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슬리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장식용 채소인 파슬리, 그 파슬리가 동맥경화증이나 암 등의 질병 예방에 의사가 필요 없을 만큼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과연 어떻게 하겠는가?
양미나리라고도 불리는 파슬리는 미나리과의 식물이다. 유럽 남동부와 북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오늘날 세계 각 국에서 두루 재배되고 있다. 고대 로마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던 허브 중의 하나였던 파슬리는 소스나 샐러드에 빠지지 않는 재료중의 하나였다.
■ 파슬리에 대한 기본상식
▶파슬리에 함유된 피넨과 아피올(정유성분)이 내는 독특한 향
이러한 향 때문에 파슬리가 장식용 채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파슬리는 장식용보다는 식용으로 우리에게 매우 훌륭한 채소이다. 파슬리에서 나는 독특한 향은 식후에 나는 입 냄새(유황화합물)를 제거해주며 장 속의 부패균(박테리아 번식 등)을 제거해 준다.
▶파슬리에 풍부한 β-카로틴이 면역력을 높여주고 피부미용에 도움
파슬리 100g이면 성인이 필요한 비타민A를 모두 충족시켜 줄 수 있을 정도로 β-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체내에서 비타민A로 변하는 β-카로틴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즉 면역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피부를 윤기 있게 해주며 소화기관의 작용도 높여준다. 또한 β-카로틴은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데 매우 유효한데 하루 종일 컴퓨터를 다루는 직장인이나 책을 보아야 하는 수험생들은 쉽게 눈이 피로해지는 데 이때 파슬리 즙을 마시면 눈의 피로를 쉽게 풀어줄 수도 있다.
▶비타민C의 함유량이 최고인 파슬리는 면역력을 높여주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
성인의 경우 하루 비타민C의 필요량은 대략 70~100㎎으로 보고 있다. 비타민C 섭취량이 부족하면 근육약화, 피부나 잇몸 출혈, 감기, 인후염 등의 질병에 쉽게 걸리게 된다. 파슬리 100g에 함유된 비타민C의 양은 무려 200㎎, 즉 파슬리 50g만 섭취하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C는 모두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다른 필수영양소도 대부분 섭취할 수 있어 그야말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비타민C는 얼굴의 기미나 주근깨, 거칠어진 피부를 개선해 주는 데 효과적이다. 피부에 달라붙어 있는 멜라닌 색소를 없애고 탄력적인 피부를 갖게 한다.
파슬리는 생으로 먹는 경우가 많으므로 다른 채소보다도 비타민C를 훨씬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물론 날로 씹어 먹는 경우 많은 양을 먹기에는 힘들지만 이것을 즙으로 내어 마시게 되면 효과적으로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있다.
β-카로틴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기름에 튀겨서 먹으면 흡수가 잘된다. 이러한 이유로 통밀가루나 찹쌀가루를 입혀서 튀김으로 먹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비타민 A의 흡수율을 증가시켜 줄뿐만 아니라 비타민C의 파괴도 막을 수 있어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 파슬리는 다양한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는 데 철분, 비타민B1, 비타민B2, 마그네슘, 아연 등이 그것이다. 철분은 야채 중에 으뜸으로 빈혈과 적혈구 조성에 크게 도움을 준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철분이 부족하면 적혈구가 줄어들고 온 몸의 세포의 힘이 떨어져 저항력이나 면역력이 약해지게 되어 쉽게 피로하거나 힘이 빠지게 된다.
■ 파슬리의 종류
국내에서는 파슬리라고 하면 잎이 오글거리는 축엽종 파슬리(모스컬드 파슬리)만을 알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미나리 같이 부드러운 평엽종 파슬리(잎파슬리)가 오히려 활용도 면에서는 높은 편이다. 잎 파슬리가 국내에 보급되기 시작한 때는 3~4년 전이며 쌈채, 샐러드, 매운탕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향이 은은하고 참나물과 비슷한 모양을 갖고 있어서 향나물로 불리기도 한다. 다른 말로는 이탈리안 파슬리라고도 한다.
파슬리에 함유된 성분분석표(100g당)-모스컬드 파슬리 |
영양성분 |
함유량 |
비고 |
열량 |
37㎉ |
|
당질 |
6.4g |
칼슘(Ca) |
190㎎ |
철분(Fe) |
9.3㎎ |
칼륨(K) |
810㎎ |
β-카로틴 |
7500㎍ |
비타민B1 |
0.2㎎ |
비타민B2 |
0.24㎎ |
비타민C |
200㎎ |
성인1일 필요량(70~100㎎)의 2~3배 |
마그네슘(Mg) |
37㎎ |
당근의 4배 |
식물성 섬유 |
5.8㎎ |
죽순 다음 |
출처: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