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지진연구소의 자료를 올려드린적있죠
수도권이 역사상 지진활동기에 들어섰고
한반도도 강진이 일어날수 있으며 만일 일어날시에 가장 확률이 높은곳은 서울, 경주, 평양 순이라는점이요
서울의 확률이 58프로로 전문가들이 보고 있으며 2012년까지 조심하라고 경고했습니다
중국지진뉴스를 보면 이런 얘기가 있더군요 "어느 지진학자가 수차례 경고했으나 관리들이 무시했다"
우리나라 마찬가지입니다. 지진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습니다만 정부에서 신경 안쓰고 있습니다
대처방안은
일단 본인이 사는 아파트의 내진정도를 파악하세요. 주택도 마찬가지... 3-4층 빌라라고 안심하지 마시구요
제가 과거 한번 지진에 대해서 인터넷 자료를 많이 수집해 봤었는데 그때 기억으로
횡파던가 종파던가 지진유형에 따라서 때론 15층 아파트보다 4-5층 건물의 파괴가 더 심할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즉 중요한건 적어도 건물이 무너지지 않을정도로 튼튼해야한다는것
그럼 어쩔수 없이 수도권에 살아야 한다면... 사실 저도 약간은 떨어진 수도권에 살고 있습니다만...
그럼 지진시 어떻게 대처하는가
첫쨰 무조건 머리를 가리라는겁니다. 책상이 잇으면 밑으로 들어가고 밖에 서있어도 가방으로 머리를 가리고
그리고 고층아파트의 경우나 지하의 경우 되도록이면 작은방으로 대피... 이유는 작은방이 더 단단하여 잘 안무너진다는거죠
그리고 아파트의 경우 반드시 진동을 느끼자마자 현관문을 열어놓아야한다고 하네요
이유는 문이 찌그러지는데 찌그러지면 갇히게 되고... 지진시 도시가스 파열로 화재가 날수 있는데
문찌그러지면 탈출 못한답니다
즉 간단히 생각하시면 됩니다. 누군가 나를 향해 벽돌을 던진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걸 가방으로 막던지 책상으로 막던지 해야겠지요... 맨 머리로 벽돌을 받아내면 무조건 크게 다친다는겁니다. 건물이 무너져 깔려죽는다는 생각보다는 그런 떨어지는것들에 부딛쳐다치는것이 더 많을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한다는겁니다.
고로 실내에서 지진 진동 느낄시 가방같은걸로 머리를 가리고 현관문으로 가서 문을 열어제끼고 가장 작은방으로 들어가서
책상밑으로 숨는다... 이정도가 정답이겠죠
고층이 아니라 밖으로 나올수 있으면 나오는게 좋겠찌만 무리하게 나오다가 다치는 경우도 있따고 하니 머리 보호하고 침착하게 움직여야한다네요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건물이 무너질정도의 큰지진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 우리나라는 다를거 같아요
하도 부실공사가 많아서....
아파트에 어느정도 내진설계를 넣는것이 언제부터였는가 따져보시고 자신이 사는 아파트나 주택이 내진설게 되어있는지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어느지역에서던 큰 지진이 나서 아파트 넘어가는 일 발생하면 극도의 공포로 전국아파트값은 당연히 떨어지겠죠...
지금 어제 제주지진, 오늘은 대만지진... 여기 저기 지진인데요.. 지진학자들 말대로 되가고 있습니다. 여기 저기 활동기에 들어선겁니다....
지진시 대피요령[펌]
특히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쭈그리고 앉아 무릎 사이에 머리를 묻고, 양손과 팔로 감싸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건물을 빠져 나올 때에는 엘리베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층계를 이용하도록 한다.
출구나 대피소를 살펴두며, 현관문을 열어 놓아야 한다.
천장이나 위에서 물체가 떨어지므로 유리나 깨어지기 쉬운 물건은 아래로 내려놓아야 한다.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지진이 길어야 1분이내에 종료되며 강한진동이 계속되는 시간은 15초를 넘지 않으므로 멀리 피하려 하지 말고 있던 장소에서 안전한 위치를 찾는다.
책임있는 사람의 지시에 따라 행동한다.
인화성 물건인 성냥, 라이터, 가스렌지, 석유난로, 석유곤로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평소 지진의 특성을 숙지하고, 지진발생시 침착하게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비상 우선통화를 위하여 전화는 가급적 사용을 자제한다.
지진 직후 자신이 무사하다면 먼저 도피하려 하지 말고 주변의 다친사람이나 응급상황을 해결하려 해야하며, 여진은 이러한 일을 할 수 있을 만큼 시간적 간격을 두고 온다는 것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 건물 내
지진을 느끼면 중심이 낮고 견고한 테이블 등으로 들어가 다리를 꽉 잡고 몸을 피하고 테이블 등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야 하며, 즉시 전열기 코드나 불을 끕시다. 불이나면 재빨리 초기소화를 하는 것이 큰 화재를 막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서둘러서 밖으로 뛰어나가면 유리창이나 기와, 간판 등이 떨어지므로 대단히 위험합니다. 따라서 먼저 안전을 확인하고 대피합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아파트 등은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 문이 비틀려서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힐 우려가 있으므로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해야 합니다.
■ 집 밖에 있을 때
블록담이나 대문, 기둥 등은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가까이 가지말고, 번화가나 빌딩가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간판 등의 낙하물이므로 손에 들고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빌딩가 등에 있을 때에는 상황에 따라서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오히려 안전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지진발생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면 신속하게 대피합시다.
■ 전철을 타고 있을 때
큰 충격이 오므로 화물선반의 횡축이나 손잡이 등을 꽉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시다.
그 후 차내방송 등에 따라서 침착하게 행동합시다. 섣부른 행동으로 제멋대로 행동하면 큰 혼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정지했다고 해서 서둘러 밖으로 나가면 다칠 위험이 있습니다.
■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을 때
길의 오른쪽에 정차시키고 통제구역에서는 운전을 금합니다.
대피하는 사람들이나 긴급자동차가 통행할 수 있도록 길 중앙부분을 비워둡시다.
■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산 근처나 급한 경사지에서는 산사태나 절개지 붕괴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해안에서는 해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시군구의 안내방송이나 라디오 및 텔레비전의 정보를 시청해서 신속히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