할 수 없다」『중국철학』제12집, 중국철학회, 2004
오진탁「우리는 어떻게 죽는가 - 죽음 앞의 인간; 9가지 차등」『중국철학』제13집, 중국철학회, 2005
옥택근「시체검안서 작성을 위한 사망원인 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대한응급의학회지』제17권 제3 호, 한국응급의학회, 2005
우택주「고대 이스라엘과 유다의 장례예식」『성경과 신학』제26집, 한국복음주의신학회, 1999
유경돈, 동정근「납골시설의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제16권,2000
劉寬順「韓國 襚衣의 文獻的 考察」『복식』제17집, 한국복식학회, 1991
劉寬順「現行 襚衣에 關한 硏究(Ⅰ)」『복식』제21집, 한국복식학회, 1993
劉寬順「中國 襚衣의 文獻的 考察」『복식』제25집, 한국복식학회, 1995
劉寬順「現行 襚衣에 關한 硏究(Ⅱ)」『복식』제30집, 한국복식학회, 1996
劉寬順「韓國襚衣와 中國襚衣와의 文獻的 比較硏究」『복식』제34집, 한국복식학회, 1997
劉寬順「文獻에 나타난 襚衣와 現行 襚衣와의 比較硏究」『복식』제39집, 한국복식학회, 1998
劉權鍾「韓國에서의 喪禮文化의 展開」『유교사상연구』제15집, 한국유교학회, 2001
유권종「유교의 상례와 죽음의 의미」『철학탐구』제16집, 중앙대학교중앙철학연구소, 2004
劉永奉「韓國의 歷史와 風水地理」『한국사상과 문화』제19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3
유영옥「고대 한국의 타계관」『한국고대사 연구』30,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경문화사, 2003
柳 哲「학봉 김성일의 부친상 행례의절」『동양한문학연구』제21집, 동양한문학회, 2005
柳 哲「全北地方 墓制에 대한 小考 - 百濟 南進 前後時期를 중심으로」『호남고고학보』제3집, 호남 고고학회, 1995
유효철 외2인「전통 민요의 문화콘텐츠화 방향 연구」 -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를 중심으로『인문콘 텐츠』제7호, 인문콘텐츠학회, 2006
유흔우「유교 종교성 논쟁의 기초문제 - 죽음관과 신비체험」『동서비교저널』제12집, 한국동서비교 문학학회, 2005
柳喜洙「14세기 중엽 페스트가 죽음과 저승의 이미지에 끼친 영향」『사총』제46호, 역사연구회(구 고 대사학회), 1997
윤세영「新羅 火葬王考」『한국사학보』제6호, 고려사학회, 1999
윤용선「전통 상례 속에 나타난 빈상여놀이」『민속학술자료총서 311 - 禮, 喪ㆍ祭禮 6』우리마당 터, 2003
윤은영, 김은정, 김용서「현행 광주지역 장례식장의 喪服 연구」『복식문화연구』제12권 제4호, 복식 문화학회, 2004
윤홍기「한국 풍수지리 연구의 회고와 전망」『한국사상사학』제17집, 한국사상사학회, 2001
李光奎「草島의 草墳 - 草島 葬制에 관한 一考察」『민족문화연구』제3집,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 소, 1969
李根直「新羅 陵墓의 傳承過程 硏究」『경북사학』제23집, 경북사학회, 1985
李根直「新羅王陵 關係記事의 檢討 - 《三國史記》초기기록을 중심으로」『경주사학』제5집, 경주사 학회, 1986
李基白「新羅統一期 및 高麗初期의 儒敎的 政治理念」『대동문화연구』제6,7합집,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소, 1969
이기숙「낙동강 남부지역의 상례문화 실태조사 - 부산의 교사집단을 중심으로」『한국가정관리학회 지』제22권 5호, 한국가정관리학회, 2004
李吉杓「都市生活의 家庭經營觀과 家庭儀禮와의 相關關係」『대한가정학회지』제27권 1호, 대한가정 학회, 1989
이남석「청동기시대 한반도 사회발전단계문제」『백제문화』제16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85
李南奭「竪穴式 石棺墓의 收容樣相」『호서고고학』제4․5집, 호서고고학회, 2001
이남석「百濟墓制의 展開에서 본 武寧王陵」『백제문화』제31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2
이남석「고구려와 백제;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 문화」『고구려 연구』제20집, 고구려연구회, 2005
이덕진「유교와 불교의 생사관에 대한 일고찰」『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이덕진「한국 불교의 상장의례 - 釋門儀範 중심으로」『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이도희「한국 전통 상장례 중 몇 가지 의례절차의 상징성 - 분석 심리학적 입장에서」『심성연구』제 20집 제2호, 한국분석심리학회, 2005
이동주「한국인의 생사관」『한국개혁신학』제11집, 한국개혁신학회, 2002
이동후「조선(한)민족 전통예절 심포지움 ; 문상에 대한 현대적 의미」『동양예학』제6집, 동양예학회, 2001
李杜鉉「葬制와 關聯된 巫俗硏究 - 특히 草墳과 씻김굿에 대하여」『한국문화인류학』제6집, 한국문 화인류학회, 1973
이보형「팔도 상여소리에 나타난 지역성과 한국인의 죽음의식」『미술세계』통권80호, 미술세계, 1991
이봉규「조선후기 예송의 철학적 함의」-17세기 상복논쟁을 중심으로『한국학연구』제9집, 인하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1998
이몽일「한국풍수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변모과정」『민속학술자료 총서 191 - 風水地理 2』우리마당 터, 2002
이민주「상장례문화의 변화에 따른 수의연구」『복식문화연구』제8집, 복식문화학회, 2000
李範稷「朝鮮前期의 五禮와 家例」『韓國史硏究』제71집, 한국사연구회, 1990
李相均「韓半島 先史人의 죽음관」『선사와 고대』제16집, 한국고대학회, 2001
이상균「선사시대의 묘제와 죽음관」『한국인의 사후세계관』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이상식「외국인 묘지 기념물의 디테일 특성」『한국조경학회지』31호, 한국조경학회, 2004
이승수「죽음의 수사학과 권력의 상관성」『대동문화연구』제50집,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소, 2005
이승해「파평 윤씨 정정공파 묘역 석인상에 대한 고찰」『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보고서』고려대 학교 박물관, 2003
이연숙「絶離와 統合으로 본 통과의례의 공통성과 그 의미 - 혼례와 장례를 중심으로」『새얼語文論 集』제16집, 새얼어문학회, 2004
李榮文「印度의 巨石文化」『문화사학』제6,7집, 한국문화사학회, 1997
李榮文「湖南地域 靑銅器時代 墓制 硏究의 成果와 課題」『호남고고학보』제9집, 호남고고학회, 1999
이영식「장례요의 <회심곡> 사설 수용 양상」-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제15집, 한국민요 학회, 2004
이영애, 전진호「우리나라 상장례 문화의 발전을 위한 상장례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대한보건 협회학술지』제26권 제3호, 대한보건협회, 2000
李迎春「茶山의 禮學과 服制禮設」『조선시대사학보』제5집, 조선시대사학회, 1998
이용주「죽음과 재생 - 연금술에서의 죽음에 관한 심층심리학적 이해」『종교학연구』제17집, 서울대 학교 종교학연구회, 1998
李元澤「숙종초 乙卯服制 논쟁의 사상사적 함의」『한국사상사학』제14집, 한국사상사학회, 2000
이은봉「한국 의례문화의 이해 - 한국인의 질병․죽음․재해를 중심으로」『종교연구』제18집, 한국 종교학회, 1999
이은주「전통문화 속에서의 좌․우 개념」『한국민속학보』제8집, 한국민속학회, 1997
이은주「조선전기 斂襲衣의 일례 - 金欽祖(1461~1528) 분묘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비교민속학』 제15집, 비교민속학회, 1998
이은주「16세기 중엽 여성 斂襲衣의 일례 - 경북 안동시 정상동 일선문씨 분묘 출토복식을 중심으 로」『복식』제48집, 한국복식학회, 1999
이은주「17세기 전기 현풍 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복식』제51집, 한국복식학회, 2001
이은주, 박성실「조선시대 壽衣에 대한 역사적 고찰」『韓國의 壽衣文化』한국출토복식연구회 편, 도 서출판 신유, 2002
이은주「17세기 동래 정씨 興谷公派 一家 묘의 출토복식」『복식』제53집, 한국복식학회, 2003
이은주「長鬐 鄭氏(1565~1614) 墓의 출토복식 - 17세기 초 葬俗과 襲衣를 중심으로」『복식』제53집, 한국복식학회, 2003
李殷昌「新羅古墳의 造營과 思想 - 新羅墳墓가 지니고 있는 思想의 移行發展을 中心으로」『신라문화 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제12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1
이재운「한국인의 죽음관에 대한 설문조사 보고」『전주사학』제7집, 전주대 역사문화연구소, 1999
이재운「삼국․고려시대의 죽음관」『한국인의 사후세계관』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이정덕「현대 한국인의 죽음관」『한국인의 사후세계관』전주대학교출판부, 2001
이종수「특집, 동북아시아 고고학의 최근 연구성과 ; 송화강 유역 초기철기시대 문화 연구(2) - 서황 산 고분군을 중심으로」『선사와 고대』제22집, 한국고대학회, 2005
이종철「陰城 良俗마을의 喪禮」『민속학술자료 총서 106 - 禮, 喪ㆍ祭禮 2』우리마당 터, 2001
이준우『장사 등에 관한 법제 개선방안 연구』한국법제연구원, 2003
이지영, 이가옥「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한국노년학』제24집 2호, 한국노년학회, 2004
이진희「朝鮮 前期 陵墓石物의 配置와 造形的 特性에 관한 硏究」『한국정원학회지』제15권 2호. 한 국정원학회』1997
이필상「고려시대 服制의 연구」『한국사론』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75
이필도「장례서비스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이필도「납골시설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고찰」『장례문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李漢祥「5~6世紀 百濟․新羅․伽倻墳墓의 交叉編年 硏究」『국사관 논총』제101집, 국사편찬위원회, 2003
이한수「납골당에 대한 성경 신학적 평가」『신학지남』2004여름호, 신학지남사
이해식「한국의 상여소리 연구」『낭만음악』낭만음악사, 2005
李鉉洙「韓國民謠에 나타난 生死觀」『한국민속학』제13집, 한국민속학회, 1980
이현지, 이윤주, 조계화「휴먼서비스 학문분야의 죽음 교육에 관한 교과내용분석과 욕구조사」『노인 복지연구』제30집,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李賢珍「조선전기 昭陵復位論의 추이와 그 의미」『조선시대사학보』제23집, 조선시대사학회, 2002
이혜자「喪禮 중 收屍와 殮襲에 관한 硏究」『한국여성교양학회지』제4집, 한국여성교양학회, 1997
이 화「고려시대 풍수신앙 연구」『역사민속학』13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이희덕「風水說의 思想的 根據」『한국사상사학』제17집, 한국사상사학회, 2001
이희배「墳墓·祭祀·祭祀用財産의 承繼」『현대민법의 전망』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1995
이희재, 기획논문「지구 윤리와 종교 교육 ; 유교 의례와 생명 윤리」『종교교육학연구』제20집, 한국 종교교육학회, 2005
이희인「中部地方 高麗古墳의 유형과 계층」『한국상고사학보』제45호 별쇄본, 한국상고사학회, 2004
이희재「한국 전통상례의 윤리적 의미」『비교한국학』6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00
林甲娘「陰宅豊水說話硏究」『민속학술자료 총서 273 - 風水地理 3』우리마당 터, 2002
任敦姬「韓國農村部落에 있어서의 墓자리의 영향 : 風水와 祖上탓」『한국문화인류학』제14집, 한국문 화인류학회, 1982
任敦姬「Potlatch와 韓國 農村마을에서의 家庭儀禮」『한국민속학』제19집, 한국민속학회, 1986
任敏赫「조선시대의 廟號와 事大意識」『조선시대사학보』제19집, 조선시대사학회, 2001
任敏赫「朝鮮時代 宗法制하의 祖․宗과 廟號 論議」『동서사학』제8집, 한국동서사학회, 2001
임세권「명주군 하시동 해변유적의 성격」『한국사연구』제26집, 한국사연구회, 1979
임승택「죽음 문제에 대한 고찰 - 초기 불교를 중심으로」『불교학보』제43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 연구원, 2005
임재해「장례 관련놀이의 반의례적 성격과 성의 생명상징」『비교민속학』제12집, 비교민속학회, 1995
임재해「일생의례 관련 물질자료들의 상징적 의미와 주술 기능」『한국민속학보』제8집, 한국민속학 회, 1997
임재해「티베트의 장례풍속과 天葬의 문화적 해석」『비교민속학』제15집, 비교민속학회, 1998
임재해「풍수지리설의 생태학적 이해와 한국인의 자연관」『민속학술자료 총서 273 - 風水地理 3』우 리마당 터, 2002
任鶴鐘「남해안 新石器時代의 埋葬遺構」『선사와 고대』제18집, 한국고대학회, 2003
林孝澤「洛東江 下流域 伽倻墓制의 系統」『선사와 고대』제4집, 한국고대학회, 1993
張琯鎭「金海地方의 喪禮俗考」『국어국문학지』제20집, 문창어문학회, 1983
張琯鎭「昌寧地方의 喪禮俗考」『국어국문학지』제22집, 문창어문학회, 1984
張琯鎭「咸陽地方의 喪禮俗考」『국어국문학지』제23집, 문창어문학회, 1986
張東宇「經國大典 禮典과 國朝五禮儀 凶禮에 반영된 宗法 이해의 특징에 관한 고찰」『한국사상사 학』제20집, 한국사상사학회, 2003
장미선, 조효순「喪禮儀式과 襲服에 관한 考察」『한복문화』제2권 1호, 한복문화학회, 1999
장수현「개혁개방 이후 중국 농촌 민간의례의 활성화에 관한 고찰 - 국가 이데올로기와 농민의 생활 철학」『한국문화인류학』제31권 2호, 한국문화인류학회, 1998
장영란「고대 그리스의 죽음과 제의의 철학적 의미」『동서철학연구』논문집 제31호, 한국동서철학회, 2004
장용호「납골문화 공간계획」『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자료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2
張寅成「武寧王陵 墓誌를 통해 본 百濟人의 生死觀」『백제연구』제32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장인우, 이춘계「15~17세기 禮書에 나타난 斂襲衣와 그 의미」『복식』제25집, 한국복식학회, 1995
장인우「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 - 16․17C 출토복식 중심」『복식』제35집, 한국복식학회, 1997
장장식「풍수설화에서의 禁忌원리와 상징적 의미」『민속학술자료 총서 273 - 風水地理 3』우리마당 터, 2002
장장식「풍수설화의 유형분류」『한국민속학』제22집, 한국민속학회, 1989
張籌根「韓國 民間信仰의 祖上崇拜 - 儒敎 祭禮 以外의 傳承 資料에 대하여」『한국문화인류학』제15 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장지훈「신라의 유교사상」『사총』제54집, 역사학연구회, 2001
張哲秀「中國儀禮가 韓國儀禮生活에 미친 영향 - 朱子家禮와 四禮便覽의 喪禮를 중심으로」『한국문 화인류학』제6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73
張哲秀「急變하는 社會에서의 韓國文化의 傳統性 - 冠婚喪祭分野」『한국문화인류학』제7집, 한국문 화인류학회, 1975
장철수「장례문화의 연구과제」『한국장례문화학회지』제1권, 한국장례문회학회, 2002
장하열, 강성경「한국의 전통 喪禮와 죽음관 연구」『민속학술자료 총서 242 - 禮, 喪ㆍ祭禮 4』우리 마당 터, 2002
전경목「山訟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司法制度 운용실태와 특징」『법사학연구』제18집, 한국법사학회, 1997
전경수「死者를 위한 儀禮的 輪姦 : 楸子島의 산다위」『한국문화인류학』제24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92
全吉姬「伽倻墓制의 硏究」『이대사원』제3집,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1961
全明鎔「孔子의 生死觀 硏究」『中國學硏究』제10집, 중국학연구회, 1995
전봉관「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현대적 죽음의 표상」인터넷 자료 - 출처미확인
전봉관「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도시인의 죽음」『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2002년 동 계, 한국현대문학회
전봉관「1930년대 경성의 화장장․외인묘지․공동묘지」『한국현대문학연구』제11집, 한국현대문학회, 2002
전신재「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생사관 ; 한국 가면극에서의 죽음」『인문학연구』제8집, 한림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전영선, 박언곤「납골당의 전이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제20권, 2001
전혜숙․권이순「고려시대와 조선초기 오복제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한국의류산업학회지』제6권, 한국의류산업학회, 2004
鄭肯植「16세기 奉祀財産의 實態」『고문서연구』제9집, 한국고문서학회, 1983
鄭肯植「朝鮮初期의 居喪行爲의 規制(上)」『법사학연구』제10집, 한국법사학회, 1989
정긍식「조선전기 朱子家禮의 수용과 祭祀承繼 관념」『역사민속학』제12집,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鄭基鎭「榮山江 流域 甕棺墓의 變遷과 葬制」『지방사회와 지방문화』제4집, 역사문화학회, 2002
정길자「고려시대 火葬에 관한 考察」『부산사학』제7집, 부산경남사학회, 1983
정길자「고려시대의 조립식석관과 그 선각화 연구」『역사학보』제108집, 1985
정수연․박헌수「혐오시설 입지가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不動産學硏究』제9집제2 호, (사)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3
정승모「喪․葬制度의 歷史와 社會的 機能 - 新儒學的 家禮體系를 中心으로」『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1990
정승모「장례와 관련한 洞契의 변화와 ꡐ유학'계 - 19세기 후반 이후의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15, 한국역사민속학회, 2002
정승모「葬擇紙에 나타난 조선후기 장례풍습」『역사민속학』제16호, 역사민속학회, 2003
鄭永振「高句麗․渤海․靺鞨 葬墓形制 比較硏究」『백제연구』제22집,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1
정옥임「喪服에서의 상징성 연구 - 상복저고리를 중심으로」『복식』제54권제4호, 한국복식학회, 2004
정용승․이흥식「묘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source 및 sink」『한국환경과학 회지』제2권제2호, 한국환경과학회, 1993
鄭一均「朱子家禮와 ‘禮의 精神’」『한국학보』제27권 3호, 일지사(한국학보), 2001
정재서「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생사관 ; 산해경에서의 삶과 죽음」『인문학연구』제8집, 한림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정조근 외1인「장묘법제의 한․중․일 비교연구」『토지법학』제20호, 한국토지법학회, 2004
鄭鍾秀「韓國 古代葬制에 對한 一考 - 复葬制를 중심으로」『한국민속학』제19집, 한국민속학회, 1986
정종수「우리나라 墓制」『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관, 미진사, 1990
정종수「우리나라의 喪葬儀禮에 나타난 孝관념」『韓國의 壽衣文化』한국출토복식연구회 편, 도서출 판 신유, 2002
정호섭「파평 윤씨 정정공파에 대한 역사적 고찰」『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보고서』고려대학교 박물관, 2003
조계화, 이현지, 이윤주「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죽음 태도 유형 - Q방법론적 접근」『대한간 호학회지』제35집 제5호, 한국간호과학회, 2005
趙東元「韓國石碑樣式의 變遷」『한국문화와 원불교사상』원광대학교 출판국, 1985
조복현「《주자가례》의 저술과 한국전래시기의 사회적 배경 연구」 - 상장예속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사연구』제19집, 중국사학회, 2002
조성윤「정치와 종교」 - 조선시대의 유교 의례 『사회와 역사』제53호, 한국사회사학회(문학과 지성 사), 1998
조종식「한국의 화장과 납골당」『토지법학』제13호, 1998
조준하「儒家思想과 우리나라 葬禮文化」『한국사상과 문화』제15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2
조중근 외1인「종가의 사당 건축에 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논문집』제10권 10호, 대한건축학회, 1994
趙鎭先「細形銅劍文化基 埋葬施設의 枕向 選定」『호남고고학보』제18집, 호남고고학회, 2003
조효숙, 권영숙「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수의문화」『韓國의 壽衣文化』한국출토복식연구회 편, 도서출 판 신유, 2002
주강현「동아시아 기층문화에 나타난 생사관 ; 한국무속의 생사관」『인문학연구』제8집,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朱明俊「조선시대의 죽음관」『한국사상사학』제14집, 한국사상사학회, 2000
주우일․오인환「납골당 규모산정 모형식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제17권, 2001
주우일․오인환「납골묘 결로방지 시스템 개발」『한국산학연논문집』제3권, 산학연 전국협의회, 2003
朱雄英「家廟의 設立背景과 그 機能 - 麗末鮮初의 社會變化를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제7집, 역 사교육학회, 1985
池健吉「王京地域 新羅古墳의 形性過程」『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제16집, 동국대학교 신라 문화연구소, 1995
池斗煥「朝鮮初期 朱子家禮의 理解過程」『한국사론』제8집, 서울대학교국사학과, 1982
池斗煥「朝鮮時代 儀禮 槪念의 變遷」『동양예학』제1집, 동양예학회, 1998
지영임「한국 국립묘지의 전사자 제사에 관한 일고찰」- 묘를 매개로 한 국가의 의례와 유족의 의례 『비교민속학』제27집, 비교민속학회, 2004
진홍섭「銀製 鍍金 舍利函」『미술사학연구』한국미술사학회, 1960
진홍섭「高麗時代의 舍利 莊嚴具」『미술사학연구』한국미술사학회, 1988
천선영「죽음과 종교 - 오늘 종교가 죽음의 문제에 대하여 ‘다시’ 주목해야 하는 사회학적 이유에 대 하여」『가톨릭사회과학연구』제12집, 한국가톨릭사회과학연구회, 2000
천선영「근대적 죽음 이해에 대한 유형적 분석」『사회과학연구』제9집,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0
천선영「근대사회에서 인간유한성 설명을 위해 동원되는 전략들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 찌그문트 바 우만의 논의를 중심으로」『담론 201』제4집, 한국사회역사학회, 2001
천선영「‘몸’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 몸에 대한 의과학(醫科學)적 지식의 독점권과 권 력화를 중심으로」『사회과학연구』제11집,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천선영「종교윤리적 생명담론의 논리적 딜레마 - ‘뇌사’와 ‘장기기증’ 담론을 중심으로」『가톨릭사회 과학연구』제15집, 한국가톨릭사회과학연구회, 2003
천선영「매장과 화장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 분석」『역사민속학』제16호, 역사민속학회, 2003
천선영「근대적 죽음 이해와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 - 의료인의 경우」『한국사회학』제37호, 한국사 회학회, 2003
千壽山「중국 조선족 喪禮 풍속 현황」『東洋禮學』제7집, 동양예학회, 2002
靑野正明「구조선총독부 충추원과 《의례준칙》의 제정」『일본학연보』제2집, 일본연구학회, 1989
최규성「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전통의상에 대한 고찰」『복식문화연구』제12집 6호, 복식문화학회, 2004
崔基福「喪葬禮의 근본 의의와 현대적 쇄신방향」『민속학술자료총서 311 - 禮, 喪ㆍ祭禮 6』우리마 당 터, 2003
崔基福「儒敎 喪葬禮의 根本 意義와 現代的 刷新」『유교사상연구』제15집, 한국유교학회, 2001
崔吉城「韓國 祖上崇拜의 硏究」『한국문화인류학』제15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崔吉城「風水를 통해 본 祖上崇拜의 構造」『한국문화인류학』제16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84
최길성「祖上崇拜의 韓ㆍ日 比較」『한국문화인류학』제18호 한국문화인류학회, 1986
崔吉城「오끼나와 洗骨葬 비교 고찰」『비교민속학』제2집, 비교민속학회, 1986
최길성「일본장례의 비교민속학적 고찰」『비교민속학』제5집, 비교민속학회, 1989
崔來沃「民俗 信仰的 側面에서 본 韓國人의 죽음관」『비교민속학』제17집, 비교민속학회, 1999
崔來沃「韓國民俗과 基督敎의 習合 樣相」『비교민속학』제24집, 비교민속학회, 2003
최무장「고구려와 발해의 고분 비교」『선사와 고대』2, 한국고대학회, 1992
崔秉鉉「古新羅 積石木槨墳 硏究(上) - 墓型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한국사연구』제31집, 한국사연 구회, 1980
崔秉鉉「古新羅 積石木槨墳 硏究(下) - 墓型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한국사연구』제32집, 한국사연 구회, 1981
최선화「죽음에 대한 체계적 서비스를 위한 시론적 고찰」『여성연구논집』제15집, 신라대학교 여성 문제연구소, 2004
최연자「죽음 앞에서의 본질행위에 관한 試論 - 동양적 思惟를 중심으로」『범한철학』제28집, 범한 철학회, 2003
최영호「고려시대 묘지명과 고려사 열전의 서술 형태」『한국중세사연구』제19집, 한국중세사학회, 2005
崔在馥「朝鮮初期의 國喪에서의 49齊 설행과 변화」『조선시대사학보』제19집, 조선시대사학회, 2001
崔在錫「濟州道의 死後婚」『한국학보』제4집, 일지사(한국학보), 1978
崔在錫「朝鮮初期의 喪葬」『규장각지』제7집, 1983
최재석「신라시대의 葬法과 喪ㆍ祭」『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87
최재석「고려시대의 喪ㆍ祭」『한국고대사회사연구』, 일지사, 1987
최정목, 김정섭, 서중석, 이상용「우리나라 사망자 실태와 처리 - 장례식장을 중심으로」『장례문화연 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최종성「國行祈雨祭와 民間祈雨祭의 比較硏究 - 시체처리와 재물처리를 중심으로」『종교학연구』제 16집,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997
최준식「한국인의 생사관 : 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이해」『종교연구』제10집, 한국종교학회, 1994
최지희「조선시대 사당의 장소적 해석」『대한건축학회 논문집』제6권 1호, 대한건축학회, 1990
최진덕「주자가례와 죽음의 유학적 해석」『민속학술자료 총서 242 - 禮, 喪ㆍ祭禮 4』우리마당 터, 2002
최진원, 박재승「납골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서울, 경기도의 납골당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10권 2호,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4
최창조「陰宅風水에서의 發蔭과 그 批判에 대한 硏究」『영원한 만남 - 韓國 喪葬禮』국립민속박물 관, 미진사, 1990
최창조「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풍수사상」『한국문화』제11집,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문 화), 1990
최창조「陽的豊水와 陰陽五行思想」『민속학술자료 총서 191 - 風水地理 2』우리마당 터, 2002
최 헌「상여소리의 선율 구조분석」『한국민요학』제7집, 한국민요학회, 1999
최호림「고려초기의 墓誌에 관한 一考察」『한국학논집』6,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4
최호림「조선시대의 胎室에 관한 연구」『한국학논집』7,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5
최호림「우리나라 明器에 관한 一考察」『한국학논집』14,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8
최호림「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墓誌에 관한 一硏究」『한국학논집』15,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8
최호림「북부 베트남의 민간의례 개혁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문화인류학』제36권 2호, 한국 문화인류학회, 2003
최홍석「죽음의 정의와 뇌사」『신학지남』2003년 겨울호, 신학지남사
표인주「호남지역 상장례와 구비문학에 나타난 죽음관」『한국민속학』제32집, 한국민속학회, 2000
何 彬「日本的葬墓制與靈魂觀」『아세아민속연구』제1집, 국제아세아민속학회, 1997
하승완「분묘기지권에 관한 고찰」『민사법 연구』6, 대한민사법학회, 1997
한경구, 박경립「한국인의 죽음의 공간에 대한 건축인류학적 고찰」『한국 인류학의 성과와 전망』서 울대학교 인류학연구회편, 집문당, 1998
한나영, 윤홍주, 박일환, 정유석, 유선미「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가정의학회지』제23권, 제6호, 대한가정의학회지, 2002
한미정「대처방식, 내외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따른 죽음불안의 발달적 고찰」『한국심리학회지』제21 권 제2호, (사)한국심리학회, 2002
한정희「고려 및 조선 초기 고분벽화와 중국 벽화와의 관련성 연구」『미술사학연구』제246,247집, 한 국미술사학회, 2005
한희숙「조선전기 장례문화와 歸厚署」『조선시대사학보』제31집, 조선시대사학회, 2004
韓相福, 全京秀「二重葬制와 人間의 精神性」『한국문화인류학』제2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69
허남린「祈禱와 葬禮式 - 일본 불교문화의 두 중심축」『日本思想』제2호, 일본사상사학회, 2000
허용무「진도지방의 장례놀이를 통해 본 생사관 - 다시래기, 씻김굿, 만가를 중심으로」『한국다큐멘 터리사진학회지』제5집, 한국다큐멘터리사진학회, 2004
허용호「전통 상례를 통해서 본 죽음」『민속학술자료 총서 242 - 禮, 喪ㆍ祭禮 4』우리마당 터, 2002
許興植「佛敎와 融合된 高麗王室의 祖上崇拜」『동방학지』제45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4
현승완「濟州道 喪․祭禮의 절차와 신앙적 의미」『탐라문화』17,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1997
洪起源「新石器時代 後期의 社會相과 復讐慣行 - 中國 崇澤文化期 墓葬의 분석을 중심으로」『법사학 연구』제18집, 한국법사학회, 1997
홍보식「영산강 유역 고분의 성격과 추이」『호남고고학보』제21집, 호남고고학회, 2005
홍선광·서붕교「화장장의 건축계획과 설비」『건축설비 제2권 제4호』한국건축설비학회, 1999
홍순창「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제12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 구소, 1991
황규성「안정화 이산화염소(Stabilized ClO2)의 조직 부패 억제 효과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장례문 화연구』제2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4
황규성「시신위생처리(Embalming)와 같은 특수 교과목의 그룹 멘토링식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적 용」『장례문화연구』제3집, 한국장례문화학회, 2005
王仲殊「中國 古代 古墳 槪要」『한ㆍ중고고학연구』1, 한국선사고고학회, 1994
藤井正雄「日本에 있어서의 火葬의 展開와 法規制」『문화와 사자공간 한ㆍ불ㆍ일 국제심포지움』한 국토지행정학회, 1994
藤井正雄「日本에 있어서의 묘지문제와 행정정책」『한국토지행정학회보』제6호, 한국토지행정학회, 1997
小田富士雄「日·韓火葬墓の出現 - 扶餘と九州」『백제연구』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85
高村龍平「일본의 장묘문화 -그 다양성과 역사성」『耽羅文化』제22호, 탐라문화연구소, 2002
高村龍平「공동묘지를 통해서 본 식민지시대 서울」『서울학연구』제15호, 서울학연구소, 2000
高村龍平(다카무라 료헤이)「제주도의 장묘문화」『제주도연구』제20집, 20001
佐藤 昌「墓地の設置び管理に係る基準の策定に關する硏究」(社)全日本墓園協會, 1979
(社)全日本墓園協會「墓地區劃の 需要算定と所要面積」1977
藤井正雄「墓地をめぐる環境の變化に對應した新しい靈園形態(納骨堂のあり方)に關する硏究」(社)全日本墓園協 會, 1985
森岡淸美「墓地需要の算定方式の開發に關する硏究」(社)全日本墓園協會, 1979
八木澤壯一「葬送空間の建築」『葬齋場·納骨堂』(日本)建築資料硏究社, 1999
西村 明「위령(慰靈)과 폭력」『종묘문화비평』2, 한국종교문화연구회, 2002
關根英行「일본의 장제(葬制)에 나타난 정화(淨化) 관념」『일본학보』제52집, 한국일본학회, 2002
Hans Kurt Boehlke 「사회의 거울로서의 묘지」『西洋墓地史』Ⅱ, (社)日本公園綠地協會, 1988
Jürgln Gaedke「묘지 및 매장에 관한 역사적 발전」『西洋墓地史』Ⅱ, (社)日本公園綠地協會, 1988
Robert Auzelle「묘의 역사」『西洋墓地史』Ⅱ, (社)日本公園綠地協會, 1988
<연구(학술용역)보고서ㆍ세미나 발표문ㆍ간행물 등> - 발행년도 순
이현송, 이필도「장의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 장례식장을 중심으로」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김명숙「우리나라 장묘정책의 발전방안」『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문원식「경영진단에 의한 장묘행정의 발전방안 연구」『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허용훈「지방자치단체의 장묘행정」『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안우환「장묘사업 민영화에 대하여」『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김규복「유교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장묘문화의 개선방향」『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 회, 1995
김영재「토탈시스템 구축을 통한 장례제도 개선방안」『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이흥철「묘지제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박희정「장묘시설 이용실태 조사」『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이병기「장묘관련 대법원 판례」『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주)대한콘설탄트「묘지용역수립의 절차요약」『한국장묘』창간호, (사)한국장묘연구회, 1995
문원식「장묘문화와 장묘제도 개선」『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박용규「집단납골시설의 활성화 방안」『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이수장「님비현상 어떻게 할 것인가」『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홍석기「프랑스의 시한부 분묘제도」『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이창균「일본의 묘지제도와 묘지행정」『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제임스김「방부처리」『한국장묘』제2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6
한보광「우리나라 장묘제도의 발전방안」『장묘문화 바꿔야 한다』장묘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발표 세 미나 자료집, 동국대학교, 1996
박종식「영탑공원 사업 구상의 타당성」『장묘문화 바꿔야 한다』장묘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발표 세 미나 자료집, 동국대학교, 1996
김경혜『서울시 장묘제도 발전방안』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홍석기「프랑스 장묘시설의 효율적인 확보·운영」『화장중심의 새로운 장묘문화정착을 위한 서울시 민 공청회』자료집, 서울특별시, 1997
김태복「대도시의 장묘정책 발전방안」『화장중심의 새로운 장묘문화정착을 위한 서울시민 공청회』 자료집, 서울특별시, 1997
이량「장묘제도개선과 언론」『화장중심의 새로운 장묘문화정착을 위한 서울시민 공청회』자료집, 서 울특별시, 1997
서병린「우리나라 납골시설의 현황과 문제점」『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김경혜「서울시 납골시설의 정비방향」『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박용규「집단 납골시설의 경제성 검토」『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김경혜「서울시 납골시설의 정비방향」『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박희정「납골묘에 대한 지불의사액 측정」『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안영훈「프랑스 장례·장묘서비스사업의 민영화」『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신원득「우리나라 장묘사업에의 민간참여」『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문원식「우리나라 장묘문화의 발전방향」『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한부영「독일의 묘지관리」『한국장묘』제3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7
이필도 외1인『건전 장묘모델 개발 및 실천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이정량「전통장례의식과 현대적 교훈」『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이필도「장례비용의 실태와 개선방안」『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장현섭「죽음의 질 개선방안」『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박태호「종합장례서비스체계 구축방안 연구」『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안영훈「외국의 장례의식」『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박희정「장묘시설 수급계획 수립의 방향」『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문원식「묘지수요예측방법에 관한 소고」『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심재현·박덕근「장묘시설과 재해영향평가」『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이창균「일본 자치단체의 장묘시설 성공사례」『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정민자「장묘문화에 대한 주인의식」『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고수현「장묘복지정책에 관한 이념적 접근」『한국장묘』제4권, (사)한국장묘연구회, 1998
생활개혁실천범국민협의회「화장시설의 실태 및 개선방안」1999
이필도 외4인『장례식장 및 납골시설 융자사업 평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박시익「풍수지리로 분석한 산소문화의 문제점」『묘지강산을 금수강산으로, 장묘문화 이젠 바꿉시 다』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서울 시민 토론회 자료집, 서울특별시, 1999
장철수「화장의 생활문화적 의미」『묘지강산을 금수강산으로, 장묘문화 이젠 바꿉시다』장묘문화개 선을 위한 서울 시민 토론회 자료집, 서울특별시, 1999
김영철「장묘문화개혁과 언론」『묘지강산을 금수강산으로, 장묘문화 이젠 바꿉시다』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서울 시민 토론회 자료집, 서울특별시, 1999
이필도「화장, 납골시설의 확충과 지역사회 개발」『묘지강산을 금수강산으로, 장묘문화 이젠 바꿉시 다』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서울 시민 토론회 자료집, 서울특별시, 1999
이삼식 외4인『경기도 중장기장묘시설 수급계획』경기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박인 외4인『장사정보센터 운영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박희정「비선호시설의 입지와 정책 갈등」『장묘시설 설치와 지역이기주의 극복』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1
고수현「장묘 복지시설 설치와 갈등 원인」『장묘시설 설치와 지역이기주의 극복』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1
김현준「장사시설의 설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장묘시설 설치와 지역이기주의 극복』한국 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1
박복순「장묘시설 설치를 위한 지역이기주의 극복사례 연구」『장묘시설 설치와 지역이기주의 극복』 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01
최열「장묘문화개선과 환경운동」『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 국민협의회, 2001
김천주「장묘문화개선과 여성의 역할」『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2001
강광파「장묘문화개선과 소비자운동」『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화개 혁범국민협의회, 2001
김창석「장묘문화시설의 생활공원화」『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화개 혁범국민협의회, 2001
박희정「장묘문화시설의 확충과 지역사회개발」『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자료집』(사)한국 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 2001
박복순「우리나라 장묘문화의 현황과 추모공원의 필요성」『환경과 조경』2001년 10월호
임청규 외1인「추모공원 계획 및 설계시 고려사항」『환경과 조경』2001년 10월호
고제희「풍수적 관점에서 본 추모공원」『환경과 조경』2001년 10월호
박태호「해외 장묘시설 사례」『환경과 조경』2001년 10월호
김정우「죽음에 대한 신학적 고찰」『사목』2001년 11월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이완희「전례사적 맥락에서 살펴 본 장례의식의 본질적 의미」『사목』2001년 11월호, 한국천주교중 앙협의회
지영현「임종자에 대한 사목적 배려」『사목』2001년 11월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김정우「죽음에 대한 신학적 고찰」『사목』2001년 11월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박태호「동서양 장례 관습 차이점 비교」『사목』2001년 11월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김경혜『장묘시설 수급 및 정책방향 연구』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정경균「추모시설의 확충과 NGO의 역할」『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대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 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2
안영훈「장사행정의 성과와 발전방안」『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대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 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2
문원식「추모시설의 설치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대토론회 자료집』(사) 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2
울산광역시 보건사회국「울산광역시 화장장 건립 추진경과와 향후 대책」『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 자료집』(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2
남해군「기초자치단체의 추모시설 설치사례」『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시민대토론회 자료집』(사)한국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2
김기덕「다시 생각해 보는 현대의 상례문화」『한국인의 죽음과 장사개혁』토론회자료, 생활개혁실천 협의회, 2002
서울보건대학『장례서비스 표준화 연구』산업자원부 기술표준팀, 2002
장용호「납골문화 공간계획」『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자료집, 2002
이삼식 외5인『장사제도 및 행정체계 국제비교분석』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이삼식 외3인『납골묘 모형에 관한 연구』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이삼식 외3인『포천군 공설묘지 공원화 사업 타당성 연구』포천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서울보건대학, 공무원연금관리공단『납골시설사업 예비 타당성조사 연구』2003
이필도, 서울보건대학『납골시설 실태조사 연구』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3
(사)한국장례업협회『화장장 서비스 표준화 연구』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3
이삼식「묘지집단화의 실태와 향후 발전방안」『새로운 집단묘지 문화의 모색과 창출』생활개혁실천 협의회, 2003
이필도「집단묘지 내의 납골묘 실태와 개선 방안」『새로운 집단묘지 문화의 모색과 창출』생활개혁 실천협의회, 2003
박복순「외국의 집단묘지」『새로운 집단묘지 문화의 모색과 창출』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3
박태호「집단묘지의 재개발 등 효율성 재고방안」『새로운 집단묘지 문화의 모색과 창출』생활개혁실 천협의회, 2003
신산철「우리나라 공설묘지 재정비 및 재개발 사례」『새로운 집단묘지 문화의 모색과 창출』생활개 혁실천협의회, 2003
박희정「2002년 지방자치단체의 장사행정 평가」『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03
안우환「화장장 관리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03
이필도「장례서비스 종사자의 의식조사 연구」『한국장례문화학회 학술대회 자료집』2003
인천광역시립박물관『江華의 高麗 古墳』(지표조사보고서), 2003
이봉화「서울특별시의 새로운 장사정책」『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김시덕「화장문화 변천의 역사적 의미」『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김외정「산골문화 확산을 위한 산림관리 개선 방안」『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사)한 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박복순「국내외 산골시설에 관한 조사연구」『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사)한국장묘문 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이필도「서울시민의 산골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사)한국 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박태호「유럽의 장묘시설」『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부록,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 민협의회, 2004
류성진「중국 베이징의 장묘시설」『散骨文化, 그 새로운 접근을 위한 연구』부록, (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황규선「장례종사자의 질병감염 위험성과 대처방안」『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한국장례문화 학회,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김시덕「일본 장례지도사제도 연구」『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한국장례문화학회, (사)한국장 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박태호「납골 등의 개념 재정립을 위한 제언」『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한국장례문화학회,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4
김위현「죽음에 대한 인식과 상장례」『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余光弘「戰後臺灣社會結構的改變與喪葬儀禮的變遷(전후 대만 사회구조의 변화와 상장의례의 변천)」 『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국제학 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송현동「현대 한국 장례문화의 현상과 과제 - 죽음의 경관을 중심으로」『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안창영「한국의 상장례 발전방향」『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학교 사회 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이은봉「생사관의 유형과 그 사회적 가치」『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 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의례학과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北川慶子「日本における死の社會的價値と葬送の生前契約(일본에 있어서의 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장송의 생전계약)」『죽음의 사회적 가치와 상 장례 발전방향』제1회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가정 의례학과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강승도「2005년도 경기도 장사업무 추진방향」『경기도 葬事法人 대표자 및 관계공무원 연찬회 자료 집』서울보건대학, 경기도, 2005
황규성「사체에서 발생하는 자연적 부패현상, 질병감염 위험성 및 대처방안」『경기도 葬事法人 대표 자 및 관계공무원 연찬회 자료집』서울보건대학, 경기도, 2005
박태호「소규모 공동묘지의 재개발 등 활용성 제고방안」『경기도 葬事法人 대표자 및 관계공무원 연 찬회 자료집』서울보건대학, 경기도, 2005
박명숙「성곽형 납골시설 설치 성공사례」『경기도 葬事法人 대표자 및 관계공무원 연찬회 자료 집』서울보건대학, 경기도, 2005
이삼식, 고덕기, 이필도, 고수현, 오영희, 『장사제도 개선방안 연구』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박태호「장사등에관한법률의 법체계 등에 대하여」『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5-7』 한국장례문화학회,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5
이덕진「장례식장 관련 제도개선에 대하여」『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5-7』한국장 례문화학회,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5
안우환「장사제도개선추진위 심의 “안”에 대하여」『한국장례문화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5-7』 한국장례문화학회,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2005
이필도「장사정책 및 장사제도」『장사제도 개선방안 공청회』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5
홍은희「미래지향적 장사제도 개선」『장사제도 개선방안 공청회』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5
황진자「시민의 입장에서 본 장사제도 개선방안」『장사제도 개선방안 공청회』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5
변우혁「자연장 제도의 개선방안」『장사제도 개선방안 공청회』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5
김용한「묘지로 인한 산림훼손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향」『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관한 심포지 엄』산림포럼,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9.8)
우엘리 자우트(Ueli Sauter)「프리트발트의 생성배경에 대하여」『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관한 심포 지엄』산림포럼,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9.8)
Axel Baudach「수목장림 - 자연에 대한 하나의 신념」『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관한 심포지엄』산 림포럼,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9.8)
Kiene Kroos「라인하르츠발츠와 산림경영측면에서의 수목장림 운영정보」『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관한 심포지엄』산림포럼,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9.8)
변우혁「우리나라 수목장의 도입과 조성방향」『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관한 심포지엄』산림포럼,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9.8)
박태호「멀게만 느껴지는 우리의 장묘문화」『장묘문화에 대한 소고』생활성서 2005년 11월호
박복순「세계의 묘지를 돌아보다」『장묘문화에 대한 소고』생활성서 2005년 11월호
박소영「장묘, 전례 공간으로 들어오다」『장묘문화에 대한 소고』생활성서 2005년 11월호
홍영균, 이덕진 등「장례식장 등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2005. 10. 18, 국회의원 최재천
생활개혁실천협의회「자연장 모델에 관한 연구」생활개혁실천협의회, 2006. 2
김시덕「현대 한국 장묘문화의 문제」『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식』2006. 4. 24, 한일문 화 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 일본연구소,
야스다 무쓰히코(安田睦彦)「장송의 자유와 자연장」『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식』 2006. 4. 24, 한일문화 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 일본연구소
강동구「자연장 담론과 이와 관련된 장묘정책의 문화적 분석」『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 식』2006.4.24, 한일문화 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 일본연구소
니시무라 마치코「일본 자연장」『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식』2006. 4. 24, 한일문화 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 일본연구소
안우환「수목장의 현실분석 및 추진방향」『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식』2006. 4. 24, 한 일문화 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 일본연구소
이노우에 하루요「일본의 산골․수목장의 배경과 전개 - 한일비교를 위한 기본데이터」『자연회귀를 지향하는 새로운 장묘 방식』 2006. 4. 24, 한일문화심포지엄, 중앙대학교 한일문화연구원일본연구소
김동훈「산 者와 죽은 者의 문화공간」『산업체 특강자료집』서울보건대학 장례지도과, 2006.10.19
홍석기「유럽의 死者공간」『산업체 특강자료집』서울보건대학 장례지도과, 2006.10.19
이필도「수목장 제도의 현황 및 발전 방향」『수목장의 전망과 과제』LG상록재단, (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2006. 11. 3
이윤희「독일, 스위스의 수목장림 운영관리 실태 및 국내 정착을 위한 선결과제」『수목장의 전망과 과제』LG상록재단,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2006. 11. 3
이규태「자연친화적인 수목장림 조성 방향」『수목장의 전망과 과제』LG상록재단, (사)한국장묘문화 개혁범국민협의회, 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2006. 11. 3
이상인「자연장제도 도입과 정책방향」『수목장의 전망과 과제』LG상록재단,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 국민협의회, 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2006. 11. 3
<기타 참고자료> 발행연도순
「陽春明暗 二重奏 - 火葬場篇」『조광』1937년 4월호, 학연사, pp116~122
「성공적 사업례, 공원묘지조성사업(부산시)」『지방행정』제180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68
「가정의례준칙」1969년 3월 5일 고시『지방행정』제185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69
「시도특색사업소개, 제주도 - 집단공원묘지」『지방행정』제271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76
「경기도공원묘지설치및관리에관한규정」1984년 10월 8일 자
경상북도『매장및묘지등에관한법령 및 질의응답집』19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웅진출판사, 1991
한국브리테니커『브리테니커 대백과사전』1993
부산직할시 위생과『혐오시설의 설치와 집단민원 관리』부산직할시, 1994
보건사회부『미주지역 장묘문화 연수보고서』1994
보건복지부『묘지관계법령 및 질의응답집』1995
보건복지부『유럽지역장묘제도연수보고서』1995
보건복지부『북유럽 장묘문화 연수보고서』1997
서울특별시『외국의 장묘시설 연수보고서』1999
보건복지부『묘지ㆍ화장장ㆍ납골당 현황』1999~2003 각 연도별
생활개혁실천범국민협의회『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들』2000
서울특별시『인구 조밀 대도시의 장묘시설 연수보고서』2000
LG상록재단『시민단체 해외 선진 장묘시설 탐방보고서』2000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외국의 장묘시설 운영 현황』2000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외국의 장묘문화와 정책』2001
김경혜「미국 뉴욕ㆍ로스앤젤레스 해외출장보고서」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경기도『선진국 장묘시설ㆍ제도 비교 연구』2001
추모공원건립추진협의회「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주민대표 공청회」자료집, 2001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편『한국 고고학 사전』上,下, 2001
국립민속박물관(임경택) 「장례식」『가까운 이웃나라 일본』2002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올바른 장묘문화정착을 위하여』2001
생활개혁실천협의회『2002년도 생활개혁 실천운동 종합보고서』2002
생활개혁실천협의회『아름다운 이별을 위하여』2002
박태호ㆍ박복순『요람에서 무덤까지』해외선진 장묘시설 연수보고서,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 회, 2002
그린비 일본어연구실 편『일본지명사전』그린비, 2002
김기웅「흙 땅 지구 이야기 - 사진 속 지반공학 이야기 」『지반(한국지반공학회지)』한국지반공학회, 2002
인천광역시『부평묘지공원 조성 기본계획』2003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2002년도 중장기재정운영계획』2002, 시설관리공단 내부자료
(사) 일본건축학회 편『건축설계자료집성』(집회․시민서비스 편) 산업도서출판공사, 2003
세계건축설계경기④『SILVER TOWN & HOSPITAL(실버타운/병원/복지)』2003, 현대건축사
경기도『유럽선진 장사시설 연수보고서 및 장사 주요업무 지침』2003
담양군『담양군 갑향리 납골공원 기본계획 및 환경디자인 계획』(주)세카환경디자인연구소, 2003
담양군『공설묘원(오룡공원) 조성계획 및 묘역 환경디자인 계획』담양군,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주)세카환경디자인연구소, 2004
서울보건대학ㆍ경기도『경기도 장사시설 대표자 및 관계공무원 연찬회』2004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과 내부자료, 2004
안명선『Memory & Metaphor』유골함 금속공예전, 2004
경기도『알기 쉬운 장사업무 길라잡이』2004
의왕시『의왕시립 공원묘지조성 기본계획』2004
부산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장묘사업소『가족납골묘 연구개발보고서』2004
전진표「독일의 수목장림(樹木葬林)에 대하여」『산림』통권460호, 산림조합중앙회, 2004
서울보건대학ㆍ경기도『경기도 장사시설 대표자 및 관계공무원 연찬회』2005
東京都 建設局『西江葬儀所50年の步み』1988
東京都 建設局『東京都 新靈園等 構想委員會 報告書』1990
東京都 建設局 公園綠地部 靈園課『都營 靈園ㆍ葬儀所のあらし』1990
日本 建築思潮硏究所 編『葬齋場ㆍ納骨堂』建築資料硏究社, 1999
日本火葬硏究協會「火葬硏究06」2003
생활개혁실천협의회『장사제도 개선방안 토론회』자료집, 2004
한국소비자보호원『장례문화 의식 및 실태조사 결과』2004
忠北大學校 博物館『忠北大學校 博物館 所藏 墓誌』2004
월간민족21「대동강변 낚시질로 여가 즐기는 북녘 노인들」『북녘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선 인, 2004
학회자료「수목장의 완전한 친환경성을 살리기 위하여」『자생식물』62호, 한국자생식물보존회, 2006
한국장묘건축의 현황과 변화의 방향『건축문화』2006년 7월호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미국의 장사관련 법률』시설관리공단 내부자료
기타 인터넷 web사이트 자료
국내외 묘지ㆍ화장장ㆍ장례식장 등에서 입수한 홍보물 및 안내서 다수
「관보덕요」『경향잡지』1919년 10월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송기호「죽음과 무덤」『자연과 문명의 조화(구; 대한토목학회지)』제54권 제5호, 대한토목학회, 2006
첫댓글 오 ~ 훌륭합니다.
공부를 하고져 하는 .... 저로서는 .... 너무나 많고욕심나는 자료들이라 ....감히욕심내어 옮겨갑니다. 감사합니다. 늘 좋은날 되십시요...
좋은 정보와 자료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