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내무부에서 발간한 "도서지" 에 실린 을숙도와 일웅도에 관한 내용입니다.
당시에는 강서구가 부산시에 편입되기 전이라 을숙도는 주소가 김해군 명지면 진목리이고
일웅도는 주소가 김해군 대저면 맥도리 네요
을숙도와 일웅도를 연결해 보았습니다. 을숙도와 일웅도 사이의 샛강은 폭이 약5~20미터 정도로 불규칙
적이고폭이 좁았답니다. 하구언 공사시 샛강을 완전히 메워 두 섬을 통합하여 을숙도로 부르고 있답니다.
진목리 을숙도에 79호가 거주하고 맥도리 일웅도에 16호가 거주한다고 표시되어 있네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두 섬에 살고 있었네요. .
1973년 을숙도와 일웅도 항공사진. A~B 지점이 샛강임. 복합등 시온섬은 매립하여 육지화 되었다.
사진속에 추억의 하단 똥다리(송분관 다리)가 실선처럼 보인다.
'73년4월 부산위생사업소 분뇨처리장이 감전동(엄궁 경계지점)에 새로 생기므로 해서 하단 분뇨처리장의
똥다리는 필요없게 되었고 을숙도 하구언 공사가 시작되면서 송분관교(똥다리)는 완전 철거됐다.
1975 을숙도 일웅도 전체 항공사진, A~B 연결 지점이 을숙도 일웅도 사이 샛강임.
그 당시 샛강과 작은 물길을 이어 주던 을숙도 나무다리 모습. 뒤편 왼쪽 승학산, 오른쪽 동매산 입니다
'70년대 에덴공원, 하단 도선장(하단 나루)과 동산유지, 하단삼거리, 일웅도와 엄궁 새갈밭(새알섬)도 보이고
장돌뱅이 고갯길과 엄궁나루(도선장)와 맥도까지 보이는 사진입니다.
앞사진에 보이는 일웅도와 새갈밭 사이로 하단~명지 간 도선이 다녔습니다..
을숙도 도선장(선착장), 뒤편에 동아대학과 에덴공원,건국고가 보인다, 뒤편 중앙에 승학산이 우뚝 솟아 보인다.
을숙도와 일웅도 1980년, A-B지점이 을숙도 일웅도 경계선(샛강)이 있던 곳 입니다.
'60년대 초등시절 학장초교에서 에덴공원까지 소풍을 다녔었고. 청소년 시절에는 학장에서 엄궁 강변과 새갈밭,
일웅도, 을숙도 까지 재첩과 맛조개를 잡으러 다니기도 했었고. 친구들과 부부동반 가족동반 야유회도 다녔지요.
낙동강 하구언이 준공 (1987.11.16) 되면서 육지와 이어졌다.
현재의 사하구 하단동 을숙도의 모습입니다.
일웅도는 을숙도에 흡수되어 버렸고 새갈밭(새알섬) 일웅도쪽을 파네어(준설) 엄궁강변의 샛강을
매립하다보니 새갈밭과 엄궁강변이 연결되어 매립지가 되어버렸다.
그 매립지에 엄궁 농산물 도매시장과 건축자재판매단지와 롯데마트 등이 들어서 있습니다.
을숙도의 주요 시설(을숙도 철새 생태공원 안내도)들을 살펴 보면
01)낙동강하구에코센터 -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부산에서 낙동강하구둑으로 들어오는 입구 왼쪽에 있으며,
철새와 습지에 대한 전시 및 2층 전망대에서는 유리창 너머로 철새를 망원경으로 볼 수 있다.
02)낙동강문화관 - 낙동강문화관은 부산에서 낙동강하구둑으로 들어오는 입구 오른쪽에 있으며, 바로 옆에는
K-water 부산권지사와 낙동강하구 통합운영센터, 낙동강 홍수통제소가 있으며 낙동강하구둑 건설기념탑이
있는 을숙도탑공원도 조성되어 있다.
03)을숙도문화회관 # - 낙동남로 중앙에 위치해있다. 큰 건물은 각종 공연이 열리는 대공연장과 소공연장, 사하
문화원, 다목적 실내체육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 앞에 을숙도조각공원과 테니스장이 위치해있다.
주차장과 전기차 충전소가 넉넉하게 구비되어 있다.
04)을숙도체육공원 - 낙동강문화관과 을숙도문화회관 북쪽에 위치해있으며 규모가 매우 크다. 중앙의 4차선
도로 서쪽(을숙도문화회관 북쪽)에는 3개의 잔디축구장과 2개의 풋살장, 그리고 게이트볼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의 4차선 도로 동쪽(낙동강문화관 북쪽)에는 리틀야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농구장 등의 체육시설 등이 설
치되어 있다.[5] 마찬가지로 큰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다.
05)주말에는 축구장을 빌려 축구를 하는 조기축구회나 유소년 축구팀의 훈련도 볼 수 있고 사람들을 모아서 직접
이용할 수도 있다. 근처에 풋살장도 있는데 풋살장은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그냥 가서 쓰는 방식은 아니
고 인근 사무실에서 미리 예약을 해야 한다. 당연하겠지만 하루 동안 독점하는 형태의 예약은 불가능하다.
06)잔디가 깔려있는 제대로 된 리틀야구장도 있는데 여기서 훈련하는 유소년 야구팀을 자주 볼 수 있다. 성인들
도 예약 후 이용은 가능하지만 연습 용도로만 허용하고 실제 야구 경기를 하는 것은 금지한다고 한다.
07)서부산권장애인스포츠센터 - 을숙도체육공원 남쪽, 낙동관문화관 서쪽의 자동차극장 부지에 장애인스포츠센
터가 개관했다. 규모가 크고 신축이다보니 주차장과 샤워실 등의 내부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실내는 수영장
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영 수업이 진행된다.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운영하며, 셔틀버스도 운행한다.
08)낙동강생태탐방선 을숙도선착장 - 낙동강생태탐방선(을숙도선착장↔화명선착장) 선착장이 위치해있다.
09)을숙도 북쪽(구 일웅도)에는 을숙도생태공원이 남쪽에는 을숙도철새공원이 조성되어있다. 습지와 버드나무숲 등이 들어서있다.
10)낙동강하구둑 서편 둑이 위치한 을숙도 서쪽에는 낙동가람끝공원과 전망대인 낙조정이 있다.
11)2018년, 을숙도문화회관 서쪽에 부산현대미술관이 개관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12)2024년, 을숙도체육공원 북쪽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운영하는 국립청소년생태센터가 개관했다.
숙박 시설이 있는 생활관도 있으며, 학교 수련회 등에 활용된다. 홈페이지
13)기타 : 자전거도로가 잘 만들어져 있고 아이들과 노인들이 피크닉 하기에도 좋은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승학산에 바라 본 을숙도 2020
옛날 "60~'70년대 우리가 학교 다니던 시절에는 학장,주례,엄궁 3개동중에 엄궁이 제일 오지였고
못사는 동네였습니다. 지금은 아닙니다. 농산물도매시장, 건축자재도매시장, 롯데마트가 들어섯고
지하철5호선도 들어오고 엄궁대교와 승학터널 건설도 장기계획에 들어있죠.
지하철1호선 하단역과 2호선 사상역을 연결하는 5호선이 한참 공사중입니다. 2026년 완공예정이라고 합니다.
빨간 점선으로 표시된 지역은 사상드림스마트시티 조성 지역으로 재생사업지구로 복합용지로 개발중입니다.
학장초등학교 옆 새벽로 연변에는 부산시 복합행정 비지니스 센터(서부산청사) 건립공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첫댓글 역사의 한 페이지를 남겼네요.
어린시절 동래에서 만 살다 보니 금정산 서쪽 지금에 말하는 낙동강 밸트인 이 쪽 방면에 사람이 살고 있었나 생각도 안 해 보았지요.
지금의 을숙도에는 많은 변화로 인한 인파가 모이는 장소로 유명세를 타고 있지요!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명절 잘 지내시고 2월에 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