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양/무/리/마/을 원문보기 글쓴이: holyjoy
http://www.gigabon.com/bbs/board.php?bo_table=z008&wr_id=68
박 사 학 위 논 문
죤 칼빈의 제네바 교회 당회록(1542-44) 연구
이 억 주 목사 (05.10.10)
< 목 차 >
제I장 서 론 -----------------------------------------------------1
1.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
2.연구방법 및 범위와 한계 ---------------------------------------1
3.당회록이란 무슨책 --------------------------------------------2
4.당회란 무엇인가----------------------------------------------2
5.당회원은 어떤 사람들------------------------------------------2
6.연구사-----------------------------------------------------3
제II장 칼빈의 당회록에 나타난 권징 및 치리사건들의 그룹핑(grouping)-------5
1.개인적 신앙윤리 문제로인한 권징 및 치리 -------------------------5
2.가정적 윤리문제로인한 권징 및 치리---------------------------- 7
3.교회적 윤리와 질서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28
4.사회적 윤리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46
제III장 칼빈의 당회록에 나타난 권징사건들의 분석으로 나타난 원리들--------66
1.목요일 원리-------------------------------------------------66
2.교육적 원리-------------------------------------------------66
3.교리적 원리-------------------------------------------------67
4.사실적 원리-----------------------------------------------67
5.권선징악적 원리---------------------------------------------67
6.경건의 원리------------------------------------------------68
7.교회적 원리-------------------------------------------------68
8.실천신학적원리----------------------------------------------69
9.사회적 원리-------------------------------------------------70
10.기독교 절기적 원리 -----------------------------------------71
11.기독교 윤리적 원리 -----------------------------------------71
12.정치적 원리------------------------------------------------71
제IV장 결론 --------------------------------------------------72
*참고 문헌--------------------------------------------------74
제I장 서 론
1.연구목적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라틴어 원본으로부터 최근 영어로 편집 및 번역된 “칼빈시대 제네바 당회록” Robert Kingdon (ed.), Registers of the Consistory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Grand Rapids: Eerdmans, 2000).
을 분석함으로 그 당시 제네바 교회의 당회가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당회가 어떤 의제를 논하였고, 어떻게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어떻게 그 내용들을 집행하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그동안 이 책이 제대로 편집되고 번역, 출판되지 못해서 최초의 장로교회였던 칼빈당시의 제네바 교회의 당회 운영은 거의 알려져 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그러므로 위의 책의 출판을 통하여 세계 개혁교회 신학자들 및 목회자들은 지대한 관심을 가져오기는 했지만, 아직 그 내용에 대한 제대로된 연구는 없어 왔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위의 책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제네바 교회의 당회가 과연 어떤 의제들을 다루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제네바 교회의 체베뿐 아니라 제네바 교인들의 생활까지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최초의 장로교회였던 제네바 교회의 역사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최초의 장로교회였던 제네바교회의 당회를 한국장로교회의 당회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다.
2.연구방법과 절차
제II장에서는 먼저 칼빈이 1541년 작성한 “제네바 교회칙령(Ecclesiastical Ordinances of the Church of Geneva)”을 근거로 당시 당회(Consistory)의 조직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 자료인 “칼빈시대의 제네바 교회 당회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책은 그 구속에 담고 있는 방대한 사건과 내용들 시간적 순서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제시하가가 사실상 대단히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대개 아래와 같은 주제를 세워서 그룹핑(grouping)을 하고자 한다.
1.개인적 신앙문제와 이에 대한 당회의 권징 및 치리를 한데 묶어 그룹핑(grouping)한다.
2.가정적 윤리문제와 이에 대한 당회의 권징 및 치리 사건들을 하나로 그룹핑(grouping)한다.
3.교회적 윤리와 질서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를 한 동아리로 그룹핑(grouping)한다.
4.사회적 윤리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를 한데 모아 그룹핑(grouping)한다.
제IV장에서는 칼빈의 당회록에 담겨있는 약 1천여 가지 사건, 소환, 출석명령, 충고, 권면, 치리, 권징 교회헌법이나 교리에 근거하여 교회안에 직원 및 직분자, 성도들에게 권선징악을 시행함으로 선을 장려하고, 악을 제거하는 하는 모든 행위와 조치들을 일컫는 말이다, 사건들이 과연 어떤 원칙에 의하여 판단되고 치리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3. 당회록이란 무슨 책인가?
교회의 당회원들이 6가원칙에 따라 당회에서 행한 내용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해 놓은 문서이다.
4.칼빈의 제네바교회 당회록에 나타난 당회란 무엇인가?
지금가지 사용되어온 그 용어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당회: consistory”란? 여러 가지 언어적 의미가 다양하다.
1.영어 사전적 의미,“consistory”. 1)종교법원 회의실, 2)(카)추기경회의, 3)(영국) 국교회 감독법원, 4)장로교회의 장로법원이다.
2.국어사전적 의미. 1)기독교 장로교 교회안의 목사와 장로가 모이는 회합. 2)기독교 성결교 등에서 교회안에 목사와 장로들의 회합이다.
3.헬라어적 의미. 1)모임, 2)회의, 3)공동의 의견논의 모임이다.
4.히브리어적 의미. 1)함께 의사를 결정한다. 2)합의하여 결정한다.
5.한문상의 의미. 1)집에 모여 회의한다. 2)예배당에 모여 회의한다.
5. 당회원은 어떤 사람들인가?
칼빈과 함께 제네바 교회의 당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당회원들은 대부분 제네바 시의회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네바 교회 제9차까지 당회록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분실되었다. 그후 1542년 2월 16일 목요일 10번째(차) 당회가 열렸다. 그 당회에 참석한 당회원들은 다음과 같다. Calvin, Viret, Champereaulx, Bernard, Henri Mara, Rages, Frocket, Britillion, the officer Vovrey 이다. 1542년 2월 23일 목요일 11번째 제네바교회 당회에 참석한 당회원들은 제네바시 시민회 멤버로 활동중인 Jean Pensabin 과 Calvin외 5명이다(Bernard, Champereaulx, Frocket, Blandin, the officer Vovrey). 1542년 3월 2일 목요일 12번째 당회에 참석한 당회원들은 9명이다, 5번씩이나 제네바 평의회 위원으로 피선되어 활동했던 Du Molard, 제네바시 CC의 멤버로 활동하는 Tacon, D'Orsieres 등이 참석했다.
6. 연구사.
본 논제와 근접한 연구 자료들을 분류한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537년 제네바 규정서. 이 연구자료는 로마 카톨릭 교회의 제약을 벗어나 개혁주의 신앙에 기초한 교회제도에 관한 규정을 성문화하여 공개한 것이다. 1541년 제네바 규정서가 있는데, 이것은 제네바교회의 헌법규정서로, 카톨릭으로 환원하는 세력들과 대치되는 상황속에서 교회내의 질서유지를 위한 법적장치의 필요를 제시하고 있는 문헌이다. 죤 낙스의 제1치리서에 나타난 교회직제 가운데 치리제도와 권징제도가 있다. 1.지교회 치리회(Consistory), 또는 당회(Kirk Session)는 목사, 장로, 집사로 구성되었다. 2.성경토론회(Exercise)는 회중들이 목사의 설교를 판단하고, 목사는 성도들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나타나는 교리적 모순점을 교정하며, 성경에 반대되는 사상들을 바로 잡아주는 것이다. 3.지역순회의 감독자 회의와 총회가 있는데, 여기서는 목사이거 및 교회상황을 보고받았다. 4.목사안수가 필요없다. 5.치리장로 임기는 1년이며, 3년 이내에 재선거를 한다. 6.노회기간중에 사경회를 열었으며, 목사부족을 메우기 위해 감독관 독경사 제도를 두었다.
멜빌의 제2치리서가 있다. 여기서는 목사안수를 인정하였다. 목사와 장로는 평생직으로 하였으며, 특히 목사에게 생활 및 예의, 근면성, 연구자세, 의무부여가 특이하였다. 이때에 멜빌 치리서는 감독관제와 독경사제도를 폐지하였다. 스코틀랜드 치리회가 있다. 당회가 있고, 시찰회가 있는데, 이 치리회는 회의가 열릴때마다 시찰장을 선출하였다. 이 시찰회의 구성원은 목사가 다수가 되게 하였으며, 노회의 구성에있어서도 목사가 다수였다. 준 노회가 있는데 여기서 목사안수를 시행하였으며, 설교장로(목사)를 구성하여, 목사개인이나 개교회의 횡포를 차단하였다. 그리고 총회를 두었다. 배광식, “칼빈의 치리연구” 계명대, 2004. 7.
칼빈은 1527년 Robert Kingdon (ed.), Registers of the Consistory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Grand Rapids: Eerdmans, 2000) 부터 1564년 5월27일 오후8시 그가 사망하기까지 27년 동안 저술 및 설교와 목회를 하였다. 칼빈의 나이는 54세 10개월 17일이다.그리고 5년 동안 제네바 교회를 목회(담임)하면서 주후1542년-44년까지 출석명령, 소환, 충고, 권면, 권징 및 치리를 시행하였다. T. H. L. Parker, ꡔ칼빈과 설교ꡕ, 김남준 역, (서울: 솔로몬 말씀사, 1997) 205-34. 리로이 닉슨(Leroy Nixon)이 연구한 ꡔ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 설교ꡕ John Calvin, Sermons on the Saving Work of Christ, selected and translated by Leroy Nixo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Michigan, 1947).
를 보면 칼빈의 설교에 나타난 교리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 죤 T. 맥니일(John T. McNeil)이 연구한 ꡔ기독교 강요ꡕ, John Calvin,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ed. by John T. McNeil, trans. by Ford Lewis Battle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1) 10-120.에 따르면 칼빈의 신학이 조명되어 있다. 필립 볼머(Philp Vollmer)는 칼빈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책을 통해 「존 칼빈은: 신학자, 설교자, 교육자, 정치가」라고 명명하였다. 존 맥닐(John T. McNeil)은 「존 칼빈: 교회의 교사」라는 논문을 통해 “그는 지상 교회의 위대한 교사로서 5세기가 지난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가르침을 주는 유익한 인물” Donald K. McKim, Readings in Calvin's Theology, 『칼빈 신학의 이해』이종태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3-21.로 평가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교육학자 톰슨(M. Thompson)은 “칼빈을 교육학자로서 그 업적을 평가하고, 세계 교육사에서 코메니우스(Comenius), 페스탈로치 (Pestalozzi), 죤 듀이(John Dewey) 등과 같은 세계적인 교육학자의 반열에 두어야 한다.” Merrit M. Thompson, The History of Education, (New York: Barnes & Noble, Inc, 1951), 39.고 주장했다.
종교개혁자들의 사상을 연구한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는 루터와 칼빈을 비교하면서 “칼빈은 루터보다 신학 사상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만들었으며 신학보다는 교육에 더 역점을 둔 사상가이며 실천가였다” Robert C. Johnson, Authority in Protestant Theology, (Philadephia: Westminster Press, 1959), 42.고 평가하였다.
칼빈이 27세에 쓴 ‘프로테스탄트의 대헌장’이라고 불리 우는 『기독교 강요』를 기록한 목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지평이 확대되어야 한다. 종전까지 『기독교 강요』의 기록목적을 두 가지로만 보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기독교 기본 교리서로의 기록 목적과 두 번째는 개혁 신앙의 변증서로서의 기록 목적이다. 그러나 칼빈이 『기독교 강요』를 기록한 목적을 분석해 보면 단순히 성경의 중요한 진리를 개괄적으로 요약을 한 목적이나 프란시스 1세의 박해 중지를 위한 변증서로 이해하기 보다는 오히려 교회가 성도들에게 가르쳐야할 신앙의 교리를 총체적으로 집약한 교육 목회적 기초 위에 권징 및 치리를 바탕에 깔고 있는 목회 신학적 기본 구조와 틀을 가지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사실은 칼빈의 교회관과 그의 목회사상 중심은 칼빈은 『기독교 강요』 제4권에서 교회를 “어린아이에게 있어서 어머니와 같은 학교”에 비유하였고 또한 그는 딤전5:7절을 주석 하면서 교회는 “진리의 기둥과 터인 하나님의 학교”로 이해하였다.
????
을 가지고 있는 그의 설교, 주석, 서신, 제네바 아카데미 사역, 칼빈의 당회록(1542-44)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칼빈의 『신앙 교육서』와 기타 그가 남긴 문헌들의 집필 배경, 목적, 내용을 볼 때, 그의 일관된 중심 사상은 바로, 교육, 개혁, 설교, 목회, 교리와 그 실천 및 적용인 권징 및 치리에 집중되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종교 개혁과 목회 사역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현대적 의미의 교리 신학적 관점에서 착안해 볼 때, 칼빈은 교회자체를 ‘교리의 정신과 비젼을 실현하는 교회’로써 자리 매김을 하였다.
제II장 칼빈의 제네바교회 당회록에 나타난 권징 및 치리와 신조상의 다양한 문제들과 그 내용들을 그룹핑(grouping) 하고자 한다.
1.개인적 신앙윤리문제로 인하여 당회가 열렸다.
여기에 나오는 사람들은 주로 개인적 신앙윤리문제로 소환, 명령, 충고, 권면, 권징을 받은 당사자들의 사건기록들이다. 먼저 당회는 Pierre Rouz에게 예배 참석과 십계명에 대한 순종을 충고했다. 그리고 이웃사랑에 본을 보이도록 충고하였다. 신사용 양품장수인 Chancy 근처 Pougny의 토박이 Pierre Rouz에게 예배 참석과 다른 일들 때문에 일이 생겼다. 그는 처음부터 시편을 인용하면서 자선의 혜택(alm)을 요구했다고 답했다. 그리고 복음 때문에 그는 신사용 양품장사를 시작했고, 아내와 아이들을 얻었다. 십계명에 순종하도록 요구받은 이후로 그는 더 이상 불평하지 않았고 병원 사무원들(procurators)에게 자비를 구하지도 않았다. 또한, 그는 해를 끼칠 생각은 없었고 다만 그에게 요청하는 이들에게 절기들에 대해 가르쳤다. 그는 이자를 받을 생각으로 돈을 빌려주지 않았고, 만약 다른 이유가 발견된다면 그는 그것을 평의회에 내놓을 것이다. 그는 다른 이에게 나쁜 본을 보이지 말고 억제해서 그가 과거에 했던 것보다 더 좋은 일을 하라고, 그리고 더 이상 요구하는 이들에게 절기에 관해 가르치지 말라고 권징받았다. Robert Kingdon (ed.), Registers of the Consistory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Grand Rapids: Eerdmans, 2000). 10-81.
이어서 당회가 Mychiel의 아내에게 남편과 함께 예배에 참석하도록 권징했다. 마구 용품 장인 업자인 Mychiel의 아내는 병들어 있는 그녀의 남편에게 용서를 빈다. 그녀는 오늘 Champereaulc가 설교하는 예배에 참석했고 성찬을 받았다. 그러나 설교자가 무엇을 설교했는지 모른다. 그녀는 라틴어 기도법 외에는 기도하는 법도 모른다. 그녀는 그것을 알고는 고통을 받을 것이라는 사실이 언급되었다. 당회의 충고는 그녀가 남편과 함께 예배에 자주 참석하도록 권징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녀의 변명은 적절치 못했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법과 성찬식에 앞서 기도하는 법을 알고 있는데, 그녀는 부활절 이전 목요일에 여기에 참석해야 한다. 마구 판매업자 Mermet는 그의 숙모에게 아무 해도 끼치지 않고 아무 것도 빚지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 외에도 그는 하나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른다. 1543년 1월 25일 목요일. Ibid.
그래서 당회는 Don Rolet Voland에게 예배에 자주 참석하도록 권징하였다. 제네바의 시민인 Don Rolet Voland에게 미사는 없었다. 그는 미사를 여기서 생각하는 것처럼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 당시 그는 미사를 다른 이들처럼 생각했고 그렇게 따랐다. 그는 그것을 성찬식(altar)이나 미사로 생각지 않는다. 만약 그가 그렇게 한다고 증명된다면, 그는 스스로 정의의 자비로움에 굴복할 것이다. 그는 자신을 괴롭히는 통풍으로 인하여 가능한 한 예배에 참석했다. 그는 기도를 하고 신앙고백도 했으며, 미사는 나쁘지만 그는 그대로 유지되기를 원했다. 그는 예배에 자주 참석하도록 권징받았다. Ibid., 181.
그리고 (로잔)당회는 Bocardz와 그의 아내에게 나태함과 예배참석 때문에 충고와 권징을 하였다. 직공 Bocardz와 그의 아내는 그들의 나태함과 예배 참석부실 때문에 일이 생겼다. 그는 생계를 위해 밭을 갈고, 물에서는 배를 저었다. 그의 일은 아무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 그는 가능한 한 예배에 참석했고 주일에 동료들과 어울리는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술집에는 가지 않았다. 그는 항상 살기 위해 일거리를 찾았다. Ibid., 183-6.
따라서 당회가 Pernet Gay와 그의 아내 Jaquemeta에게 예배출석을 위해 충고하고 권징했다. 고상한 양 털 깍는 자 Pernet Gay와 그의 아내 Jaquemeta는, 그들이 평의회의 재구성에 따라서 그 명령대로 살다가 죽기를 원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자신의 일 때문에 예배에 참석할 수 없었지만, 교리문답교육에는 나갔다. 그는 교황주의자는 아니었고, 지난 주일에도 예배에 참석했지만 설교에 관해 말하거나 인용할 수 는 없었다. 그리고 그는 예배 시간에 들었던 말을 갑자기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기도와 신앙고백은 했다. 그 아내는 이전처럼 라틴어로 또한 이외에 말로도 기도할 줄 모른다. 당회는 그들이 더욱 자주 예배에 참석하도록 권징했고 충고했다. 그들은 한 달에 매 주일마다 교리문답 공부를 하고 기도하는 법을 배워야 했다. Ibid., 187.
그리고 당회는 Mathieu Gathsiner에게 신앙과 예배문제로 권징하였다. 신사용 장신구류 가게 세 군데를 운영하는 Mathieu Gathsiner에게 신앙과 예배 참석 때문에 권징받을 일이 생겼다. 그에 관해 말하던 자들은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답변되었다. 카톨릭 교리에 관하여, 그는 사람들이 요구했던 것을 제공하였다. 예배 참석에 관하여, 그는 가능한 한 주일에 간다. 음식에 관하여, 그는 그의 집에서 먹는 자들과 함께 먹는다. 그는 복음을 증오하여 받아들이지 않지만, 복음과 종교개혁에 따라 살고 죽기를 원한다. 도시의 법과 관습에서는 순종하는 자세로 평의회의 명령을 따른다. 기도와 신앙고백에 대해서 그는 아직도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주기도문은 라틴어와 독일어로 하며 하나님을 믿고 그 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는 6명의 자녀들과 12명의 손녀들을 거느렸다. 당회의 의견은 그가 부활절까지 신앙고백을 배우고 알아서 아내도 데려오게 하는 것이다. 그의 자녀들에게는 주일에 신앙고백을 가르치고 그의 객들에게도 신앙을 설명해야 한다. 그는 이렇게 하면서 예배 참석을 잘하도록 권징받았다. 그의 집에는 신양성경이 있으며 성찬식에 앞서 여기 왔고 그의 세 명의 딸들도 여기 와서 그의 객들을 가르쳤다. 1543년 2월 15일 목요일. Ibid., 190.
2.가정적 윤리문제(결혼, 이혼, 간음, 간통, 혼외출산, 폭행)로 인하여 야기된 소환명령, 충고, 권면, 권징등의 사건들이 있다.
제네바 교회 당회는 성도들과 시민들 가운데 가정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그 문제로 해결을 신청하는 사람들에게 당회로부터 처리가 이루어졌다. 칼빈은 당회를 통해 하나님의 최초 공동체인 가정윤리 및 결혼문제로 그 대상자들을 지도하였다.『1542년 2월 16일 목요일』, 열번째 당회가 200백인 평의회가 임명하였던 ‘아미 포렐’을 포함한 4명의 귀족을 새로운 귀족 평의원으로 위촉한 후에 예배당 참사회실에서 열렸다. 시의 일로 빠졌던 한 사람을 제외하고 칼빈을 포함한 주요 인사들이 위의 당회에 참석하였다. Ibid., 3.
그러면 여기에 어떤 내용들이 있었는지 살펴보자. 먼저 당회는 집을나간 남편을 찾기위한 문제를 다뤘다. Ibid.
「제네바 시민 Gerod의 딸이며 Mermecs의 아내인 잔느」는 여관에서 하인으로 일하는 여자인데, 그녀의 남편은 그녀를 떠났다. 그래서 그녀는 자기를 떠난 남편을 찾는데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허탕만 치고 만다. 남편은 그들의 결혼 생활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아버지 때문에 그녀를 떠났다. 시아버지의 며느리 등쌀에 친아들이 상처를 받고 가출한 것이다. 이때 당회에 불려갔던 그녀는 정숙하고 책임감이 있는 여자로 밝혀졌다. 문제의 소지가 그녀에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Thonon이란 지역의 설교자로부터 그녀의 남편이 어디서 발견될지를 듣게 될 것이다. 여기서 칼빈은 또 다른 결혼사건으로 인한 탄원문제로 그 대상자를 소환하였다. Ibid.
「새로운 결혼 사건의 주인공 Bioley는 제네바 시민 Magnin에게 계속해 적대적이었다」는 탄원서가 제출되었고, 거기에는 요구사항이 많이 있었다. 전술된 Magnin이란 사람은 소환되었지만 불응했기 때문에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이 사람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돌려보내진 후 오는 목요일에 다시 소환되었다. 이어서 칼빈은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는「Laurent Symont의 아내」를 훈계하고, 경고하였다. Ibid.
「Laurent Symont의 아내」는 다음과 같은 잘못을하였다. 당회원 D'Arloz경의 보고하였던 내용으로 보아, Pesmes의 부인이 결혼하던 주일에 St. Gervase에서 소동이 벌어졌다. 그 소동은Symont의 아내가 한 남자에게 추파를 보인 것으로 야기된 것이다. 이 문제 관한 대답을 요청받았을때, 사실 그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날 오후 설교를 듣기 위해 St. Gervase에 있었고, 그녀는 사람들 뒤에 있는 한 남자에게 웃음(추파)을 머금은 것이 사실이었다. 그는 한 사람이 시계를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말하기를 그가 만약 성물을 갖고 있었다면, 설교 후 사람들에 그 성물에 입을 맞추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이 당회에 진술한 것 이외에 그 어떤 것도 듣지 못했으며,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려고 하지도 않았다. 그녀는 설교자인 Bernard 목사에게 그녀가 한 남자를 보고 웃었거나 딴 짓을 했는지 그 상황을 그 목사가 직접 보았는지 사실여부를 물었다. 그는 많은 말을 했지만, 당신에게 말했다시피 매우 지루하였을 것이다. 당회는 그녀에게 더 이상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하지 말고 주님을 두려워하며 미래에는 더욱! 확고해지라고 훈계와 경고를주었다. 따라서 그녀는 더 이상 교회를 소란케 하지 않았으며, 하나님의 말씀을 경외하였다. 여기서 칼빈은 피복 제조업자의 딸이 결혼하기 전에, 그녀에게 신앙맹세(고백)를 지도하였다. 「Reymond de Veyrier」에 의해서 이미 보고된 것처럼, 그는 피복제조업자인 Loys Pyaget의 딸 Ayme에게 신앙을 맹세했고, 이 일은 적당한 때에 이루어졌다. 상당한 신분의 사람들이 참석한 가운데, 그녀는 그에게 동의했고 함께 술을 마셨다. 그는 그녀에게 은으로 만든 성상을 주었고, 그녀에게 신앙을 맹세하였으며, 진실로 그녀를 원하였다. Ibid.
Ayme의 아버지인 Loys는 Reymond가 자신의 딸에게 욕을 함으로서 무례를 행했다고 말했다. Ayme는 수요일에 Reymond에게 신앙을 맹세했으며, 그녀는 부모님의 허락을 얻었다, 만약 그녀의 부모가 승낙하지 않았다면, 그녀는 그와 결혼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녀의 아버지 Loys는 위원회의 명령에 의거하여 말하기를 자녀들은 부모의 승낙 없이 결혼하면 않된다고 하였다. 그는 Reymond가 자신의 딸을 소유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기 때문이다. Ibid.
이어서 당회는 주인과 하녀가 관계된 가정윤리문제를 다뤘다. Versoix 지역의 Jacob의 하인이었던 목수 Pierre Rapin에 대한 고 Jaquemoz Maystre의 딸 Pernete가 일으킨 사건이다. 그녀는 그곳에서 하녀로 지냈다. Ibid.
Mauris Maystre가 참석한 가운데, 그는 형제들이 보는 앞에서 신앙을 두 번 맹세하였다. 그러나 그는 다른 이와 결혼했다. 그녀는 그의 아이를 배었고, 그는 그녀에게 결혼의 명목으로 돈을 주었다. 그녀는 4, 5년 전에 여기서 그것을 제출하였다. 그는 St. Gervase에서 지금의 아내와 결혼하였고, 그녀는 2년간 이 도시에서 함께 살았다. 그가 자신의 추방 선고문을 발행했을 때 그녀는 알지 못했다. 그는 전혀 그녀의 방에 있지 않았고 최근에 한 일년 전에 성 베드로 축제 동안 그녀와 잤다. 그는 항상 그녀를 진심으로 원했다고 말했다. 당회가 내놓은 해결책은 전술한 Pierre Rapin이 목요일날 관례적인 시간에 소환되었다. 그리고 월요일에 당회에 보고되었다. Ibid.
당회는 Jane의 탄원을 수용하도록 Bene을 권징하였다. 그리고 Pregny 지역의 고 Amye Grenyer의 딸인 Jane이 자신과 아이를 위해 당회에 탄원서를 제출하였다. 전술한 Jane의 남편 Bene는 결혼식에서 그녀를 아내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왜냐하면 그녀는 아이를 그의 탓으로 돌렸고 그녀는 많은 이들에게 속하였기 때문이다. 즉 그녀는 모든 이에게 공개된 인물이었다. 그는 그녀에게 전혀 결혼약속을 하지 않았다. 그녀는 그사람만을 기다렸고 그사람은 그녀가 낳은 아이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가 말했듯이 그 아이를 보모에게 위탁했다. 그는 전혀 그녀의 결혼을 약속하지 않았고 딱 한 번 사귀었을 뿐이다. 그는 그녀를 안 것에 대해 계속 후회했고, 그래서 그녀에게 결혼반지를 주지 않았다. 그는 Tournay에서 온 누군가의 아이를 가졌다. 당회의 의견은 그들이 평의원 앞에 소환되어 그 여자가 자신의 탄원을 증인들에 의해 입증하고 평의회에 탄원서를 내는 것이었다. 당회는 전술한 Bene에게 전술한 Jane에게 했던 약속을 지키도록 권징했다. 그리고 당회는 탄원서를 그 여자에게 되돌려 줄 것을 명령하였다. 특별 평의원들(syndics)의 직위 수여. 주일인 1543년 2월 4일에 일반 평의회가 성 베드로(St. Pierre) 교회의 회랑에서 거행되어 새 특별 평의원회를 선거하여 직위 수여했다. 제시된 8명 중에 4명이 남았다. 즉, 귀족 Jehan Coquet, Girardin de La Ryvaz, Anthoyne Checand 그리고 Hudriod Du Molard이다. 당회의 선거. 그리고 다음 수요일에, 즉 이 달 7일에 소위원회에서 다음 목요일인 이달 8일에 당회에 출석되도록 임명되었다. 특별평의원에는 Girardin de La Ryvaz경, Hudriod Du Molard경, Claude Pertemps경이다. Ibid., 183-6.
Pierre Pauloz, Amblard와 Aymoz 그리고 Du Pain 삼형제에게 그들의 모친 때문에 생긴 가정적인 일이 있다. Pierre Paule은 자신의 세 번째 역할에 대한 책임을 철저히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으며, Amblard와 유사하게 Aymoz Du Pain도 그렇게 말했다. 또한 그녀에게 지급될 연금(보호금)도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옷가지를 챙겨서 떠날 준비를 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예배에 참석을 못하는 것에 대하여 변명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1543년 2월 8일 목요일. Ibid., 187.
또한 제네바 당회는 남녀이성간의 윤리적인 문제도 다뤘는데,『1542년 2월 23일 목요일』. Ibid,. 10-11.
그 사건의 전말은「Jehan Rolet의 아들 성채 파수꾼 Pierre와 서적상 Anjouz의 딸 Anthoyne 사이의 일」이다. 전술한 Anthoyne의 진술은 모두에게 읽혀졌다. 그는 Anthoyne의 진술을 부인했다. 사실 그는 지난 3월 딱 한 번 그녀와 관계를 가졌다. 아이가 그의 소생이라면 그는 그 애를 데려가기를 원했겠지만, Anthoyne는 처음에 그에게 그것이 잘못된 일이라고 설득했다. 그가 그녀에게 설득한 것이 아니다. Anthoyne는 지난 2년간 그 사람 이외에 어느 누구와도 사귀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따라서 그 아이는 그의 소유이고 그는 그 아이를 부양해야만 했다. 전술한 Pierre는 참석했다. Anthoyne는 그에게 임신 사실을 밝혔는데, 그는 그녀가 다른 아이를 임신하고 있을 때 관계를 가졌다. 그래서 그녀는 자신이 진술했던 대로 맹세해야만했다. 당회는 그들을 다음 월요일까지 당회에 참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소환했다. 만약 그녀가 3월에 그와 동침한 사실을 증명한다면, 월요일에 그 증거를 제시하여 심리하기로 했다. Ibid.
제네바의 한 주민인 외과의사의 가정문제에 대한 사건이 있다. 열번째 당회『1542년 2월 16일 목요일』, Ibid,. 3.
「제네바의 주민인 외과의사 Cheys」의 사건은 사실혼문제로 인하여 붉어진 사건으로 두사람이 정식 결혼식을 올릴것인가 여부로 야기된 갈등문제이다. 그에게는 Chabeuil 지역의 약제사이며 Raner의 딸인 Reniere라는 사실혼을 한 아내가 있었는데, 그가 제네바에 오려고 했을 때, 이곳 제네바까지 함께 오겠다고 그녀는 그에게 약속했다. 그러나 그녀의 남편이 11개월 동안 이곳 제네바에서 지냈는데, 오랜시간 머물기 때문에 그녀는 사실혼 남편에게 2명에서 6명의 사람들을 보내어 그를 보필하러 가겠다는 말을 전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사람들을 보내면서, 그녀는 그가 어디서라도 결혼해야만 하며, 그가 이 도시에 머문 만큼이나 오래 그와 함께 살지 못했다는 점을 말했다. 그러나 만약 그녀의 사실혼 남편이 다른 아내를 얻는다면, 그녀는 다른 아내에 의해 생산된 그의 첫 아이의 대모가 될 것이다. 그는 증인들과 신분이 높은 이들에게 그것을 분명히 밝힐 것이며, 그가 비용을 들여서 그곳으로 보낸 사람은 그의 진술의 맞음을 증명할 것이다. 그는 이것에 관해서 조언을 구했다. 이 사건에 있어서 세 명의 증인들의 이름이 열거되었다. 당회의 구성원들은 이 증인들이 점검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들은 우리의 상급자들 앞에 월요일까지 소환을 받았지만, 그러나 이들은 당회의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Ibid.
그 이유는 증인들만이 알고 있는 것이다.
한 여성「Claude de Miribello와 그의 아내」의 기도문제로 그녀가 권면을 받았다. Claude de Miribello는 그의 아내와 자녀들에게 기도하는 법을 가르치기에 적정한 때에, 그는 그들을 가르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그 아내는 로자리오 기도용 묵주를 소지하지 않았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묵주를 소리 내지 않았다고 답변한다. 그 남편은 자주 예배에 참석하고 신앙의 하나됨을 믿으며 신앙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성모 마리아가 우리의 수호자이거나 혹은 죽은 자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믿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당회의 소견은 그가 그의 아내와 자녀들을 가르치고 예배에 자주 참석하도록 권면을 받아야 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아내는 주기도문과 신앙고백을 하며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 아내는 기도문과 신앙고백을 한다. Ibid., 201.
독일인 주인의 통역관이며, 짐수레꾼 Michiel의 약혼문제로 그가 당회에 소환되어 주의를 받았다. 「Savage의 주인인 독일인 Jehan Curt와 그의 통역관인 짐수레꾼 Michiel」은 당회로부터 그가 왜 소환을 당했는지를 그가 아는지의 여부를 질문 받았다. 그는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가 어떤 남자의 아내와 약혼한지의 여부를 질문 받았다. 통역관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다. 그리고 그는 일년 전에 그의 하녀에게 약속하였다. 그가 결혼했는지의 여부는 대답을 받지 못했고, 그들이 약속한 이후부터 그는 극히 몇 번 외에는 그녀와 잠자리를 함께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는 그녀와 결혼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는 그러한 결혼 동의를 얻어내었던 한 상인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그는 그녀와 결혼할 것이다. 그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회의 소견은 둘 다 내일 당회로 소환되어 간음 때문에 생긴 이 일로 주의를 받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결혼 예고(banns)가 발표되었다. 그들은 결혼 허락의 결과들에 대해서 권면을 받았고 간음은 금지되었다. 그리고 그는 즉석에서 처벌받도록 했다. Ibid., 196.
「Jehan L'Oste」가 Lyon에 있는 그의 아내를 떠났기 때문에 당회로부터 권면을 받았다. 「Jehan L'Oste」 p. 197. 그가 Lyon에 있는 그의 아내를 떠났기 때문에 생긴 일. 이것은 그가 제네바의 바로 여기서 몇 푼의 돈 때문에 그에게 돈을 빌려주었던 어떤 사람을 고소할 것이기 때문이며, 그가 이 도시에서 거주할 목적으로 자신의 아내를 5주 전에 데리러 갈 것이라고 답변됨. 그리고 그는 Goddeta도 고소할 것이다. 그는 주일에는 예배에 참석하였지만, 설교 내용들은 말할 수 없다. 그리고 그가 Lyon에 갔을 때 그는 생계를 위해 돈벌이를 할 수 없었으며, 성만찬에 참석하지 않거나 미사에 가지 않았다. 그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맹세하지 않는다. 그는 확실히 그의 아내와 이곳에 완전히 정착하지 원한다. 당회의 소견은 그의 변명에 의거하여 그에게 그의 아내를 두 달 혹은 6 주 안에 이곳에 데리고 올 기간을 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온건하게 기독교 신앙을 따라야 하며 그의 신앙을 상실해서는 않된다. 그는 첫 번째 개혁주의자들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그가 여기에 머무는 동안에는 설교 말씀대로 따르라는 강력한 권면이 그에게 주어져야 했다. Ibid., 197-8.
「야간순찰자인 Jehan Martin의 딸 Guilliermeta」의 결혼문제로 생긴 갈등을 당회가 조정하였다. Guilliermeta는 St. Gervais에 있는 the Fool이란 여관 주인의 집에서 살았던 주인 하녀로, 그녀는 그에게 일년간 그 곳에서 여관일에 종사하기로 약속했다. 그녀는 이번 부활절에 결혼식을 행해야 한다고 약속을 했던 Monsieur Thibauld Toquet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결혼 예고를 발표하지 않았다. 그녀는 이전에 살던 집 주인과 두 차례만 잤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이 와서는, 누군가 그들이 서로 대면하도록 즉시 the Savage라는 여관의 주인을 데려오기 위하여 가도록 하는 것이었다. Ibid., 195.
Berthaz에게 있었던 일로 사건이 생겼다.「Chenex의 Jullian Moyron의 딸인 Berthaz」 Ibid., 326.
는 그녀가 Roud Monet 씨의 집에서 일했다. 그녀는 한 순간 따끔한 충고를 받았고 D'A라는 사람의 고장에서 온 젊은 사람에게 환영받았다. 그녀는 Jehan Marva에 의해 아이를 가졌고 그녀의 아버지는 Sezegnin 출신이며 그녀는 아버지의 집에서 그 아이를 가졌다. 그 아이는 우리 주님과 함께 하며, 약 2주 전인 마지막 해의 첫째 날의 일이었다. 그녀는 체중이 더욱 나갈 것 같은 한 사람을 볼 수 있었고, 그 아이는 Copponex에 묻혔다. 이 아기의 아버지는 좋은 사람이었고 그녀에게 많은 물질적 도움을 주었다. 그녀는 하나님께 자비를 구했고, 그런 행위를 다시 하지 않을 것이다. 그녀는 주일마다 예배에 참석했다. 당회의 충고는 그녀가 평의회에 돌아와 처벌을 받는 것이며, 월요일까지 진술서를 제출하는 것이다. Roletaz는 그녀가 그 여자의 행방을 모른다고 말했다. 전술한 두 번째 여인이 도시에서 간음을 하지 않았고, 그녀는 당회의 방침에 순종했다. Ibid., 326.
「Pierre Dumont」의 결혼기간 동안 발생되었던 간통과 간음 때문에 생긴 일이다. 「Perriar이라고 불리는 재단사 Pierre Dumont」는 결혼 기간 동안 발생되었던 간통과 간음 때문에 권징받는 일이 생겼다. 그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면서 살기를 원하며 하나님의 계명들과 정의에 순종하라는 권면과 충고가 그에게 주어졌다고 답변되었다. Ibid., 203.
「Brother Solliet」가 교회에서 추문(scandal)을 일으켜서 권면을 받았다. 「Brother Solliet」는 그의 아내가 감옥에 있는 동안 교회에 추문을 냈다. 그가 자신의 집에서 아내 때문에 행하였던 짓들을 숨겼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시청에서 그에게 주어진 권면은 그가 교회에서 추문(scandal)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Ibid., 203.
.
「Nycolardaz」와 그 주인과의 관계 때문에 당회의 권면을 받았다. 「Pollety의 하인인 고 Jehan Perrissod의 딸인 Nycolardaz」는 그녀의 주인인 Polleti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녀는 14년 동안 그와 살았고, 그의 아내를 6년 간 여주인으로 모셨고, Polleti를 7년 간 주인으로 모셨다. 그가 그녀에게 아무런 질문도 하지 않았을 때부터, 그녀는 그와 같이 자지 않았다. 만약 그렇다면, 그는 처벌 받기를 원한다. 그녀는 젊었을 때 했던 일에 온전히 사로잡혔기 때문에 결혼하는 것은 그녀에게 불가능한 일이다. 그녀는 매주일 예배에 참석하였고, 때때로 주간에도 나갔다. 그는 기도문과 신앙고백문을 암송했다. 그녀의 주인은 그녀를 20년 동안 부양했다. 그녀는 자주 예배에 참석할 것을 권면 받았고 온갖 추문에서 스스로를 보호했으며 스스로 현명하게 행동했다. Ibid., 208.
「Pollet」가 따랐던 사악한 저주와 그의 하녀에 대한 많은 얘기들 때문에 일이 생겼다. 「Pollet」는 그가 따랐던 사악한 저주와 그의 하녀에 대한 많은 얘기(소문:추문)들 때문에 문제가 생긴것이다. 그의 하녀는 예의바른 여자였으며 그는 이 일에 관하여 아는 것이 없다고 답변되었다. 한 젊은 여자를 하녀로 두고자 하는 미혼인 한 남자에게 정직은 없으며, 그는 건방지게 말하였다. 그는 언제나 더욱더 꾸준하라는 주문을 받았으며, 사람들과 추문에 빠지지 않고 예배에 자주 참석하도록 권면을 받았다. Ibid., 207.
「Vincent Brolion」은 그의 간음죄와 소환에 자주 응하지 않았던 그의 태도 때문에 당회가 열렸다. 그는 길가에 있다가 소환을 당했고 빚 받을 돈 받으러 그냥 갔다. 그는 당회에 대답할 준비가 되어 있었으나 사무관은 그에게 소환될 날은 말하지 않았다. 그의 행동은 무지로 인해 생긴 결과다. 그의 간음에 대해서 그는 당회의 자비를 구했으나 아무도 그를 죄에서 구해줄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의도적으로 잘못을 저지르지는 않았고 크게 회개했다. 그는 자비를 구했고 그가 맹세한 것을 거짓증언하지는 않았다. 그의 행동은 하나님께 반역하는 짓으로 그 스스로 주님의 은혜를 구했다. 그의 하녀가 가졌던 아이는 죽었고, 그는 그녀를 고향으로 보냈다. 그는 그녀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 Ibid., 316.
「귀족 Pierre d Joex」의 불순종 때문에 열렸다. 그는 지난 목요일에 여기 왔지만 당회는 열리지 않았다는 질문을 받았다.「La Roche 출신의 Glaude Gallaz의 손녀인 Ayma」그는 행정장관 Curtet와 양말장수인 Vincent Brolion의 집에서 살았다. 그녀는 그와 관계를 가졌고, Bresse에 있는 동생 집에서 아이를 가졌는데, 그 아이는 죽었고 채 30분도 살지 못했다. 그때부터 그녀는 La Roche로 되돌아갔는데, 약 1개월 전이었다. 그녀의 생각에 그는 존경받을만한 사람이었고 그녀를 잘 대해줄 줄 알았다. 그녀는 그의 잘못된 행동을 말했고 그때 그는 그녀를 믿으려 하지 않았다. 그녀가 오고부터 전술한 Vincent에게 말하지 않았고 예배에는 가끔 참석했다. 아기가 또 있는지 물어보니까 있다고 대답했다. 아버지는 그녀가 신앙 맹세를 했던 자인데, 지금 고용주 Chupin의 아이를 양육 중이다. 그녀는 모든 성인들 앞에 꿇어 엎드려 빌기를 그가 그의 아내를 맞이한 이후에 그를 유혹하지 않기로 했다. 그 이후로는 그에게 말을 하지 않는다. Ibid., 316.
그녀는 그의 집에 없! 으며 그때 그의 아내와 그는 Thonon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에 있었다. 이후는 그녀는 그 여자에게 딱 한 번 말했고 그에게는 한마디도 안했고 그는 동정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없기 때문에 그녀의 품삯에 대해서도 묻지 않았다. 그녀는 그에게 조금도 만족하지 못했다고 답한다. 전술한 Ayma에 대해서 당회의 의견은 그녀가 평의회에 돌아와서 권면을 듣는 것이다. 그녀는 부활절과 9월의 성령 강림일에 성찬을 받았다. 그가 그의 아내와 약혼한 이전과 이후에 Ayma는 2주 동안 간음하였고, 그가 회개의 의지를 보였을지라도 Vincent는 꽤 강력한 권면을 받아야만했다. 그는 그녀와 약 8개월 동안 좋은 관계를 가졌으며, 그가 결혼을 한 후 때로는 그녀와 동침하였다. 그는 월요일에 평의회에 소환되었다. Ibid., 316.
「Pierre Rosset의 아내 Anthoyne」에 따르면 Ibid., 318-9.
Rosset는 아파서 침대에 누워있다고 전해진다. 그는 그녀와 함께 소환되었다. 그들은 자기들 집에서 생계를 꾸리며 Bocone라는 사람과 관계를 가졌다. 전하는 바로는 그녀는 남편에게 다소곳한 아내로 처신하기를 원했으나 왜 그가 그녀를 때렸는지는 모른다. 그 이유는 그 남편의 성질이 고약해서 사람들이 그에게 어떻게 말할지를 몰랐고 그녀는 경관 앞에서는 피해자에 불과했다. 하나님의 말씀에 비추어서 이 사건은 서로 이야기할 정도도 못되었고, 그녀는 Bocone를 간통자로 고발하지 않았다. 그녀는 갈 수 있을 때 예배에 참석했고, 일하는 날에는 못갔다. 그녀는 또 무고한 한 사람을 Françoyses로 지명하여, 그를 평의회에 고발했다. 당회의 견해는 그가 회복될 즈음에 그녀와 남편과 함께 여기에 와서 대부분의 일이 남편 때문이었음을 밝혔다. 만일 남편이 회복되면 한 주에 한 번은 예배에 참석할 것이다. Ibid., 318-9.
「Pierre Amyaux의 아내 Beneyta」는 그녀가 행정장관에게 왔을 때 가졌던 견해를 지속적으로 갖고 있는지를 알기위해 당회로 돌려보내졌다. 그녀는 동일한 마음을 소유했고, 남편과 함께 살기 원했고 만약 기혼자가 그녀에게 요구하려고 왔다면 그것은 틀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되었다. 자신을 모두 주는 것은 여자에게 그른 것이다. 그가 그녀에게 무엇이든 요청하도록 하라고 Champereaulx 선생은 그녀에게 말했다. 그리고 만약 그녀가 그릇된 말을 했다면, 그녀는 두 가지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간음을 해서는 안 되며 그것은 잘못된 일이다. 그녀는 더 이상 이전에 가졌던 언행에 관한 악한 생각들을 갖지 않았다. 그녀는 이전에 악하게 말했지만 이제는 회개하였고,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서 남편과 함께 살도록 노력하리라 솔직하게 말했다. 또 그녀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더욱 높여 주시리라 답했다. 그녀는 그 이상을 몰랐으며 사탄은 거짓의 아비임을 솔직히 인정했다. 그녀는 간음을 행한 이는 다른 여자라고 말했다. 그녀는 단지 남편과 살기를 원했다. 당회의 견해는 그녀의 반응으로 보아 그녀의 남편에게 질문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었다. 그녀는 몸도 쇠약해지고 후회도 했기 때문에, 하나님의 이름으로 그녀를 용서했다. 그들은 서로 화해했고 평화롭게 살았다. Ibid., 323.
그리고 Pierre Amyaulx는 권면 받아야 했다. 만약 이들의 평화가 지속되지 못하고 그녀가 또 악한 마음으로 돌아서면, 그들은 소환될 것이다. 전술한 Pierre Amyau는 당회 창에 나왔는데,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마음대로 행했는지 질문을 받았다. 교회는 그가 아내를 받아들이고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서 그녀를 귀하고 사랑스럽게 대하도록 했다. 그리고 그녀에게 위선이 있는지 고려해보고 교회가 명령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칼빈 선생은 그들에게 말씀에 근거하는 아름다운 권면을 하였는데, 그것은 확실히 서로를 존중하는 권면이었다. 만약 남편이 어떤 사람을 그녀에게 가는 것을 허락지 않으면 그녀는 그에게 순종하고 그의 말에 따라야 한다. Ibid., 323.
「고 Claude Couturie의 아내이자 Chenex의 친척인 Rolete」는 그녀가 Grand Mezel 근처에서 살았다. Ibid., 325.
그녀의 여동생은 그녀와 2주 동안 살았다. 그리고 그녀는 Chabod의 집에서 일한 다음에 Roud Monet의 집에서 일했다. 그녀는 자신의 행동을 잘 모르고, Chabod의 집 외에서는 살지 않았다. 그녀는 이 도시에서 그리고 Roud Monet의 집에서 살았지만 그 당시에는 전술한 Rolete가 Vandoeuvres와 Etaux에 있었고, 그녀는 아이를 한 명 데리고 있었을 것이다. 그녀가 그 여자에게 물었을 때, 그녀는 그 여자에게 앞으로 알게 될 수도 있는 것을 말했다. 그녀는 이제 그녀가 아이를 한 명 가지고 있음을 잘 안다. 그러나 아버지가 누군지는 잘 모른다. 그녀는 자신의 하인인 Roz Monet의 아내에게도 그 말은 하지 않았다. 그녀를 임신시킨 자는 그녀와 결혼하겠다고 약속하였다. Ibid., 325.
그녀의 자기 여동생의 아이 때문에 생긴 사건으로 당회에 권고를 받았다. 「Bombrilli의 아내인 Thibaudaz」는 그녀의 여동생의 아이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이 아이는 역시 한 아이를 가진 Divonne에 사는 한 설교자를 위해 봉사했다. Lyon 출신의 그녀는 자기의 아이를 데리러 갔고 그녀의 딸은 여기서 무언가를 들을 준비를 하였다. Adam 선생은 너무 자상하여 그녀의 딸이 권면받기를 원치 않았을 것이라고 답변되었다. 그녀가 여기서 그 아이를 데리러 갈 것인지 그녀가 없었질 것인지 사람들이 물었다. 그녀는 아무것도 모르고 출산 후 회복되는 것을 돕지 않았다. 그녀는 그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고 매우 불행했다. 그녀는 잠자기 위해 어디로 인도되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Bern에 있는 평의회로 갈 것이며 그들은 Adam 선생에게서 그녀의 딸이 아이를 얻기 위해 어디로 갔는지에 대해서 들을 것이다. 전술한 Thibaudaz의 아들은 그의 어머니의 딸이 Fribourg에서 한 숙련공을 돕고 있다고 말한다. 전술한 Thibaudaz은 그녀가 Bern의 평의회에 가서 Adam 선생에게 전술한 아이의 위치를 알게 되리라고 말한다. 이것이 일년 전의 일이다. 어디서, Fribourg에서. 당회는 그녀가 Fribourg에 있는 그녀의 딸에게 사실을 알도록 그녀를 보낼 일정을 한 달 이내로 주도록 충고한다. 이 소년은 이 사건의 사실을 알기 위해 Fribourg에 가는데 얼마의 돈을 요구하였다. Ibid., 321.
「Pierre Amyaux에 의해 주어진 법률에 관한 진술의 삽입」이다. Ibid., 326.
표제 17 De Repudiis라는 제목 하의 규칙에서 이 법은 이렇게 시작한다. 합법적인 결혼은 계약에 완벽함이 있어야 한다. 여러 이유들 중 전술한 법에서 아내는 남편과 이혼할 수 있다. 남편이 아내와 관계를 갖거나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고 할 때, 이 이혼은 양 자 중 하나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Ibid., 326.
「Cristoble Favre」는 그 사건을 어떤 식으로 밝혀야 할지를 모른다고 Nyon 지역의 Jehan Conte의 사건으로 당회 앞에서 진술하였다.『1544년 3월 20일 목요일』 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De Ecclesia, Tripereaux, Ferrand, Genesto, Albert, Champereaulx. Vernaz, Du Molard, Veyrier, Donzel, Pensabin, Justz, Blandin. Ibid., 356.
「제네바의 중산계급의 시민인 뱃사공이며 Pierre Favre의 아들인 Cristoble Favre」 Ibid., 356.
는 비록 그의 형제가 입회를 허락받지 못한다 하더라도 그는 그 사건을 어떤 식으로 밝혀야 할지를 모른다고 Nyon 지역의 Jehan Conte의 사건으로 당회 앞에서 진술하였다. Ibid., 356.
한 때 Jaques Savua가 저녁 식사 후에 누군가 사람들이 그에게 주기를 원했던 한 소녀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는 점을 들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식사 후 그들은 계속 걸었다. Jaques Savua는 그의 아버지를 기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서 그렇게 할 심산으로 그 소녀에게 결혼할 때 주라고 그에게 한 ecu를 빌려주었다. 그는 Nyon에서 술을 마셨고, 전술한 Jaques Savua가 모습을 보였다. 또 다른 시간에 그 소녀의 아버지는 그에게 말했고, 전술한 바로 그 소녀인 Nycolarda는 그녀가 단지 자신에게 돈을 주는 자를 원했다고 답했다. 그리고 그는 그의 아버지에게 말했는데, 그는 동의하기를 원치 않았다. 그의 아버지는 그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그도 그의 아버지를 즐겁게 해 주기 싫었고, 나의 아버지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그는 이런 식으로 그의 아버지를 불쾌하게 하고 싶지도 않았다. 그의 아버지는 만약 그가 그의 아들이 되기 원한다면 이런 식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그에게 말했다. 당회의 충고는 그의 증인이 소환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Ibid., 357.
Jehan Conte의 딸이며 정육점 주인인 Nycolarde는 Nyon의 거주민이었다. 질문들에 답하면서, 두건과 제네바의 화폐와 세 개의 은반지들과 허리띠와 머리띠를 보여주었다. 그녀는 네 차례 그것들을 받았고, 그는 결혼의 맹세로 술을 그녀에게 권했다. 그 후에 반지들은 한꺼번에 다 주었다. Jaques Savua와 그의 어머니 Jaquemaz 그리고 두 명의 하녀들이 모습을 보였는데, 그 중 하나는 결혼했다. 한 사람의 이름은 Claudaz였으며 Jehan Gerdil의 딸이었고, 다른 한 명은 Jana이었다. 그들은 내 가족인 아버지, 어머니, 형에게 나의 해야 될 일들에 관해 물었으며, 그들은 참으로 그것을 원했다. 전술한 Cristofle의 아버지는 참으로 그것을 원했고 그녀에게 돈과 머리띠를 주며, 결혼의 맹세를 하였다. 전술한 Cristoble은 어떤 것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아버지와 친구들은 동의하였다. 반년 전에 Michaelmas에 관련하여 그는 그녀에게 돈을 주었고 술 한 잔을 권했다. 그녀는 자신의 어머니의 동의로 술을 마셨다. 그녀는 일주일의 생각할 시간을 그에게 주었다고 말하는데, 주말에 그는 그녀에게 돌아왔고, 매주 그녀에게 와서 그녀를 전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Ibid., 357-8.
받은 충고로는 전술한 Nycolarde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오도록 만들고, Jehan Pitiod, Jehan Conte, 그의 아내인 Jaquemaz(Nycolarde의 어머니), Jehan Chautemps도 오도록 했다. Jehan Conte는 Jaquemaz의 표현을 빌어 말했다. 전술한 Nycolarde의 어머니인 Jaquemaz는 이 사건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다. 답변은 이런 식이었다. 그 소년은 그 소녀에게 물었고, 그녀는 그녀의 양친에 관한 지식이 없었다면 전혀 어떤 일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만약 그가 그녀에게 여유를 주었다면 그는 만족해했을 것이다. 그녀는 그에게 칠일 간의 생각할 시간을 주었다고 그의 아버지에게 말했다. 전술한 날들의 마지막 날에 한 남자가 와서 그들에게 앞으로 하기를 원하는 것을 말했다. 아버지는 참으로 그것을 원했고, 그는 그녀에게 술 한 잔 권했다. 그녀는 어머니의 동의로 마셨고, 그는 그녀에게 돈을 주었다. 그의 한 형제는 반대 의견을 제시하였고, 전술한 Cristoble의 아버지는 참으로 그것을 원했다. 그리고 부르고뉴 지방의 사람들인 La Rava의 손자, Master Claude de L! a Tor, D'Orsiere, Jaques Sça vua는 그 당시 전술한 Cristoble의 아버지가 그것을 진정으로 원했음을 알았다. Ibid., 358.
Jehan Chautems는 그들이 그 결혼에 대해 말했어야 했음을 말한다. 그리고 그가 그 결혼에 무관심했다고 그는 대답했다. 전술한 Cristoble은 그의 아버지나 그를 기쁘게 하지 못했던 그 갈등에 대해 말한다.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그것을 하지 말도록 말한다. 만약 그의 아버지가 동의하지 않았다면, 첫 번째 제의들은 그 소녀가 그에게 생각할 기간도 주지 않았고, 그는 그의 아버지가 그에게 말했던 몇 마디 말을 남겼다고 답변한다. 그는 아무 일도 하지 않았고, 그의 아버지는 그녀에게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술을 마시지 않았고, 그는 어머니 앞에서 돈을 그녀에게 주었다. Ibid., 358.
전술한 Cristoble의 형제인 Romanestoz는 그가 그것을 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 그는 거기서 머물러서 그 소녀의 어머니가 전술한 Cristoble과 그의 아버지가 그가 그의 딸을 그에게 주기 원했다고 그에게 말했던 것을 주장했기 때문에, 그는 그 사실들을 잘 알았다. 전술한 Romanesto는 증명될 것은 없으며 어떻게든 그가 어떤 이들을 위해 자신의 말을 내뱉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그의 말에 있어서 애매한 것이 없다고 인정받았다.
교회 당회 위원이던 Anthoyne Panisso는 전술한 Cristoble의 아버지에게 그가 처음 말했으며 그 아버지는 전혀 만족하지 않았다고 한다. 전술한 Romasto는 그가 전혀 애매하지 않았으며 아무도 그의 아버지에게 좀처럼 말을 걸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 일이 행해졌다면 그들을 그의 아이들이라고 부를 수 없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그에게 그가 말했음을 인하여 그의 아버지는 확실히 그를 인정했다. Ibid., 358.
전술한 Cristoble은 처음으로 돈과 두건, 머리띠와 네 개의 은가락지를 주었는데 그의 아버지는 양심상 전혀 동의하지 않았고, 그는 그의 아버지에게 불순종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만약 그가 그 일을 했다면, 그의 아버지는 그를 거부할 수 있었다. 그의 장인인 Anthoyne Pannissod는 Claude가 그에게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고 그가 답변했다고 그에게 말했다. 그에게 돈을 빌렸던 자에 대해서 그의 아버지는 그가 그것을 원치 않았다고 말했다. 전술한 Cristoble이 그녀에게 반지들을 주었다는 것을 그의 아버지는 잘 알았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에게 말했을 때 그는 이미 그것을 했다. 그 소녀는 그녀가 그의 양친에 대해 큰 확신을 갖고 있다고 그에게 대답했다. 만약 그의 아버지가 그것을 참으로 원했다고 그가 말한다면 그는 진실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아버지들이 다함께 동의할 수 있었을 때, 그의 아버지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지만, 다음과 같이 그에게 말했다. “조심해라. 네가 그것을 한다면, 네 자신을 충분히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그의 형제는 그에게 화가 났는데, 내가 그의 아버지에게 불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항상 그곳에 갔다. 그리고 그는 그의 아버지가 그것을 원했기 때문에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소녀는 귀감이 될만한 애였다. 그의 아버지는 지금 Nyon에 있다. Ibid., 358-9.
주어진 충고로는 아버지가 목요일까지 소환되는 것이었다. 그들은 그 소녀의 증인들을 데려와야 한다. 그 아들은 자신에게 유리하게 할 수 있기에 떠나면 안 된다. 사실을 증명할 표증은 없으며, 전술한 Cristoble의 어머니에게 그것을 통보했으며, 서기관은 아버지를 화요일까지 여기에 오도록 그의 아들을 보내어 소환장을 발부했다. Jehan Conte는 종속관계를 피하기 위해 증인들의 이름을 말하지 않았으며, 결혼식 선물로 줄 반지들을 되돌려 보냈다. 다음 주 목요일까지 소환됨으로서, 그들에게 증인을 데려올 것을 명하였다. 그들 중 두 명은 아버지가 진정으로 그것을 원했다는 점을 알았어야 했다.『1544년 3월 20일 목요일』, 당회 출석한 증인의 이름들: Master Claude de l'Escuallaz 그리고 Claude Savua와 Nycolas Chatron과 Ravaz의 손자, Hudri Jaquoz, 짐수레꾼인 Petrequin Guygoz. Ibid., 356-9.
「Amed Andrion과 Claude Tappugnier」의 갈등 때문에 생긴사건이다. 「Amed Andrion과 Claude Tappugnier」는 그들이 전술한 Tappugnier와 가졌던 어떤 갈등문제가 있었다. 그들은 서로 좋지 않은 말을 했기에 그들이 서로 아무런 해도 끼치기를 원치 않는다고 전술한 Amed와 Tappugnier는 말한다. Andrion은 아무 일도 없었고, 그들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서로 간의 모든 적대감을 제거해 버렸다고 했다. Ibid., 364-5.
금 세공업자인 귀족인 Claude Chateauneufz는 위에서 말한 전술한 Tappugnier와의 갈등에 대해서 답변하기를 그는 의도적으로 기도문을 외우면서 성만찬을 적절하게 받았다고 한다. 그들은 함께 거래를 하지 않았다. 전술한 Tappugnier은 누군가가 그에게 팔기를 원하는 Chambery에 있는 집 때문에 그는 소송을 냈는데, 그곳에서 그는 전술한 집에 대한 댓가를 지불하였다. 이것이 바로 전술한 De Chateauneufz가 싸움을 하게 된 이유이다. 전술한 Claude는 그에게 나쁜 짓을 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그들이 함께 일구었던 포도밭에서 포도주 한 병만 갖고 왔다고 했다. 그는 한 해에 한 병만 자질 수 있었다. Ibid., 365.
그들을 지금부터 좋은 이웃으로 평화롭고 의좋게 살도록 권면을 받았다. 그들은 다함께 포도밭 한 개를 소유하며 밭의 대가를 한 사람이 다른 이에게 주도록 했다. 그들은 의좋게 포도밭을 공유했다. 전술한 Claude는 그가 준 모든 모욕을 용서했으며, 전술한 Tappugnier는 매우 건방진 그의 아내에게 조용하도록 했다. 그들은 모든 허물에 대해 서로 용서했다. Ibid., 365.
「Anthoyne」와 그녀의 남편 Rosset에 대한 사건으로 소환되었다. Ibid., 365.
위에 언급되었던 그녀의 남편과 Bocone, 그리고 그녀의 남편 Rosset에 대한 사건이다. 그녀의 하녀는 그들이 계속 어떻게 하는지에 관하여 질문을 받아야 한다고 답변되었다. 그녀의 남편은 이전보다도 더욱 나빠졌다. 그는 매일 밤 그녀를 때렸으며, 어제도 또다시 막대기로 그녀를 때렸고, 그녀는 무엇 때문에 그런 일이 있어났는지를 모른다. 그는 한 번에 이틀 밤 혹은 삼일 밤 동안 모습을 감추었으며, 그녀는 그가 어디로 가며 어디에서 오는지를 모르고, 그를 볼 때 그녀는 전전긍긍한다. 그는 월요일 8시에 도착하였고, Bocone는 종종 그녀와 함께 있었으며, 함께 목욕을 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 여자와 그녀의 남편과는 전혀 잠자리를 같이 하지는 않았다. 참으로, 한 남자는 한 때 그녀가 그 일의 원인이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Bocone는 가끔 그녀를 찾으러 왔으며, 그녀의 하녀는 편지와 돈을 Bocone에게 전달하였다. Ibid., 365.
그리고 다음 날 그녀는 그 여자에게 3 sous를 주었다. 전술한 날에 그녀는 성인들의 시체들(Corps Saints)을 기다렸으며, 그녀가 그들을 데려오지 않았고 전술한 Franceyse가 이미 언급한 장소에 가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그 하녀는 그녀에게 3 sous를 주었다. 그녀는 그 여자를 목발을 하여 이동하게 하였고, 그녀는 그것을 돌려주었다. 그러나 그녀는 그것을 원치 않았다. 그들은 다투었으며, 법정으로 갔으며, 질투했기 때문에 화를 냈다. Ibid., 365-6.
그녀는 그녀의 남편이 수일동안 모습을 감추었을 때 Bocon이 있는 곳을 모른다. 그녀의 전술한 남편은 만약 그녀가 당회가 열리는 이 장소로 돌아왔다면 그녀의 목을 베겠다고 위협했다. 그는 그녀의 형제에게 6 ecus를 주어야 했기 때문에 그녀는 맞았으며, 매우 사악한 말들이 오고갔을 것이다. Bocon의 하녀가 다툼의 해결책을 찾는데 크게 도움이 될만한 이 사건의 진상을 전술한 Anthoyne는 입증했다. 그녀는 모든 것을 말할 것이며, 이런 증거 없이는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는다. 약제사 Martin이 전술한 Bocone의 도움을 얻지 못한다고 그녀는 걱정한다. 그녀는 목탄에 ! 쓰여진 어떤 종이를 보았고, 전술한 Franceyse는 그녀의 남편인 전술한 Rosseti에게 그것을 보냈는데, Franceyse의 하녀는 그녀의 전술한 남편에게 보냈다. Ibid., 366.
Pierre Rosset의 하인인 Amy Rogemond의 딸인 Claudaz는 때때로 그녀가 포도주를 가지러 올 때 그는 그녀가 Bocone를 보았는지의 여부를 묻는다고 답변한다. 지난 토요일 그는 전술한 하인에게 Bocone에게 전달하라고 3 sous를 주었으며, 그녀는 그 여자에게 그것들을 취하지 않았다. 그와 그의 아내는 서로서로 전혀 사랑하지 않으며, 그는 밤에 할 수 있는 한 자주 그녀를 때렸다. 3 sous는 그녀의 여주인에게 주어졌으며, 그녀는 곧 후회했다. 그녀의 주인이 Bocone를 만나지 않을 때 그는 일을 했고, 그녀를 만날 때 예의바르게 행동을 잘 했다. 월요일에 그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고 그 집에서 잠을 자지 않았으며, 화요일 8시에 집으로 돌아왔다. Bocone는 하녀를 두었고, 그녀에게 어제 Grand Mezel에 대해서 말했다. Ibid., 366.
행정 장관은 이 자료들을 발행하도록 했다. 그녀는 권면을 받았다. 당회의 소견은 Bocone의 간음이 처리될 것이며, 그녀의 하녀인 Rosset는 금요일에 정의를 우하여 평의회로 소환되는 것이다. Ibid., 366.
「Pierre Amyaux와 그의 아내 Benoyte」의 부부윤리문제로 인하여 당회의 권징을 받았다. 윤리문제(가정윤리, 부부갈등)이다.「Pierre Amyaux와 그의 아내 Benoyte」는 3년 전 그는 현재의 아내와 결혼했다고 전술한 Amyaux는 당회 앞에서 진술했다. 그의 아내는 하나님의 계명에 반대되는 견해를 고수하였다. 처음에 그녀는 모든 남자들과 함께 살 능력이 있었고 그들 모두 그녀의 남편들이었다. 그녀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 관하여 그녀의 기독교적 형제들로 기억할 것이라고 답한다. 그리고 그녀는 위의 사항들은 진실이라고 말했다고 말한다. 전술한 Amyaulx는 하나님의 말씀에 반대되는 끔찍한 것들과 그녀에 대해 좋지 않는 소문에 대해서 말했다. 그녀는 항상 그녀의 이전 진술들을 고수한다고 답한다. 무엇이 그녀를 이렇게 했는지 물었다. 사람은 의도한 바를 말해야 한다고 우리 주님이 말씀하셨으며 하나님은 진리이시라고 답한다. 그녀는 오직 하나님께로부터 온 계시로만 알 수 있으며, 그녀는 아무에게도 그것을 말하지 않았다. 그녀에게 계시된 것에 대해 누군가 물었을 때, 그녀는 우리 주님이 사람의 도움 없이 계시하셨으며 아무도 그녀에게 그것을 말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우리 주님은 결혼을 만드셨으며, 두 사람은 한 몸이 될 것이다. 한 남자의 아내가 간통을 저지르지 않았든지 돌을 맞으면 안되는지에 관해 질문을 받았다. 대답은 ‘아니다’인데, 왜냐하면 그녀는 모르기 때문이다. 결혼을 왜곡한 아내는 간통자이다. 그녀는 성경을 믿고 싶다고 답하고, 우리는 모두 한 몸이라고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은 분명하다. 그녀는 남편보다는 딴 남자를 받아들이는 것을 허락할 것이다. 그래서 결혼하지 않은 모든 여자는 창녀이다. 그녀는 몇 살에 결혼했는지 질문 받았다. 18년 전에 그녀는 미혼이었다. 만약 여자들이 나이 찼을 때 결혼하지 않으면, 그들은 모두 창녀이다. 그녀는 성모 마리아에 대해 몰랐다.
「Amyaux」는 자신의 추문에 관하여 자신과 분리되도록 해달라고 기도했다. 전술한 Amyaux는 추문에 관하여 자신과 분리되도록 해달라고 기도했다. 그녀는 항상 이 주장을 견지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녀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원한다고 답했다. 그리고 (정욕)에 불타는 것보다 결혼하는 것이 더 낫다. 이러한 질문들이 그녀에게 있었고, 우리는 서로가 하나이며 그녀가 가지는 이런 환상을 공유할 그 외 어떤 사람이 있는지를 그녀는 모른다고 답한다. 그녀의 남편은 이것 중 하나도 그녀에게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하나님의 영은 그녀에게 이것을 가르쳐 주셨으며 간음은 그르지 않다는 것을 가르쳤다고 답한다. 결혼을 만드신 분은 하나님이시고, 만약 그녀의 남편 이외의 다른 남자와 관계를 가졌다면 그녀는 간통자가 안될 것이라고 답한다. 당회의 소견은 이렇다: 그녀의 기만이 있었고, 더욱이 그녀는 자신의 사건을 어떻게 진술할지를 알고 스스로 간통한 사실을 숨기기 원했다. 그녀는 기만한 죄로 당회로 소환되어야 했으며, 곧 조치가 취해졌다. 전술한 Amyeaux의 요청에 관련해서, 간통이라는 추문의 관점에서 그는 그가 요구한 이혼을 거부당하지 않아야 했다. 혹은 그녀가 회개할 것이라면 그녀는 내일 또 다른 권면을 들어야 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녀는 가능한 빨리 당회로 소환되어야 한다. 그녀는 지금까지 말했던 것을 고수하고 싶고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은 아니라고 그녀가 말했듯이 그것을 확증하고 싶다고 답변하였다. 이것이 그녀의 논리이다. 또 다른 사람과 살고 있는 한 여자가 간통자가 아니라는 것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Adam은 자신의 (그) 딸들과 정당하게 잠자리를 함께 할 수 있었고, 성령께서는 그것을 그녀에게 계시하실 것을 말씀하셨으며 그녀는 그것을 설교자들로부터 듣고 배웠다. Ibid., 309-10.
「Pierre」와 Monsieur Henri는 결혼 문제로 당회에 소환됐다.『1544년 4월 17일 목요일』 . 당회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Albert, Genesto, Tripereaux, Ferrand, Champereaulx, De Ecclesia. Checand, Vellu, Vernaz, Just, Donzel, Blandin, 사무관 Vovrey. 「결혼 사건. Jussy 출신의 Gonyn de La Combaz의 아들인 Pierre」.Ibid., 386.
Jussy 지방의 설교자인 Monsieur Henri는 당회에 그를 소환했다고 알려졌다. 그는 한 소녀와 결혼하기를 원했는데, 그녀의 이름은 Françoyse로서 Jehan Favre의 딸이다. 전술한 Jehan Favre의 아내이며 Françoyse의 어머니인 Johente도 참석했다. Françoyse는 불참했다. 그 어머니 Johente는 자기 딸을 Pierre에게 주었다고 말했는데, 그 집안의 여성들 사이에는 관계가 있었다. 그들은 친척관계였다. 그들의 할머니들은 자매였으며 그들의 딸들은 사촌이었다. 전술한 Pierre는 그가 할 말이 있는지 없는지에 관해 질문을 받았다. 대답은 없었고, 그 둘에 대한 불평의 소리도 없었다. 아무도 말하는 사람은 없었다. 그는 간음을 행할 생각이 없었다. 당회의 소견은 그 관계성에 대하여 그들이 이 어려움에서 빠져나와서 이미 언급된 결혼이 이것 때문에 깨어지지 않도록하였다. 그들은 예배에 참석했으며, 그는 때때로 예배에 참석했다. 그 어머니를 포함한 그들은 모두 기도문도 암송했다. Ibid., 386.
「Claude Durand」가 자신의 하녀와 저질렀던 간통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1544년 4월 24일 목요일』.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Champereaulx, Tripereaux, Albert, Genesto, Ferrand, Checand, Molard, Pensabin, Blandin, Peronet, Vellut, Donzel, 사무관 Vovrey. Ibid., 388.
「제분업자 Claude Durand」는 그의 하녀와 저질렀던 간통 때문에 당회로부터 소환과 충고를 받았다. 그를 불쾌하게 하고 하나님과 그 지역 통치자를 공격하였던 어떤 일이 그에게 일어났다고 답변됨. 그는 성 마틴의 날(St. Martin'day)부터 그의 시녀와 성관계를 가져왔으며, 그는 그녀가 임신했다고 믿고 그녀와 결혼했다. 그는 사탄의 유혹을 받았고 공의의 하나님께 자비를 구했다. 그는 스스로 죄를 고백했다. Ibid., 388.
Jussy 출신의 Françoys Milliaud의 딸이며 Claude Piazguex의 하녀인 Pernete는 삼년 육 개월 동안 그와 살았다. 그녀는 성 마틴의 날(St. Martin'day)부터 그와 교제를 가졌으며, 하나님과 통치자에게 자비를 구했다. 그녀는 밤 늦은 시간에 집으로 갔으며, 곧바로 임신이 되었다. 그녀는 약 한 달 동안 아이의 움직임을 느꼈고, 주일에 결혼하기로 약속했다. 그는 그것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으며, 그들은 헤어질 수 없었다. 그녀는 가난한 고아 소녀였는데, 당회는 전술한 Claude가 소환되어서 얼마나 많이 그들이 서로 간통을 했는지를 깨닫고 두 사람 모두 당회에 소환되어 권면을 받아야 한다고 충고했다. Ibid., 388.
전술한 Durand는 그가 일찍이 전술한 Pernete와 간통했다고는 말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밤 늦게 방앗간으로 가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큰 잘못을 저질렀음을 고백했다. 그는 충고와 권면을 받아들였고 다음주 월요일까지 당회에 소환되었다. 당회는 그녀가 아이를 낳을 것임을 알리고 그에게 Pernete를 첩으로 받아들이도록 할 것이다. Ibid., 388.
「Jehan Bollie」는 Pernon이라 불리는 한 소녀에게 실수를 범한 문제로 당회에 소환되었다.『1544년 5월 1일 목요일』.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De Ecclesia, Albert, Tripereaux, Genesto. Checand, Molard, Pensabin, Blandin, Vellu, Donzel, Du Pain. Ibid., 389.
「Claude Humbert의 방앗간에서 살고 있는 제분업자 Jehan Bollie」는 자신이 Pernon이라 불리는 한 소녀에게 실수를 범했다. 그는 이 사실을 자진해서 스스로 서약했다. 그는 그녀를 원치 않았지만, 그녀는 임신을 했다. 그러나 그는 그녀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녀는 헤어지자고 요구했고, 그는 그녀를 얻고자 애걸했다. 그는 돈 얼마를 받으면 전술한 Piazguex를 떠날 수 있었는데, 그는 80 florin을 원했다. 그러나 그는 40 florin 외에는 그만큼을 더 줄 수 없다고 했다. 만약 그가 그 만큼을 받으면 동의하겠고 아이는 그의 원래 아비에게 줄 수 있다고 했다. 그녀는 그가 pernete에게 주었던 것을 그에게 되돌려 주었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한 몫 챙기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는 그녀에게 신앙을 맹세했을 때 그녀가 임신했던 것을 몰랐다. 당회의 소견은 그 소녀가 그 소년과 그 어머니와 함께 소환되어서 그들 사이에 동의했던 것과 그 주인이 감옥에 있! 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들은 화요일과 목요일에 소환되었다. Ibid., 389-90.
「Jana」은 전혀 결혼을 하지 않았다. 「Satigny 출신의 Tyvent Vuy의 딸인 Jana」, 그녀는 전혀 결혼을 하지 않았다. 그녀에게는 Jehan Let의 집에서 그녀와 함께 하인으로 있었던 Chevrier에서 온 어떤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한 자녀가 있었기 때문에 Monsieur Jaques Bernard는 그녀를 이곳으로 오게 했다. 그 아이는 죽었으며, 그는 그녀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녀가 임신했을 때 그는 떠났다. 그녀는 딴 사람을 통해서 다른 자녀를 두었다. 그녀는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녀에게는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집도 없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현재 쉬고 있는 이곳에서 살고 있다. 그녀는 Bourdigny에 있는 그 아비의 집에서 12살짜리 아이를 두었다. 그 아버지는 결혼했고 가난했다. 그녀는 더 이상 간음하지 않는다. 그녀는 하나님의 공의의 자비를 구하였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이 도시에서 추방당한 Guilliama Betesie라는 이름의 한 여자와! 싸웠다. 그녀는 약 6, 7 년 전에 이 도시에 들어와서 여기서 아이를 낳았고, 마침내 추방당하였다. Ibid., 391.
.
당회의 소견은 그녀가 회개하는 것 같고 신앙고백을 하기 때문에, 혹자는 그녀에게 동정을 가졌고 그녀는 권면들과 훈계를 받았다. Master Jaques Bernard는 그들을 화해시켜야만 했으며, 그녀의 신앙은 조사를 받았다. 전술한 Guillama는 진정 이곳에 왔으며 최근에도 여기에 있었다고 답변한다. 비록 그녀의 조카인 Pierre Rolet가 그렇게 했을지라도, 그녀는 그 여자를 마녀라고 하지 않았다. 그녀는 그 여자에게 자신이 아이 대신 악마를 품고 있다고 말했다. 이 아이는 잘 자랐으나 더 이상 살지 못하고 갑자기 죽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에게 하신 일 외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Satigny 출신의 Genon 이라는 한 여자는 아이를 분만하고, 그녀에게 안식처를 제공하였던 Claude Vuy라는 한 남자와 결혼했다. 그녀는 할 수 있는 한 능력껏 일하며, 다시는 죄를 짓지 않을 것이다. 그녀는 기도와 신앙고백을 했다. Ibid., 391.
* 「Jehan Bornant」는 그의 아내 결혼 지참금 때문에 권면하지 않았다. 그의 아내의 결혼 지참금의 나머지를 받기를 원하였다.『1544년 7월 3일 목요일』.당회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De Ecclesia, Genesto, Albert, Ferrand. Checand, Vellut, Donzel, Pensabin, Just, 사무관 곱사등이 Jehan, 야간 순찰자.Ibid., 413.
「제빵업자 Jehan Bornant」는 그와 함께 살지 않는 그의 아내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의 아내의 결혼 지참금의 나머지를 받기를 원했다. 그는 더 이상 그의 아내의 아버지와 무슨 일이 생기기를 원치 않고 남은 결혼 생활을 연결짓게 하는 것을 그에게 주겠다고 맹세하기를 원함. 그리고 그것은 명령으로 이루어짐. 또다시 그는 더 이상 장인과 상종하기를 원치 않고, 그의 실수도 없다고 함. 그는 심각한 권면을 장관으로부터 받았다. 전술한 Jehan은 다음 주일까지 그들이 함께 동의하기를 원한다. Ibid., 413-4.
3.교회적 윤리문제(예배, 주일, 성찬, 성상숭배, 기도 및 주기도 교육, 성경, 카톨릭 절기, 교회력)로 인한 호출, 출석명령, 충고, 권면, 권징을 하였다.
칼빈은 당회에서 성도들과 그 자녀들의 성찬식 참여문제를 다뤘다.『1542년 2월 23일 목요일』 열한 번째 당회, Pertempt경을 대신하여 d'Arloz경이 참석함. 그리고 칼빈을 비롯한 5명의 장로들과 당회 파송 공무원인 Vovrey가 참석하였다. Ibid,. 8.
신앙이 약한 직업인과 상업경영자의 가정문제와 성찬예식 참여문제들을 어떻게 다뤘는지 그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말안장 제조업자 Jaques Emyn」의 언어사용문제 및 성찬식 참여 여부의 타당성을 살펴보자. Ibid., 8.
우리는 그의 식솔들과 그의 손님들, 노새몰이꾼들, 상인들과 먼 나라에서 온 사람들을 관리하는 것과 그들이 서로에 대해 쓰는 용어들에 대해서 들었다. 그는 성찬식에 참석하기 전에 자신의 신앙과 신앙고백을 알도록 하려고 소환되었다. 그러나 여기 제네바에서 3주간 있으면서 그는 사도 신경도 알지 못했다.
「말안장 제조업자로서 제네바의 중상층인 Robert Breysson」은 다른 이들과 같이, 3주간 머물렀다 Ibid.
. 당회가 성만찬과 분노와 나쁜의지 때문에 그(Estienne Furjodz)에게 충고했다. 그는 셍 제르바스(St. Gervase) 교회에서 성찬을 받았고, J. Symond과 F. Lullin이 참석하였고, Loys Trippereaulx가 성찬식을 집행했다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그가 말하기를 그는 어떤 다른 이들을 반대해서 무엇이든지 아무 일도 하지 않았고, 술 마시기 위해 도박만 했다고 말한다. 당회는 그가 좀 과격하다는 말을 들어야 그의 일들을 더 잘 이해할 것이며, 그는 이 도시의 젊은이들이 그들의 돈을 쓰는데 용납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해로운 놀이를 억제하고 좋은 충고를 받아들여 더욱 빈틈없이 발전해갔다.Ibid., 176.
이어서 나오는 이들은 예배참석과 성찬문제로 당회에 소환되었다. Françoys Dupra와 P. Martin의 딸인 그의 아내 Pernete. 그녀에게 예배들과 성찬식 때문에 생긴 일이다. 그는 셍 제르바스(St. Gervase) 교회의 예배에 참석하여 성찬을 받았다. F. Lullin은 그 곁에 있으면서 거기서 설교했다. 그는 누가 설교하는지 몰랐다. 그의 아내는 거기 못 가게 했던 어린 아이 때문에 거기 없었고 성찬을 받지 않았다. 그들은 평화롭게 거기서 살았고, 때때로 그들은 화도 냈다. 그의 아내는 말하기를 누가 그녀에게 해를 끼치기 원하는지 자신은 알지 못하며, 그 이유는 그녀가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술한 Françoys는 그녀가 그를 곤경에 많이 빠뜨렸으며, 만약 그녀 자신이 옳았다면 그는 그것을 즐겼으리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그는 그녀 때문에 충분히 힘들었으니까 말이다. 당회는 그가 그녀에게 그가 하는 것 이상 더욱 빈틈없이 온당하게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만약 그녀 자신도 온당하지 않다면 그녀는 당회에 소환될 것이다. 그녀는 남편을 괴롭히지 말고 그에게 순종하라고 충고 받을 것이다. 그에게 내려진 권징 사항은 예배참석을 자주하라는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 마지못해 그렇게 예배에 참석하고 있다. 전술한 Pernete는 소환될 다음에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잘 알고 있는 것 같았다. Ibid.
다음은 「프로방스 지방의 Pertuis 출신의 피혁업자 Pierre Poyent」가 권징받은 사건이다. 그는 이 도시에 2년간 머물면서 2주전에는 아내에게 신앙을 맹세했는데, 그녀는 피혁업자인 du Molard의 딸이다. 신앙, 교리, 예배 참석에 관하여, 그는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에 따라서 계속 잘 살라는 당회의 훈계를 받았다. Ibid.
레이스 제조업자의 사건이 있는데 「레이스(천) 제조업자 Pierre Boysson」인 그는 현재 함께 살고 있는 아내와 고향에서 결혼했다. 아들 하나는 독일에 있고, 하나는 교회에 있다. 그는 아내 이외에 다른 여자와 관계를 가졌냐는 질문에 대해서, 사실상 Glaudaz Jappaz의 딸인 불쌍한 Mermete와 관계를 가졌고, 그녀는 이미 한 아이를 가지고 있으며 de Boel 지방의 michel이라는 재봉사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회는 항상 그들을 향상시키고 조력하라고 그에게 권고하였다. 그리고 Jaquemoz Maystre의 딸 Pernete는 그녀의 맹세로 얻은 남편 Pierre Rapin과 사이가 좋지 못한 듯 하다. 그들은 목요일에 소환되었고, 그녀는 이미 소환된 적이 있었다. Ibid.
여기에 모피상인의 예배생활에 대한 권징과 그 집 가게의 하인문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모피상인 Jehan Chappon은 모든 설교들 덕분에, 그는 복음에 순종하고 설교말씀을 버리지 않고 마음에 간직하리라 답했다. 그리고 그는 일년 중 3개월만 생계를 위해 일했다. 그는 상점에 있지 않고 술 마시러 간 그의 하인 부부에게 화를 냈다. 그는 상점을 비우지 않는다. 그는 주일을 제외하곤 모든 예배에 기꺼이 참석하지만, 수요일에는 될 수 있는 한 예배에 참석한다. 이것은 한 상인, 그에게 빚을졌고 그는 전술한 하인에게 휴가를 주었다. 우연히 그는 세 번만 빠지고 수요일에도 예배에 참석했다. 그후 그는 예배참석문제로 권징을 받았다. Ibid., 170.
그런가 하면 상인 Jehan Favre 씨도 예배생활 문제로 권징을 받았다. 그는 화가 나는 일이 있어도, 설교 덕분에 무언가 할 일이 있을 때 외에는 항상 예배에 참석한다. 그리나 그가 책임지고 있는 시장 일 때문에 매일 가지는 못했다. 그래서 그가 갈 수 없을 땐 그의 아내를 보냈다. 그는 할 수 있는 한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는 권징을 받았다. Ibid.
당회는 귀족 F. Chamoex에게 공중예배생활에 빠지지 말라고 강권했다. 위에서처럼, 모든 설교와 다른 일들 탓에 그가 설교를 자주 듣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는 할 수 있는 한 자주 예배에 간다. Ibid., 171-4.
한 미망인「Gonrardz de La Palaz의 약조된(promised) 아내인 Bertheractz의 미망인」 로자리오가 교회를 중상모략하는 것과 기도문제 및 교회력을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문제)로 당회에 소환되었다. Ibid., 198.
「Gonrardz de La Palaz의 약조된(promised) 아내인 Bertheractz의 미망인」은 로자리오 기도에 사용되는 묵주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그녀는 어떠한 중얼거림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으며, 이것 때문에 어떤 사람은 그녀를 이곳에 보냈다고 답변됨. 그리고 평의회가 그녀에게 명령했듯이, 그녀는 자주 예배에 참석하고 하나님께 기도한다. 그리고 그녀는 좋은 의도를 가지고 주기도문을 외우며 예배에 많이 참석하고 이전에 그러했듯이 좋은 의도를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한다. 그리고 비록 사람들이 때때로 함께 있을 때 그녀는 다른 사람들과 절기들에 대해서 얘기함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달력이 없기 때문에 절기들을 지키지 않는다. 그리고 그녀는 절기들을 엄숙하게 지키지 않고, 사순절에는 금식하지 않으며, 고기를 먹는 것에 대해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신앙과 관련하여 다른 이들을 중상모략하지 않는다. 그녀는 월요일에 평의회 앞으로 소환되었다. 당회는 그녀가 남편과의 결혼을 원하는지의 여부와 얼마 정도의 기간을, 부활절 이전 혹은 이후에, 계획하는지의 여부를 그녀에게 질문해야 한다. 그리고 그녀의 대답에 따라서, 그녀에게 정확한 기간을 배정해 주고, 그녀가 꾸준히 그녀의 남편과 수상쩍은 시간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교회를 중상모략하지 말라고 그녀를 권면해야 하며, 즉시 그들이 결혼을 하도록 한다. 그녀는 그들의 결혼 예고가 공포되었는지 혹은 Monsieur Glaude Malbuisson와 그녀가 다음주 월요일에, 혹은 수상쩍은 시간이 아닌 시간대에 결혼하려고 의도하기 때문이 아닌지의 여부를 묻는 질문들에 답변하였다. 또한 그녀는 8시와 9시 사이에 떠났으며, 만약 이런 짓이 통치자를 만족스럽게 한다면 이런 짓을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집에서 결혼하려고 기다리는 동안에, 그가 병들어서 일어설 수 없기 때문에, 그녀는 밤이 아닌 낮에만 그곳에 간다. Ibid., 198-9. 칼빈의 권징원리-교회력-절기의 원리가 있다. Ibid., 198-9.
한 여성「Mermete」가 기도용 묵주와 음식들, 절기들 그리고 철야기도(vigils)에 불참했기 때문에 당회로부터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Deleta의 집에 머무는 Claude de La Chavane의 딸인 Mermete」는 기도용 묵주와 음식들, 절기들 그리고 철야기도(vigils) 불참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녀는 3년 이상 묵주를 지니고 다닌 적은 없으며, 가능한 한 그리고 매 주일에는 예배에 참석한다. 그리고 그녀는 전혀 금식은 하지 않는다. 그녀는 기도와 신앙고백을 하지만 설교를 통해 그녀에게 무엇이 유익한지를 모른다. 그녀는 7년 이상 미사에 참석했으며,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믿는다. 그녀는 당회로부터 권면과 충고를 들었다. Ibid., 203.
이번당회는 「이발사 Rolet Galliard」성만찬 참석 때문에 열렸다. 그는 성만찬을 마지막에 받았고 설교 시간 초기에 그곳에 있었으며 만약 그가 첫 번째 시간에 설교에 참석치 않았다거나 불순한 동기가 증명되었다면 그의 귀는 잘려나갔을지도 모른다는 질문을 받음. 그리고 그는 매일 교회를 가지 않았다고 여러 번 말했다. 당회의 의견은 그가 들어오는 것을 보았다고 고용주인 Philip이 말했기 때문에 그것은 진실로 받아들여졌고, 그는 실제로는 안했지만 예배에 참석했던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는 월요일에 평의회에 소환되었다. 『1544년 1월 3일 목요일』 이 날에 당회는 열렸으나 어떤 불확실한 이유로 당회가 다음 주 목요일로 연기되었다. 연기된 당회가 열린 날과 여기에 참석한 당회원들, 『1544년 1월 10일 목요일』행정장관 Hudriol Du Mollard 경 주제로 Calvin, Pupin, De Genesto, Trippereaulx, Chaompereaulx, De Ecclesia, Morel, Vernaz, Pensabin, Blandin, Veyrier, De Loermoz, 사무관 Vovrey가 참석하였다. Ibid., 315.
「양말장수 Vincent de Villa」 Ibid., 324.
는 성만찬에 관련된 사건이다. 그는 St. Peter 교회에서 성탄절에 성찬을 받았으나 미사는 참석하지 않았고 하나님 말씀을 듣는 것에 크게 만족했다고 답변한다. 아마도 그는 성경의 내용대로 살지 않았고, 만약 이것을 증명하는 사람이 생존해 있다면 그는 자신의 목을 베게 할 것이다. 정말로 그가 Fribourg로 갔다면, 그는 설교를 듣고 St. Peter 교회에서 오전에 성찬을 받았을 것이다. 그는 그 당시 전해진 설교자의 말씀을 깨달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붙잡혀 있었다. 미사에 관해서는, 그는 주기도문과 복음을 알았고, 신앙고백도 훌륭했다. 그러나 다른 것들에 대해서는 그것들을 퍼트릴 만큼 분명하지 않다. 당회는 그를 강력하게 권면하였다. Ibid., 324.
『칼집 만드는 장인인 Loys Piaget』 에게, 성탄절 성만찬 때문에 생긴 일이이다. 그가 성찬을 땅에 떨어뜨렸다고 언급되었다. 그는 오전에 성찬을 받았는데, 절반쯤 진행되었을 때 그는 진행자로부터 성찬을 받았다고 대답했다. 그는 받은 빵을 땅에 떨어뜨리지 않았고 그렇게 알려졌는데, 그는 처음 마실 것을 원했지만 컵에 포도주는 없었다. 그리고 그는 빵을 먹었다. 그가 성만찬을 받았고 전체 설교 시간에 참석했을 때(만약 성만찬에 관한 설교자의 맹세가 존재되어야 한다고 사람들이 원한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그는 마땅히 해야 할 바를 했다. Ibid., 317.
그는 지금까지 우상주의자였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그리고 누군가 그에게 그것을 보여주었고, 그가 십자가와 다른 형상들을 숭배하고 옳지 않았을 수도 있는 빵을 던졌고 베드로와 마리아에게 죽은 자를 위하여 기도했기 때문에, 그는 그 당시 우상숭배자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암시하였고 실제로 그는 우상숭배자가 아니었다. 당회의 의견은 만약 그가 부인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증명될 수 없다면 그에게 강력한 권면을 하는 것이고, Amed Gervays 씨는 요청받을 것이다. 그는 자주 예배에 참석해야 하며, 이전보다 그렇게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그는 더 많이 존경받을 것이고, 스스로 목요일에 참석했다. 한편, 여러 증인들로부터 정보가 획득되었고, 그와 아내는 자주 예배에 참석하였다. Ibid., 317.
「전술한 Loys Piaget의 아내」인, 그녀는 오전에 성찬을 받았고, Amied Gervays는 그녀에게 마실 것을 주었고, 그녀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예를 위하여 그것을 받았고, 그것을 떨어트리지 않았으며, 그것을 그 후에 받기를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변됨. 그녀는 더 이상 성인들에게 기도하지 않고 이전에 죽은 자들을 위해 기도했으며, 그녀는 할 수 있는 한 자주 예배에 참석하였다. 그녀는 여전히 아베 마리아에게 기도하는 것이 우상숭배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녀에게 동정녀 마리아에게 기도하는 것은 그른 것이 아니었으며, 그녀는 성인들에 대한 신앙은 갖지 않았지만, 하나님과 동정녀 마리아는 믿었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하기를 원하는 것을 해야 한다. 그녀는 동정녀 마리아가 피조물이며 주님을 잉태하셨던 어머니라는 사실을 믿었다. 그녀는 하나님의 말씀을 단지 믿기 원하며 동정녀 마리아에게 간구함으로 그녀가 틀렸음을 믿지 않는다고 답변한다. Ibid., 318.
그리고 그녀는 우리 주님이 경배 받으셔야 한다는 사실 외에는 그 어떤 것도 모른다. 누군가 말하길 그녀가 동정녀 마리아를 숭배한다면 당회가 그녀를 용서해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당회의 견해는 그녀가 악마에 사로잡혔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그녀에게 6주 동안 한 주에 3번씩은 예배와 교리교육에 참석하도록 명령이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그녀에게 강력한 권면과 함께 평의회로 소환되어 여기서 한 주 동안의 신앙고백이 점검되어야 하고, 그녀는 더욱 철저하게 예배 참석하도록 훈계를 받아야 한다. 그녀는 한 주 동안 매일 지속적으로 기도용 묵주와 매듭 지워진 끈을 갖고 다니며 기도해야 하며, 다음 주 목요일에 여기 참석하여 강력한 권면을 받아야 한다. 한 주 동안 매일 설교를 듣도록 지시받았다. Ibid., 318.
「Jane」은 주교궁에 있는 감옥에 있었기 때문에 성만찬을 받을 수 없었다.『1544년 12월 27일 성탄절 이후 첫 번째 목요일』, 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Checand 경. Calvin, De Ecclesia, Trippereaulx. De Pain, Vernaz, Veyrier, Pensabin, Just, 사무관 Vovrey. Ibid., 312.
그녀는 주교궁에 있는 감옥에 있었기 때문에 성만찬을 받을 수 없었으며, Ibid., 312.
그녀의 남편은 그 이유를 몰랐고, 그녀는 감옥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는 당회에서 진술된 성만찬에 관한 답변. 그녀는 자신이 재세례파주의자였다고 말했는데, Porralis와 Jehan Goulaz도 역시 재세례파주의자들이었다. 그녀가 시청으로 끌려갔을 때, 그녀가 우리의 신앙에 따라 살기를 원했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그녀는 그들이 자신에게 정중하게 대했다고 모든 이들에게 말했다. 그녀는 지난해에는 성만찬을 받았고, 이번 성탄절 이전의 마지막 성만찬에도 참석하였다. 그러나 그녀는 지난 성탄절에 성만찬에 참석하기를 원치 않았으며, 그녀의 양심이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녀는 법에 대해 불평하지 않는다. 그녀는 이것이 법인지 몰랐고, 그녀가 기꺼이 바치기를 원하는 이에게 자신의 몸을 바칠 것이다. 어린이들의 세례에 관해서, 그녀는 질문을 받았을 때 무엇을 말했는지 모른다. 다만 그녀는 시청이 자신을 점검했다는 사인을 해주기만을 원한다. 그녀는 그것을 믿는다. 성만찬에 대해 질문을 받고, 오랫동안 즉 약 2, 3년 동안 그것을 받지 않았다고 답변한다. 그녀는 성 삐에르(St. Peters) 교회에서 받았고 그것이 언제 무슨 날인지는 정확히 말할 수 없다. 그녀에게는 부양할 아이들이 많지만, 아무도 그녀의 심정을 모른다. Master Viret는 그녀에게 그것을 받지 않고도 더 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할 수 있어야하는데, 그녀는 그럴 것이다. 전술한 Viret는 위에서 말한 대로 했지만 그녀는 성만찬을 받지 않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고 배웠다. 그녀는 제네바 교회의 동의와 일치에 따라서 사는 체 하든지 혹은 그렇게 하지 않는지를 질문 받았다. 그녀는 그것을 믿었고, 세례에 관해 아무런 양심의 가책이 없었다. 그녀는 하나님께 속한 모든 것을 믿었다. 그녀는 하나님께서 명령하셨던 것 외에는 생각하지 않았고, 그녀는 Monsieur Calvin이 박해자이거나 거짓선지자였다고 말하지 않았고, 그녀는 Master Viret가 그녀에게 말했을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세례 전에 말씀을 전하는 것이 필요했다는 사실을 말하지 않았으며, 그 논쟁에서 언급되어졌던 내용들을 다시 고려하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그것을 기억하지 않는다. 그녀는 신앙고백자들이 이전에 했던 것처럼 조사되어야 했다고 답변되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녀가 알았던 것보다 너무 많은 말을 그녀에게 했기 때문이다. 그녀에게는 너무 많은 아이들이 있기 때문에 예배에 참석할 수 없으며 그녀의 남편은 그녀가 예배에 참석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그러나 그는 다른 이들에게는 그녀에게 하듯 하지 않았다. Calvin은 그녀에게 예배에 잘 참석하라고 요청하였다. 그녀는 사실과 다른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을 원치 않을 것이다. 그녀는 만약 그녀가 Master Pierre Viret에 대해 나쁜 말을 하게 된다면 목을 벨 것이라는 말에 수긍하였다. 그러나 그녀에 대한 의심 때문에 이것은 그녀를 꼼짝 못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절대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Ibid., 312.
Monsieur Calvin은 Ibid., 312-3.
그가 그녀에게 어떤 해로운 짓을 했는지 그녀에게 말하도록 하라고 당회에게 지시했다. Ibid., 312-3.
그녀는 당회가 간통자들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했으며, 그녀는 간통자가 아니라고 답변했다. Pierre Amyaulx의 아내에 대해 그 여자가 그녀에게 무슨 말을 했는지 질문하였다. 그녀는 그녀에게 말하기를 원했지만 아무 말도 못했다고 답변했다. 한 번은 예배에 참석하는 길에 그녀가 사람은 같은 기독교 형제, 자매들에게 긍휼을 보여야 하며 성령께서 자신에게 그렇게 말하고 있다고 그 여자에게 말했다. 그 때 전술한 Jane는 그 반대되는 것을 완벽하게 말했다. 즉, 그 아내는 그녀의 남편을 떠나야 하며 하나님의 계명에 따라서 살아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많은 말에 관해서 그녀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어찌했든지 그녀는 어떤 남자를 위해서도 거짓말하지! 는 않았을 것이다. 그녀가 이 일에 관해 양심의 가책을 느끼는지 물었다. 그녀는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느끼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다. 그 여자가 사라진 것에 대해서 그녀는 행복해했으나, 전술한 Amyaude가 그녀에게 했던 끔찍한 말에 대해서는 화를 냈다. Ibid., 313.
당회의 소견은 전술한 Jane이 항상 Amyaude와 함께 있으며 그녀는 그 여자가 지난 3, 4년 동안 그리고 지금 성찬을 받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알아야만 했다. 그녀는 꽤 심각한 충고를 받았는데, 자신의 상황을 그 때 깨닫고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서 목요일에 권면을 받을 것이다. 그러면 그녀는 더욱 겸손해 질 것이다. 그녀가 제시했던 질문에 관하여서, 만약 설교자가 Rhone 지역에는 물이 없다고 말한다면 믿을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와, 사람이 그것을 믿어야만 하는지의 여부가 될 것이다. 당회 앞에서 권면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에 그녀는 통치자와 목사들을 비난하였다. 이 여자에 대한 사건과 그가 알고 있는 사건들에 대해 묻기 위해 Master Pierre Viret에게 편지를 쓰는 것은 좋을 것이다. 그녀가 여기서 교정되기 원치 않을지라도, 그녀는 성만찬에 대해 재조사를 받을 것이다. Ibid., 313-4.
전술한 Jane는 성탄절 성만찬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다. 그녀는 지난 목요일에 이미 여기에 소환되었고 그 결과로 그것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녀는 받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그녀가 이미 언급하였던 양심의 가책 때문에 그녀는 성만찬을 받는 것이 필요한지 몰랐다. 또한 다른 시간에도 받지 않았다. 그녀는 지난 시절들을 감옥에서 보냈고 그것이 매우 가치 있었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리고 많은 이들이 그녀를 재세례파주의자라고 믿었기 때문에 Monsieur Calvin이 그녀가 감옥에 간 이유를 확실히 기억하고 있다고 그녀는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Farel과 Voret도 그녀에게 이런 것을 부과하는 것은 잘못이었다. 그녀는 도시 바깥으로 쫓겨났으며 도시 외곽에 있었던 그녀의 남편과 격리되었다. 그리고 그녀는 항상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안에서 살기를 원한다. 그녀는 월요일까지 당회에 소환될 것이다. Ibid., 314.
「Pernete」와 하녀와의 성만찬에 대한 의견충돌 때문에 생긴 일이다. 「Jehan Chappon과 그의 아내 Pernete」는 Monsieur Jehan Donzel의 하녀와 성만찬에 대한 의견 충돌 때문에 칼빈의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그는 침대에서 성만찬에 참석할 수 밖에 없었는데, 왜냐하면 당회에 알려진 대로 그가 병들었기 때문이다. 그의 아내가 전술한 Monsieur Jehan Donzel의 하녀에게 주었던 것을 그에게 돌려주어야 했기 때문이 아니라면, 그는 원한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 판단이 정확히 내려져야 하며 그는 그들이 갈등으로 여겼던 일들을 회복시켜야 한다. 여기에 참석한 그의 아내는 그 하녀의 손을 통하여 그가 전술한 Donzel에게 빌려주었고 또 요구한 손해를 제시하는 방법을 말해야 한다. 전술한 Noble Jehan Donzel은 그들이 모습을 보일 때 외에는 그렇지 않다고 답변한다. 그러나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Ibid., 386-7.
그의 아내 Pernete는 그 주술사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다. 비록 전술한 Donzel의 하녀가 그가 있는 곳을 그에게 알리는 것이 좋을 수 있다고 그녀에게 말했을지라도, 그녀는 어떤 주술사에게도 말을 한 적이 없다. 전술한 Jehan Chappon은 Donzel의 가족과 그들의 하녀에 대하여 수많은 모욕적인 말들을 했는데, 항상 그들은 손해들이 곧 발견될 것이라고 희망하였다. 하지만, 그는 누구든지 그들을 위해 그것을 하도록 허락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그는 그의 모든 능력으로 그것을 금지시켰다. 그는 그들에게 어떤 해도 끼치지 않으려고 했으며, 그들은 Monsieur Calvin의 권면과 충고를 받아들였다. Ibid., 387.
이것은 「Loynard Fontanel」의 성만찬과 예배 불참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그는 가난하여서 일을 했기 때문에 좀처럼 예배에 가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하루에 두 sous를 받았으며, 매일 예배 참석하기로 약속하였다. 그는 기도문과 신앙고백문을 암송했고, 십자가 성호를 두 번 그엇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은 전혀 없으며 매주 좋은 의도로 볼 수 있다. Ibid., 389.
하나님의 말씀대로 따라 살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Pierre Rosseti와 그의 아내 Anthoyne」는 그들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지 않았기 때문에 당회로부터 권고받는 일이 생겼다. 전술한 Rosset는 하나님의 말씀 없이는 살지 않으며 그의 아내는 그가 그녀에게 명한 것을 하기 싫어한다고 답변한다. 왜? 그녀는 화가 났고 자기 마음대로 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는 그녀 마음에 간음에 대한 생각이 있는지 모르고, 창피스러운 일들은 단지 이웃들로부터 불거진다는 것도 모른다. 그 아내는 답변하기를 그녀는 다른 이들과 싸웠던 이유로 이미 수사관 앞에 있었다. 전술한 Pierre는 그의 아내가 그를 모욕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그는 그녀를 때렸고 그녀의 친구를 그가 숨기고 그녀가 그곳에 갔을 때 그녀를 발견할 때면 어김없이 때릴 것이다. 그는 그녀를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때일 것이다. 당회의 견해는 그가 더 이상 소란을 피우지 말고 만약 미래를 위해 자신의 삶을 교정치 않으면 따로 불러 권면하고 지도하는 것이다. 그의 아내에 관하여는 누군가 그녀에게 어떤 일을 금지시키면 그녀는 그것을 그만두어야 한다. 그는 과거에 상습적으로 했다고 보고 되었듯이 아내를 더 이상 때리지 말도록 권면 받았고, 그들은 강한 권면을 받아서 만약 돌이킨다면 그는 처벌받고는 그녀는 남편에게 순종할 것이다. Ibid., 322.
전술한 Pierre는 칼빈 선생의 모든 권면을 문제 삼지 않았고, Mychiel 선생의 진술이 거짓임을 입증했다. 그는 간음자가 아니었고 지상의 어떤 이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는 존경을 받을만한 자였고 모든 사람의 말이 거짓임을 입증했다. 그는 공격적으로 말했고 화가 나서 평의회에 소환되어야 했다. 한편 정보는 비밀리에 입수되었고. 그는 평의회에 그 보고 때문에 소환되어야 했다. 그리고 그의 간음에 대한 조심스런 조사가 착수되었다. 내일 소환될 것이며 그는 이 도시의 그 누구보다 존경받는 자가 될 것이다. Ibid., 322.
개인의 신앙생활 부진으로 당회로부터 호출을 받았다. 「Collomb라고 불리는 짐마차꾼 Pierre Joly」는 그가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아는지의 여부를 알려는 이유로 사건이 생겼다. 그는 기도하는 법을 배우려고 노력했다고 답변되었다. 그는 약간의 기도와 신앙고백이 있다고 진술되었다. 주일마다 그는 예배에 참석했지만 다른 날에는 아침에 일어나지 못해 예배에 가지 못했다. 이유는 짐마차를 끌다가 다쳤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달에 한 번 기도하는 법을 배우고 교리공부를 하러 갔다. 그가 당회에 출석을 요구받았을때 그의 아내도 함께 소환되었다. Ibid., 322.
한 가정의 가장인 Mathieu Gathsiner의 신앙(종교)과 예배참석 문제로 당회가 열렸다. Ibid., 190.
Mathieu Gathsiner는 신사용 양품 가게 세 곳을 운영하고 있는 소유한자 였다. 그는 신앙(종교)과 예배참석 문제로 당회에 불려가는 일이 생겼다. 그에 관해 말했던 자들(증인)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답변되었다. 천주교의 교리와 신앙을 신봉하는 자들에 관하여, 그는 그들에게 요구한 것을 준 것이 틀림없었다. 예배 참석에 대해서, 그는 가능한 한 매 주일 예배에 참석했다. 고기에 관해서, 그는 그의 집에서 고기를 먹는 남자들과 함께 고기를 먹는다. 그리고 그는 복음을 혐오하지 않고, 당회의 명령에 따라서 복음과 개혁과 율법 그리고 이 도시의 관습들의 범위 안에서 순종적인 시민으로 살다가 죽기를 원했다. 그는 기도문을 암송하고 라틴어와 독일어로 된 주기도문 외에는 신앙고백문을 여전히 잘 모른다. 그리고 그는 하나님을 믿으며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는 6명의 자녀들과 12살 난 손녀를 두었다고 전해진다. 당회의 소견은 그가 부활절까지 신앙고백문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권고하였다. 그는 매 주일에 그의 자녀들을 가르치며 그의 손님들에게 신앙을 전해야 한다. 그는 이렇게 행하고, 예배에도 자주 참석하도록 권면을 받았다. 그는 집에 신약성경을 두었고, 성만찬을 받기 전에 여기에 왔다. 그 자신의 세 명의 딸은 이곳에 와서, 그의 손님들에게 복음을 가르쳤다.『1543년 2월 15일 목요일』 참석한 당회원: 행정장관 Checand. Calvin, Henri, Chaompereaulx, De Ecclesia, De Genesto, Trippereaulx. Claude Du Pain, M(ichel) Morel, Jo. Du Molard, Pierre de Veyrier, Blandin, P(ierre) Vernaz, Pensabin, Just de Ulmo, 사무관 Vovrey. Ibid., 190.
「Molard 지역의 시장 상인인 Catherine」이 예배 참석문제로 당회에 소환을 받았다. 「 Catherine」은 생계를 위한 상업 일 때문에 예배에 참석할 수 없다. 그녀가 예배당에 갔어도 귀머거리인 까닭에 자신은 아무것도 들을 수 없다고 답변하였다. 그녀는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르고, 항상 성모 마리아에게 드리는 기도인 ‘아베 마리아’만 되뇌었다. 당회는 그녀에게 하나님을 경외하며 누구와도 추문에 휩싸이지 말고 하나님께 기도하고 모든 우상을 버리고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고 권유하였다. 또 당회는 그녀에게 유익한 권면을 주며, 그녀는 처벌을 받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하였다. 그녀는 더 이상 성모 마리아에게 기원하지 말라는 심각한 권면을 받았다. Ibid., 191.
「De Miribello의 아내 Pernete」는 천주교 식의 기도에 관한 문제로 당회에 소환되었다.『1543년 2월 22일 목요일』, 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Checant 경. Calvin, Henri, Chaompereaulx, De Ecclesia, Genesto, Tripereaux. Vernaz, D'Orsieres, De Veyrier, De Loermoz. Ibid., 193.
「Pernete」는 천주교식의 기도를 하기 위하여 그녀가 기도용 묵주를 지니지 않았으며 주기도문을 라틴어와 불어로 말하며 많은 자녀들을 두어 그들을 가르칠 의무를 가진다고 답변되었다. 그녀는 때때로 St. Gervase 교회에 갔으며, St. Peter 교회에서도 설교를 들었다. 처음에 그녀는 자신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를 했으며, 남편과 자녀들을 위해서도 기도를 했다. 그녀는 라틴어와 불어로 기도를 했으며 신앙고백도 했다. 당회는 그녀가 다른 시간대에 소환되어서 다음 번 성만찬을 받지 못하도록 조언했다. 그녀는 모국어로 주님께 더 많이 기도하도록 권면을 받았다. 그녀는 개혁주의 정신에 따라서 살기 원하는지의 여부를 질문 받았고, 그녀의 남편은 자신의 아내와 자녀들을 가르치는 방법을 배우고 더욱 자주 예배에 참석하기 위하여 소환되어야만 했다. Ibid., 193-4.
「Jullian Recouz의 미망인」이 복음 때문에 생긴 문제로 당회에 소환되어 권징을 받았다. 그녀는 복음과 그것을 따르는 자들을 저주하였다. 그녀는 복음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르지만,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들을 사랑하며, “악마는 모든 것을 혼란스럽게 한다.” 혹은 “다른 법이 이것보다는 낫다.”라는 식의 말을 하는 어떤 사람도 인정하지 않다고 답변하였다. 그러나 만약 우연히 그녀가 그런 말을 했다면 그녀는 하나님께 자비를 구할 것이다. 그리고 우연히 오래전에 그녀는 복음에 속한 적이 있었다. 그녀는 한 1-2년 동안 복음에 속한 적이 있었고, 하나님에 관해 알만큼 안다. 그녀는 이전에 라틴어로 기도한 것 외에는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르고, 라틴어로 기도하는 것과 성모 마리아에게 드리는 기도를 한다. 당회의 소견은 그녀가 당회로 소환되고 증인들의 명단을 당회에 제공하며, 그들은 조사를 받고 다른 이들에게 좋지 않은 본보기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Ibid., 194.
「귀족인 Domeyne Franch의 아내 귀부인 Claudaz」의 기도용 묵주와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는 권면을 받았다. 「Claudaz」는 기도용 묵주와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는 것에 대하여 당회의 권면을 받았다. 그녀는 Domeyne Franc와 함께 있을 때부터 기도용 묵주를 지니지 않았다. 그녀가 주기도문을 말한 것은 사실이다. 그녀는 남편이 아프기 때문에 예배에 참석할 수 없었다. 남편의 병은 예배 참석에 있어서 큰 방해거리였다. 그녀가 기도용 묵주로 기도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녀는 가능한 한 St. Gervase 교회와 Magdalen 교회에 갔다. 그녀는 예배에 자주 참석하라는 권면을 당회로부터 받았다. Ibid., 195.
「제네바의 거주민인 상인 Monsieur Pierre Gerod」가 예배 참석에 관하여 권면을 받았다, 그는 가끔씩 마을에 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예배에 참석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기도문을 알고 있으며 신앙고백도 한다. 그는 당회로부터 예배에 더 자주 참석하도록 권면을 받았다. Ibid., 196.
한 개인「Mathieu Gathiner」의 신앙과 근면하지 못함 때문에 당회출석의 출석명령을 받았다. 「Mathieu Gathiner」는 자신의 신앙이 근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사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그가 할 수 있었던 일을 해왔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그의 나이든 자녀들과 후에는 그의 어린 자녀들도 그를 뒤 따랐다. 그는 해야 할 일을 할 것이다. 그녀는 기도문을 외우고 신앙고백을 했으며, 자주 예배에 참석했는데, 어제 8시에는 Master Henri가 설교하였으며, Champereaulx도 설교하였다. 그리고 그는 신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유익을 얻을 것이며, 그는 자신의 신앙으로 구원받을 것임을 믿는다. 당회는 그가 성만찬에 참여하기 전에 신앙으로부터 더 좋은 유익을 얻을 의무를 가지고 있으며 그는 부활절까지 그가 어떤 유익을 얻었는가를 알기 위하여 매주 목요일에 와야만 한다고 했다. 그리고 그는 부활절 이전에 목사들 중 한 사람 앞에 스스로 출석할 특정한 날을 배정받아야 했다.『1543년 3월 8일 목요일』, 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Checand. Henri, De Ecclesia, Champereaulx, Blancheti, Trippereaulx. Morel, Du Pain, Du Mollard, Laurent Symond, Pensabin, Blandin, De Veyrier, De Loermoz, 사무관 Vovre. Ibid., 200.
「Dominique Jerdy」가 성탄미사 및 예배출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회의 호출을 받았다. 「Dominique Jerdy」는 지금부터 8년 동안 미사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그의 아내도 미사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 그와 그의 아내는 성탄절에 이 도시에서 성만찬을 받았다. 그 후 즉시 그의 아내는 에비앙(Evian)으로 갔으며, 그는 그의 아내가 하나님께 대적하여 무슨 짓을 했는지 모른다. 성탄절 이후에 그들은 이 마을에 머물렀고, 그는 그의 아내가 미사에 가지 못하도록 했다. 또다시 그는 Master Henri가 설교하였던 성탄절에 성만찬을 받았다고 말했으며, 그는 성탄절 이전 금요일에 그곳에 가지 않았다. Monsieur Champereau나 Henri가 그와 교제를 갖지 않았다며, 그는 자신의 조카에 의해서 그것을 증명할 것이다. Ibid., 202.
한 가정주부 Pernete는 자신이 예배참석에 잘 참석한 것 때문에 생긴 일에 연루되었다. Pauloz Du Nant의 딸이며 Dominique Du Gerdi의 아내인 Pernete는 예배 참석 때문에 생긴 일에 연루되었다. 그녀는 자주 예배에 참석했다. Champereaulx가 설교하였던 월요일 예배에도 참석했다. 2주 전에 그녀는 Evian에 있었으며, 이곳에서 부활절과 성탄절에 각각 성만찬을 받았다. 그녀가 Evian에 있었을 때, 일년 넘게 미사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Evian에서는 교회에도 가지 않았다. 그녀는 병으로 누워계신 그녀의 아버지를 보러 Evian에 갔다. 절기는 없었으며, 오랫동안 무언극이나 가면무도회도 없었다. 그녀는 진실로 많은 이들이 거짓된 얼굴을 쓰고 있다고 믿고, 춤을 추거나 종소리를 내거나 자신을 위장하지 않았다. 그녀의 남편은 성탄절 다음 날에 이곳에 왔으며 4시쯤에 도착했지만 춤은 추지 않았다. Ibid., 202.
Claudaz가 예배출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이 생겼다. Lucinges 출신의 Jehan Blandet의 딸이며 Dominique Du Gerdi의 하녀인 Claudaz는 2년 동안 Monsieur Jehan Pensabin과 살았으며 그녀의 주인과 여주인과는 단지 성탄절 전날에 짧은 시간 동안만 살았다. 그리고 그녀의 주인은 일주일 더 머물렀고 미사나 예배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교회에 가지도 않았다. 아무도 그녀가 진리를 듣지 못하도록 막지 않았다. 그녀의 여주인도 그러했다. 그녀는 그녀의 여주인과 함께 교회 가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축제와 연회를 열지 않았으며 그녀는 춤에 대해서는 알지만 춤은 추지 않았으며 그녀는 악기나 무언극에 대해서도 아는 것이 없었다. 그리고 그녀는 전체 도시를 통하여 거짓된 얼굴들을 쓴 사람들을 알아보지 않았다. 그들은 연회를 열지 않았다. 그는 일주일 더 머물렀고 그들은 6주간 머물렀기 때문에 그녀는 그녀의 주인이 도착하였던 시! 간이 언제인지를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기간에 교회에 가지 않았으며, 그녀의 주인과 여주인은 그녀에게 이것을 말하도록 가르쳐주지 않았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이 자주 예배에 참석할 때까지 소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Ibid., 202-3.
「Marie」는 그녀의 어머니와 다투었던 것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Vulliet라고 불리는 고 Jehan Du Nant의 딸인 Marie」가 그녀의 어머니와 다투었던 것에 관하여 생긴일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스스로 그녀와 관계를 끊었다. 그 외에는 아무 일도 없었다고 답변되었다. 모든 성인들의 날(All Saints' Day)로부터 이런 일이 일어났으며, 그녀는 그 이유를 모른다. 그리고 그들은 그녀의 명령 없이도 헤어졌으며, 그녀는 자신의 어머니를 화나게 하는 아무런 죄도 범하지 않았다. 그녀는 지금 Vandelli의 집에서 산다. 그들은 서로에게 원한이 없으며, 그녀는 어머니에게 자신의 불평거리를 두 명의 명망 있는 여성들 앞에서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주일 저녁 기도 시간에 예배에 참석했고, 기도문과 신앙에 관련된 글들을 읽었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 둘 모두 다음 주 수요일 예배 후에 화해하고,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는 것이었다. Ibid., 205.
「Amed Goget」의 예배참석 문제 때문에 일이 생겼다.『1543년 12월 18일 화요일』 성탄절에 있을 성만찬식 이전에 거행됨. 행정장관 Checand 경. Calvin, Pupin, De Ecclesia, Morel, Vernaz, Molard, Blandin, Pensabin, De Loermoz, Veyrier, 사무관 Vovrey. Ibid., 302.
「Mategnim 출신의 Amed Goget」는 이 도시에 5년 간 머물렀고 그의 재산들을 상실했다. 예배 참석 문제가 생겼다. 그는 매 주일에 예배에 참석하며 다른 날에는 저녁 먹기 전에 참석한다고 답변했다. 그때 Monsieur Calvin이 설교하였다. 그는 꾸준히 열병을 치료한 것에 대해서, 그는 moretoz에 걸려서 체력이 약해진 시청 근처에 사는 한 양복업자를 치료해 주었다. 그는 마치 십자가에 달린 것처럼 축 늘어져 있었으며, 아무 말이나 아무 일도 할 수 없었다. 그는 기독교 신아에 관한 한 추호도 망설임이 없었다. 그는 라틴어와 불어로 기도문을 암송했지만 신앙 고백은 하지 않았고, 때때로 Ave Maria만을 외칠 뿐이었다. 그는 지나온 시간에 성직자들에게 그들이 우리를 모욕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과거보다도 지금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더 잘 앎으로서 의무를 다 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Ibid., 302.
「Gabriel Curlat」는 결혼하여 Besoles 전쟁 때까지 여기서(제네바) 살았다.『1543년 12월 20일 목요일』의 당회 참석자: 행정장관 Checand 경. Calvin, Albert, Trippereaulx, Champereaulx. Morel, De Pain, Molard, Pensabin, Vernaz, Justz, Veyrier, Blabdin, 사무관 Vovrey. 「Lucinges 출신의 Gabriel Curlat」,Ibid., 305.
그는 결혼하여 Besoles 전쟁 때까지 여기서 살았다. 그녀에게는 딸 하나가 있었다. 그는 신성모독자도 술주정뱅이도 아니었다. 그는 신성모독을 범한 적이 없으며, 주일에 한 번 예배에 참석했다. 그는 1 개월 전 딱 한 번 외에는 술을 마신 적이 없다. 그 때 그의 초가 타버렸고 그는 어떤 쓰레기에 발부리가 걸려서 코를 다쳤다. 그는 지금의 식대로 15년 동안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안다고 말했다. 그는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Ibid., 305-6.
「Berthe」는 예배출석 문제 때문에 당회로부터 권면을 받았다. 「Pierre de Joex의 아내인 Berthe」가 예배참석 문제 때문에 생긴 일이다. 그녀는 하인이 없을 때에는 가끔 예배에 가지 않는다고 답변하였고, 단지 매 주일과 수요일에 몇 번 나갔다. 그녀의 남편은 그녀보다는 많이 나간다. 그녀는 예배에 참석하라고 권면을 받았다. Ibid., 306.
「Pierre Truffet」는 예배 불참과 여러 게임들 때문에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Pierre Mercier과 Exerton은 협정을 맺는다. 「Pierre Truffet」는 예배에 불참했다. 그는 여러가지 게임들에 빠졌다. 그는 항상 재미를 추구하였고, 술 마시기 위하여 도박을 했다. 그는 결혼하여 아내와 아이들이 있다. 그는 한 번에 한 florin 이상은 도박에 쓰지 않는다. 그는 단지 주일에만 도박한다. 그는 당회로부터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Ibid., 388.
Pernete는 예배 문제로 당회와 시청으로부터 권면과 소환을 받았다. Pernete는 주일 오전 예배에 참석했다. 그녀는 주인의 집에 있는 다섯 아이들 때문에 자주 예배에 갈 수는 없었다. 그녀의 여주인이 임신했다고 믿는다. 그녀는 기도문을 외웠지만, 신앙고백은 그리 좋지 못했다. 그녀의 남편은 40 Florin을 받으면 아이를 데리고 갈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주인은 그 돈을 그에게 줄 것이다. 그녀는 그와 약혼했으면서도 임신을 했으며 그가 앞으로 어떻게 할지 그녀는 모르기 때문에, 그녀는 회개해야 한다. Ibid., 389.
그녀는 스스로를 잘 관리하고 아이를 잘 키우도록 권면을 받았다. 그녀는 평의회가 있기 전 시청에서 예배에 참석하고 월요일까지 소환되었다. Ibid., 389.
지방 검사「Egrege Claude Veneri」는 자신이 왜 그곳 당회에 소환되었는지를 모른다.「지방 검사 Egrege Claude Veneri」. Ibid., 414.
그가 이곳 당회에 소환된 것은 예배 참석 때문에 생긴 일이다. 교회에 대한 그의 의무를 다 하고 싶으며, 그는 예배에 참석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세 명의 자녀들을 둔 가난한 사람이다. 법에 관하여, 그는 원래 말하려고 의도하지 않았던 말을 하였기 때문에 그의 행위는 그릇되게 보이며, 이 말 때문에 그를 고발하였던 그의 적대자들을 지방 검사「Egrege Claude Veneri」는 요구하였다. “Denis Hugue의 아내에 관하여,” 그는 그것을 설명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그에게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한 아내가 있는데, 그는 그녀로부터 자녀를 두었으며, 심리 중인 어떤 사람은 Françoys Bordon의 사건에서 그를 욕하면서 모독했다. Denys Hugue의 아내는 세 준 사람들과 함께 왔으며, 명망 있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남편이 빵을 처리하고 아내가 고기를 처리한다고 언급되었기 때문에, 만약 그의 아내! 가 무엇인가를 알았다면 그는 이런 말들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만약 그가 틀린다면 그는 그것 때문에 처벌받기를 원한다고 말하고, 그는 그의 고발자들을 맞서서 그의 권리들을 요구한다. 그리고 그가 말했던 것을 그는 나쁜 의도로 말하지 않았으나, 무지로부터 기인된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어떤 그릇된 말을 하려고 계획하지는 않았다. 만약 그가 어떤 짓을 했다고 알려지면 그는 그것 때문에 법에 의하여 처벌받기를 원한다. Ibid., 414.
「Gonynaz」는 verpers 지역에 있을 때 주일 오전 예배에 참석하였다, 「Moctu라고 불리는 도살업자 Franchoys Planche의 아내 Gonynaz」는 verpers 지역에 있을 때 주일 오전 예배에 참석하였으며, 신앙에 관하여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성 요한의 날(St. John‘Day)이나 혹은 성체축일(Corpus Christi)을 지키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p.414. (Bocone) Monsieur Calvin은 Bocone에 관하여 무언가를 말했는데, 그녀는 자신에 관한 일들이 끝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 그것은 심각한 일로, 그녀의 남편은 그녀를 데리고 함께 가라는 허락을 얻지 못했다. Ibid., 414.
「Pernete」는 이 도시에서 성장하였고, 고 Monsieur Jehan Gurguigni의 종이었으며, Magdalen 근처에서 산다. 「Viry 출신의 Loys Magnin의 딸 Pernete」는 이 도시에서 성장하였고, 고 Monsieur Jehan Gurguigni의 종이었으며, Magdalen 근처에서 산다. 그녀는 왜 이곳에 소환되었는지를 모른다. 그녀는 기꺼이 예배에 참석한다고 답변한다. 그녀는 생계를 위하여 일하고, 성 요한의 날이나 성체축일 같은 전술한 날들에도 일했다. 그녀는 일하지만, 가진 것은 없다. 그래서 그녀는 살기 위하여 그녀가 고안한 계략들 중 두 가지를 팔았다. 그녀는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른다. 그녀는 성탄절에 자신의 집으로 왔다. 그녀는 자신의 집에서 4, 5 년 간 살았고, 그녀의 이웃들처럼 성 요한의 날에 예배에 참석하였다. 그녀는 절기들을 지켰다고 생각한다. 그녀는 3주 전에 팔을 부러뜨렸고, 하나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른다. 그녀는 설교자나 설교의 내용들을 모른다. 그녀는 Viry 지역에서 누가 설교하는지, 그가 젊은지 늙었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주기도문을 말하는 법을 알기 때문에 라틴어로 주기도문을 한다. “Ave Maria Virgo, Credo in deum, Sanctum, Sanctum, Commem.” 그리고 그녀는 거기서 한 사공의 아내인 Taberte의 아내를 가리켰다. 그녀는 2주 전에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배우도록 권면을 받았고 자주 예배에 참석한다. Ibid., 415.
4.사회적 윤리문제(미신, 고리대금, 도박, 게임, 놀이, 우상, 증오, 추문, 말다툼) 로 인한 소환, 충고, 권면, 권징이 시행되었다.
당회는 Pierre Rugoz가 이단과 미신을 수용했기 때문에 그를 권징했다. 양털 깍는 사람 Pierre Rugoz 씨는 이단의 행사들에 참석한 것과 미신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는 때때로 예배에 참석했지만, 탐욕 때문에 예배 참석을 못했다. 만약 그가 내일 볼일이 있다면 비록 그 때가 절기일지라도 일하러 갈 것이다. 그는 하나님과 거룩한 말씀을 쫒아 살기를 원한다. 하지만 행동으로 실천하지는 못했다. 그는 결혼을 안했다. 당회는 그가 하나님 편에 서서 하나님을 섬기고 신앙적으로 자라도록 충고하였다. 만약 그가 발전하지 못하면 그는 평의회 앞에 소환되어 예배에 대해 질문을 받을 것이다. 그는 일주일에 세 번 예배에 참석하도록 명령을 받고, 기도할 수 있는지를 요구받았으며, 그 문제로 인하여 권징을 받을 것이다. 그가 신앙에 대한 생각이 있는지, 예배가 좋은지의 여부를 밝혀서, 그는 하나님께 기도하는 방법을 알고 3주 동안은 여기 제네바에 있을 것이다. 이것은 그에게 어리석고 불필요하게 보일 것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양심에 가책을 느끼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의 신앙은 하나님이 사제들의 손으로 오시지 않기 때문이다. 비록 때때로 그가 성모에게 탄원할지라도, 그는 절기나 양초에 대한 오남용 혹은 음식들이나 성인들에게 탄원하는 것에 대한 큰 헌신이 없다. 그가 이전에 했듯이, 그는 라틴어로 말하는 것 외에는 하나님께 기도하는 법을 모른다. Ibid., 183.
이어서 당회는 Anthoyne Fraychot을 고리대금문제로 소환하였다. Anthoyne Fraychot는 고리대금 때문에 여기 제네바에 남을지 그렇지 않을지 결정에 직면하게 되었다. 다른 맹세와 주님에 대한 모독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는 장사로 여기를 떠나있는 것 외에는 전적으로 여기 남길 원했고 그러고 싶었다. 그의 아내는 그가 돌아올 때까지 여기에 머물러 있지 못하고 여길 떠났다. 그녀의 남편은 충분히 살만치 살고 그녀와 헤어졌다. 그녀의 남편은 약장사에 대한 약간의 실습을 얻기 위해서 단기간에 독일로 가길 원했다. 이 여행이 그에게는 좋았지만 오랫동안 그 아내를 떠나 있어야 했다. 고리대금에 관하여 세 가지로 처리되는데, 그는 Vauche의 어떤 이에게 금반지 몇 개를 빌려 서기에게 기록하게 한 다음 어떤 이익도 보지 않고 한달 안에 그의 돈을 얻기 원했다. 만약 그들이 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그들은 포도주를 대신 주려고 한다. 두 번째는 곡물이다. 세 번째는 양심의 가책에 따라서 그는 밀가루를 6 coupes를 사서 빌린 돈 100 florin을 지급하고 22 sous를 갚겠다고 약속한다. 그러나 그는 돈을 다시 찾을 속셈으로 4 coupes에 그것을 해약한다. 그러나 그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그는 아내에게 그가 올 때까지 잘 지내라고 요구한다. 당회는 그가 맹세에 있어서 옳고 그의 아내는 그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본다. 그는 정의의 수중에서 떨쳐지지 않을 것이며 3개월 혹은 6 개월간의 기한을 주었다. 그는 그녀를 완전히 떠나지 않을 것이며 예배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 이것이 해결책이다. 그는 다음 주 월요일에 당회로 소환되어 그가 갈 곳과 당회의 결정에 따를 것에 대한 맹세를 해야 한다. 그의 아내는 지난 시간 동안 충분히 잘 살았는지 당회로부터 질문을 받을 것이다. Ibid., 190.
한 고리대금업자「Anthoyne Fraychot」의 문제와 주님의 이름으로 맹세하는 것과 신성모독 때문에 생긴 일로 권징을 받았다. 「Anthoyne Fraychot」는 자신이 행하고 있는 고리대금과 이곳에 거주하는 문제와 주님의 이름으로 맹세하는 것과 신성모독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가 사업상 여기를 떠나고, 그가 돌아올 때까지 그의 아내를 이곳에 남겨둔 것 외에는 완전히 여기에 머물기를 원하고 그렇게 하기를 작정한다고 답변되었다. 그는 아내에게 충분한 생활비를 남겼다. 그는 자신의 의약품 판로를 개척하기 위하여 그는 짧게라도 독일로 가고자 했으며, 이 나라가 그가 머물기에 좋은지의 여부를 그가 인식할 수 있을 때까지 그의 아내를 잠시 떠났다. 그는 고리대금에 관해서, 3건을 취급하였다. 그는 금반지 몇 개를 Vauche 지역에 사는 어떤 사람에게 빌렸고 그 행위를 기록하려고 공증인을 데려왔지만, 어떤 이익도 취하기를 원치 않았고 한 달 안에 그의 돈을 원했다. 만약 그들이 그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았으면, 그들은 그에게 포도주를 주고자 했다. 그들은 그에게 포도주를 얼마큼 주었는데, 포도주보다는 물이 더 나았다. 두 번째 건은 곡물에 관한 것이었다. 곡물은 그 당시 2 florin의 가치가 있었고, 그는 22 sous를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그는 곡물을 받지 않았다. 그가 꺼렸던 세 번째 것은 그가 외상으로 지급된 100 florin에 상당하는 6 coupes의 밀가루를 샀다는 것인데, 그는 그의 돈을 되찾기 원했고 그래서 6개에 4 coupes로 하고 그것을 취소했으나 수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만약 그가 그것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된다면, 그는 전 생을 바칠 것이다. 그는 아내에게 그가 올 때까지 잘 지낼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물었다. 당회의 소견은 그가 맹세에 대해서 스스로 바로 잡고, 그의 아내는 그를 포기하지 말고, 그는 법의 심판에 맡기지 않는 것이 나음을 아는 것이다. 당회는 그에게 3 내지 6개월의 기간을 주었다. 그는 그의 전술한 아내를 떠나지 않아야 하고, 스스로 모든 악에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 그가 아내에게 충분한 돈을 남겼든 그렇지 않든, 그가 그의 아내를 잘 대했든 그렇지 않든, 그 여부를 그는 알아야만 했다. Ibid., 191-3.
「Pierre Des Vignies, baths 지역의 Jehan Jaquard」에게 싸움질과 설교 말씀에 따르는 문제 때문에 생긴 권징이다.『1543년 3월 1일 목요일』당회 참석한 당회원: 행정장관 Checand. Calvin, Henri, Chaompereaulx, De Ecclesia, Tripereaulx, Genesto. Du Pain, Morel, Molard, Orsieres, Verna, Pensabin, De Loermoz, Laurent Symond, Blandin, Veyrier, 사무관 Vovrey. 「Pierre Des Vignies, baths 지역의 Jehan Jaquard」. Ibid., 197.
그는 싸움질과 설교 말씀에 따르지 않는 것 때문에 당회로부터 (미약한) 처벌을 받았다. 그들은 갈등 사이가 아니었으며, 그들은 각자에게 해를 끼치고자 하지 않았으며, 예배에 참석하고 어떠한 유랑자들도 자신들의 집에서 쉬도록 하지 않고 사악한 방향으로 가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 그들은 예배에 자주 참석할 수 없었다. 매주일에 그들은 예배에 참석했으며, 다른 날에는 일 때문에 갈 수 없었다. 전술한 Jaquard는 지난 주일 St. Gervase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으며, 그는 누가 설교했고 그 설교자가 무슨 말을 했는지 모른다. Des Vignes는 그 목사가 말했던 내용을 모른다. 그들은 적절하게 처벌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그 지역(baths)을 떠나고 싶었다. Ibid., 197.
한 여성「Maurisaz Talluchetat」가 신앙고백문제로 당회로부터 권면과 조언을 받았다. Ibid., 197.
그녀는 자신의 신앙고백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 하고 왜 지난 목요일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는가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다. 그녀는 십계명이나 신앙고백을 말할 수 없다고 답변하였다. 지난 주 목요일 그녀는 포도주를 팔고 있었기 때문에 올 수 없었다. 그녀는 주일에 Masret Henri 목사님이 설교하시는 St Peter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는데, Genesto도 설교를 했다. 당회의 소견은 그녀에게 아무런 발전도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2주 안에 이곳에 참석하여 매일 예배를 드리고 교리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그녀는 이 문제들과 다른 문제들에 관해서 질문을 받았다. 그에 따라서, 권면과 조언이 이어졌다. 그렇지 않으면, 그녀는 당회로 소환될 것이다. Ibid., 197.
「Jehan Clement」는 자신의 아내를 학대한 일 때문에 당회의 충고와 권면을 받았다. 「Jehan Clement」는 그의 아내에게 행한 부당한 처사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는 그의 아내를 집 밖으로 쫓아냈다. 그는 그녀에게 휴가도 주지 않았으며, 그녀는 포도밭 한 평만 받았으며, 그녀의 자녀들은 그녀가 그것을 팔기 원하며, 그녀의 조카들은 원하지 않았다고 답변되었다. 그녀는 결혼 지참금을 가져와야 한다고 그는 아내에게 말했다. 그리고 그녀의 형제들은 그녀가 재산들을 팔기 원했다. 그는 그녀를 다시 데려왔으며, 그들은 합치게 되었다. 그들은 임대인을 못살게 하고 그들의 모든 재산을 소비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그 임대인을 이해하고 싶지 않았다. 그는 때때로 자주 예배에 참석하고 도박을 하지 않는다. 그는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Ibid., 204.
「고귀한 Denys Hugoz」집에서의 정직한 삶과 여러 가지 게임과 신성목독에 관한 그의 일련의 과정들 때문에 당회가 열렸다. 장로 Comparet에 관하여 질문 받았다. 그 게임들에 대해 알지 못했으며 그것들을 더 이상 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다. 경관이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한 여인은 그가 그 아내에게 입맞춤을 할 자격이 없다고 말하지 않아야 했다. 그는 그 말을 참지 못했다. Verna와 Denys는 서로 다투었고 그는 쉽게 아내에게 승복하지 않을 것이다. 그는 권면을 받았고, 참는 방향으로 끝내라고 질문 받았다. 그는 이전보다 더 훌륭히 일을 처리하였고 그의 아내의 일은 예상보다 잘 처리되었다. 그는 자신의 위치를 생각해서 지난날보다 더욱 많은 날에 예배에 자주 나갔다. Ibid., 315.
「Thivent Mathe」는 17년 동안 이 도시(제네바)에 있으면서 자주 예배에 참석하지는 않았다.『1543년 12월 18일 화요일』「Chaulex 출신의 직조공 Thivent Mathe」Ibid., 302.
「Chaulex 출신의 직조공 Thivent Mathe」는 17년 동안 이 도시에 있으면서 자주 예배에 참석하지는 않았다. 두 쌍의 쌍둥이와 두 명의 다른 어린 아이들을 먹여 살려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는 매 주일 예배에는 참석하지만 다른 날들에는 그렇지 못하다고 답변되었다. 그는 5주 동안은 도박을 하지 않았으며, 그가 마지막으로 도박했을 때는 Rive 학교의 탑 뒤에 있었다. 그는 도박중에 다음의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 자신이 언제부터 도박을 했는지, 설교자들이 주사 위로 도박을 할 때부터, 자신이 도박을 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는 스스로 처벌받기를 포기했으며, pate라는 고기 요리를 위하여 Monsieur De Saint Victeur과 함께 5 sous를 걸고 내기 도박을 했던 Orbe의 한 설교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그 때 말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그가 이 도시의 설교자들 중에 한 명이라는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 그 설교자는 카드를 요구했다고 전해졌다. 그는 제네바의 설교자가 있다고 말하지 않았다. 그는 주사위로 내기 놀음을 했던 그 설교자를 알아보지 못했을 것이다. Don Hugoneri의 아내가 긴 가운을 입고 엉덩이 쪽에 자신의 지팡이를 지니고 다녔던 한 설교자에 대해서 말했던 것은 아마 3개월 전이었을 것이다. 그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Monsieur Saint Victeur와 함께 도박을 했던 한 설교자를 보았다고 그 당시 말했다고 한다. 만약 전술한 설교자가 누구였는지를 그가 알았다면, 심지어 그가 Monsieur Calvin이거나 다른 사람이더라도, 그는 그렇게 말했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도박하던 설교자가 제네바 출신임을 그는 말하지 않았고, 그는 그를 알아볼 수 도 없었다. Monsieur Voland와 Monsieur Jaques de Cholex는 거기에 있었다. 그의 신앙고백에 관하여, 혹자는 증인들에 의해서 그 반대되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그런 말을 꺼냈던 바로 그 장소를 진술해야 했다. 그 말은 그가 제네바의 설교자였다고 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Gonerie는 조사를 받아야만 했고, Don Hugoneri와 그의 아내 그리고 Monsieur De Saint Victeur은 소환되었다. 그가 언제 어느 곳에서 목사들 앞에 소환되었는지를 분명히 밝힐 것을 약속받았다. Ibid., 302-3. 그당시 설교자들도 도박을 하였다는 간접증거이다.
「Monsieur Thomas Genod」는 자신이 왜 당회에 소환된 이유에 대해서 잘 모른다. 「Monsieur Thomas Genod」는 그가 소환된 이유에 대해서는 모른다. 그는 자신의 아내를 형편없게 대한다. 그는 그녀가 그가 하지 않았던 일을 고백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았다. 반면에, 법은 그 일에 관한 설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는 예나 지금이나 그의 아내를 때리지 않았으며, 그런 말을 한 자에 대해서 불만을 표시하기를 즐겨했다. 그는 그 사실에 대해서 모르고, 만약 그랬다면 기꺼이 감옥에 갈 것이다. 그는 의무적으로 할 이유가 없는 일들은 하지 않았다. 그가 술집에 자주 들락거렸고 이 집에서 살지 않았다는 혐의로, 그는 간통자가 아니었고 명망 있는 여인들과 함께 있었다고 답변됨. 만약 그가 당연시되지 못하는 무슨 짓이라도 한다면, 그는 기꺼이 처벌을 받을 것이다. 그는 종종 Sermet Gallaz의 집에 갔다. 그는 거기서나 다른 곳에서 금지된 어떤 짓도 하지 않았다. 만약 그의 아내가 그를 모욕! 한다면, 그가 그녀를 벌하지 못할 이유가 있느냐고 말한다. 그를 고발했던 모든 사람들은 악한 이들이라고 말한다. 그런 이유가 전술한 Genod에게 전해졌다. 그리고 Monsieur Michiel Morel은 Gallaz와 Tharex의 집에서 음식을 먹고 술을 마셨다고 답변되었다. 그는 사악한 짓을 하진 않았다. 그의 의복들과 반지들을 파는 것에 대해서 Monsieur Pierre Vernaz는 그에게 여러 가지 일들을 공손하게 말했다. 그녀는 그가 자기 앞에서 말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던 누군가에게 말을 걸었기 때문에 그가 약간의 구타를 그녀에게 한 것 외에, 그가 그녀를 때린 것은 6개월 혹은 대략 그쯤 된다. 그의 아내는 이곳에 소환되어야 했으며, 그가 그녀를 잘못 대했거나 위에서 그가 언급했던 두 번의 구타 외에 그녀를 때렸는지의 여부를 물었는지를 말했다. 그는 처벌받기를 말하지 않았다. Ibid., 303-4.
Rolete는 Master Mochiel 의 집에서 6년 동안 하인으로 살았다. Onex 출신의 고 Jehan Cortoys의 딸인 Rolete는 이 도시의 마구업자인 Master Mochiel의 집에서 6년 동안 머물렀다. 그에게는 많은 하인이 있었고 서로의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때때로 그녀를 매 주일에 예배에 보냈다. 그에게는 다섯 명의 하인들이 있었다. 그녀를 구타하거나 할킨 사람은 그것을 즐겼는데, 그는 도시 외곽에 살고 있는 Mount Sion 근처의 Vigny 출신의 Jehan이었다. 그들은 서로 결혼에 대해서 말하지 않았다. 그녀의 여주인은 때때로 이 일에 관하여 그녀에게 화를 냈고, 그녀의 여주인은 만약 그녀가 그를 원한다면 그는 그녀를 취해야만 한다고 제의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그 일에 관하여 전혀 말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매우 탐욕적이기 때문에 그는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은 그녀를 취하지 않을 것이다. 그녀는 그가 그녀에게 입맞춤을 했는지를 모른다. 그리고 그녀는 그것을 숨기지 않았을 것이며, 그가 자신을 구타했다는 것을 그녀는 기억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는 상점에서 그녀를 때렸으며, 그는 그녀에게 감사 인사를 할 정도의 어떤 것을 주거나 약속하지 않았다. 전술한 하인이 그녀를 때리고 그들은 서로 약조하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에 그녀는 자신의 주인에게 이별을 고하고 싶었다. 그녀는 기도문과 신앙고백문을 정확히 암송했다. 소견은 그녀의 여주인이 그녀를 돌보는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전술한 하인이 남아있는 동안 그녀는 진실을 더욱 확실히 알기 위해 소환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건이 전술한 하인이 도착할 때까지 연기되었다. 사람들을 말하게 만드는 어떤 일을 하는 것은 자제되었고 전술한 하인과 관련되는 것도 금지시켰다. 주님께 기도하는 법을 더욱 잘 알기 위하여 2주간의 기간이 여주인에게 주어졌으며 그녀의 집에서 아무런 추문(scandal)도 없었음이 확실하다. Ibid., 305.
「제네바에 거주하는 양말 장수인 Sciez의 Bernard Marcer과 정육업자인 Jehan Recouz의 딸인 Pernon」은 Ibid., 319.
전술한 Bernard는 당회 앞에서 진술했고 그의 부모는 여기서 마지막까지 그가 현재 부인을 아내로 맞이하여 그녀의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는 그의 손과 발을 할퀴었고 그는 그녀를 고소하였으며, 그녀는 그를 배신자, 술주정뱅이라고 불렀다. 때때로 그가 그녀를 때릴 때, 그녀는 그의 배에 칼자국을 낼 거라고 말했다. 그녀는 그에게 작별인사도 하지 않았고, 그는 일터로 바쁜 듯이 사라졌다. Ibid., 319.
그는 그녀 때문에 Andrier Philippe라는 사람에게 위협을 당했는데, 그는 그를 죽이고 싶어했다. 한 때 전술한 Andrier은 그녀를 말에 태워 Thonon에서 그를 죽이고자 음모하였고, 그는 가끔 그를 죽이려고 총을 쏘았다. 그는 항상 그의 아내가 그 남편에게 도망치든지 떠나기를 원했다. Ibid., 320.
Philippe은 항상 그를 위협했고, 그녀가 Philippe과 지낼 때부터 그는 그녀에게 접근하지 못했다! . 그는 팔에 새긴 표시를 보여주었고, 그녀는 그를 치고 침대에 칼을 숨겼다. 그는 그 이유도 그녀가 하려고 했던 것도 몰랐다. 한때 그녀는 저녁에 빵을 먹지 않았기에 칼을 숨겼고, 그 칼은 발견되지 않았다. Ibid., 320.
그가 말했던 모든 것은 사실이 아니며 그녀는 그와 함께 있는 매춘부를 발견했다. 성탄절에 그녀는 예배에 참석했으며 그는 그녀를 학대했다. 그녀는 만일 그가 한 말이 사실이면 처벌받기 원했다. 그리고 Andrier Philippe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다. 그녀는 한 때 St. Julien에 있는 삼촌 댁에 있었고, 그녀의 남편인 Bernar을 St. Julien에 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하고 싶었다. 그녀는 조금 아팠는데, 그들은 Andrier Philippe을 발견하고, 그는 그들에게 그녀가 어디로 가고 있었는지 물었다. 그녀는 그들이 St. Julien으로 가고 있다고 답했다. 한 남자가 그녀를 자기 말에 태웠으나, 그녀는 타지 않았다. 그녀는 남편이 자신을 학대하며 자신은 처벌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들은 지금 고제의 장에 모습을 드러낼 가치가 없다. Ibid., 320.
전술한 Bernard는 그녀가 장에 가기를 원했지만 아픈 척 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여자는 집에 아파서 누워 있고, 전술한 남편이 그녀를 데려오기 원했을 때 그녀는 그가 자기를 죽이기 원했다고 외쳤고 심한 말을 많이 했다. 한 소녀가 그녀는 올 거라고 그에게 말했고 그녀는 남편과 동행하여 오는 것을 싫어했다. 만약 전술한 Bernard가 죽었다면 그녀는 Philipe을 소유했을 것이다. 그는 또 두려워서 도시 밖으로 감히 나가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Ibid., 320.
당회는 주권을 가지고 그들이 당회 앞으로 소환되어 전술한 남편은 준비된 각서를 써서 괜찮은 비밀 정보를 수사관에게 주라는 견해를 피력했다. 그녀는 월요일까지 평의회에 소환되어 잘 준비할 것이다. 다른 것들은 두루마리 문서에 기록되며 전술한 Bernard는 이 문서를 월요일에 평의회에 제시할 것이다.『1544년 1월 17일 목요일』 행정장관 Du Molard 경 주제로 Calvin, Geneston, Albert, Champereaulx, Trippereaulx, Jo. Du Molard, Just de Loermoz, Blandin, Morel, Pensabin 참석, 사무관 Vovrey. Ibid., 321.
신앙을 가진 사람「Noble Denys Hugoz」는 도박과 다른 것들, 예배 참석, 여러 가지 놀이들, 그리고 신성모독 때문에 그가 구금당한 것으로 인하여 당회에 소환되고 당회는 그를 훈계하였다. Ibid., 200.
「Hugonyn de Monthouz」의 도박 때문에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Hugonyn de Monthouz」는 목수일을 하면서 도박을 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그렇지 않으면, 비록 Arthaud가 하룻밤 그와 함께 머물렀던 것이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그는 어떤 여행객도 받지 않는다고 답한다. 그는 집 안에 날카로운 쌍칼을 남겨두고, 단지 딱 한 번 그곳에 머물렀다. Macheret와 Arthaud는 하룻밤 그곳에서 잠을 잤으며, 그들은 주로 목욕하러 가서 잠을 잤다. 그에게는 그와 어울릴 이웃이 없다. 그는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Ibid., 204.
Ibid., 204-386.
성탄절에 점을 쳤기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가죽을 다루는 노동자 Fichet의 아내 Loysaz」는 성탄절에 집에서 점을 쳤기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그녀는 무엇에 대해 말하는지 모르지만 그들은 성탄절에 그런 일을 했다는 것 외에는 잃을 것이 없었다. 그들은 점쟁이를 부르지 않았고, 그녀는 처벌에 복종했고 성탄절에 성찬을 받았다. 그녀의 여자 친척들은 금과 은을 소유했고 그들은 그것들을 찾지 않았다. Ibid., 324.
당회는 그 사실에 대해 너무나 몰랐으나 그들은 점을 치려고 누구도 집으로 데려오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할 것이다. 그녀의 친척은 그녀에게 가슴에 들어있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는 그것을 그들에게 주었다. 후에 그들은 그녀가 그들에게 보여준 것을 찾지 않았고, 그녀는 자신의 돈을 가지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그녀는 점을 친 이유로 무엇을 상실했다는 점을 부인했고, 진리는 드러나야 했다. 이에 대해서 그녀를 집으로 오게 한 유일한 자는 그녀의 딸에게 속한 편지 한통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남자였다. 그는 그것을 다시 그녀에게 가지고 갔다. 그녀는 그에게 말했지만, 그는 자신이 그녀를 위해 그것을 발견할 수 있음을 말하지 않았다. 당회의 충고는 그녀가 반응을 안 보일 때, 평의회는 조사를 해야 하고, 그녀는 진실을 말하도록 권면을 받아야 한다. 그리고 점을 치는 점쟁이가 있는지도, 예배는 참석하는지를 알아봐야 한다. Ibid., 324.
「Bellet라고 불리는 Claude Du Villard과 그의 여동생 Jana」 Ibid., 327-8.
와 그들 사이에 벌어진 몇몇 다툼들과 신성모독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전술한 Claude는 그가 그녀의 주장에 동의하고 그들을 화해시킬 중재자를 두고 싶어 했으며, 그의 남동생을 Gex에서 데리고 왔으며 이 사건에는 200 florin의 비용이 소용된다고 답변됨. 그녀는 그에게 사악한 간음자라고 불렀다. 그녀의 몸종은 그를 때렸고 그는 곧 죽었다. 그는 그의 모든 소유를 차지했다. 전술한 Jane는 말하기를 그는 그녀를 조사관 앞에 소환해버렸다고 했다. 그녀는 그가 자신에게 주었던 모든 것을 그에게 지불했고, 그녀는 그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았다. 역시 그는 그녀를 때렸다. 그들은 대로에서 서로를 모욕했다. 전술한 Claude는 말하기를 자신과 몸종은 자신의 아이에게 세례를 다시 주려고 그를 데리고 그 마을에 갔고 그들은 자신들이 먹었던 밀 한 포대를 가져갔다. 그는 자신의 재산 증서를 얼른 준비했고, 어떤 이는 그들을 조화시켜야 했다. 만약 그가 자신의 권리를 포기했다면 그는 더 이상 아무것도 요청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들은 서로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았고, 재산에 대한 자신의 권리와 몫을 소유하기 위해 전술한 Claude의 권리를 확보했다. 다시 세례받은 그 아이를 기억해라. 전술한 Jane는 22년 동안 자신에게 봉사하도록 두 명의 몸종을 데리고 있었다고 말한다. 당회는 그녀에게 전술한 하녀를 여기에 목요일까지 데려오라고 지시했다. Ibid., 327-8.
나병환자 부부가 질병으로 당회에 탄원하였다. 「Troinex 출신의 나병환자인 Burdela의 아내의 탄원」이 당회에 접수되었다. 당회는 그녀가 당회에 소환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당회는 그녀가 통례적인 의무로서 충고를 받아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1544년 2월 3일 주일에 제네바에 있는 St. Peter 예배당의 수도원에서 총회가 열렸다. 이것이 당회(교회)에 보고 되었다. 여기서 행정장관직이 고안되었다. 초대 행정장관은 Anthoyne Chyerbel이다. 2대 장관은 Pierre Tissot이다. 3대는 Jehan Philippin, 4대는 Michiel Morel이다. 회계담당자로는 Noble Amblard Cornaz가 임명되었다. 다음 날인 2월 4일에, 200인 평의회가 열렸고, 그 전에 행정장관 밑에 있는 소위원회의 의원들의 직이 고안되었다. Ibid., 330. 2월 7일 목요일에 당회는 알려지지 않은 방해 때문에 열리지 않았다. 1544년 올 해에 당회에 참석하도록 책임이 부여된 귀족들」은 처음에, 행정관은 Philippin이었다. 소위원회 출신으로는 Noble Anthoyne Checand, Claude Du Pain. 200인 위원회 출신으로는 Pierre Vernaz, Jehan Du Mollars, Jehan Pensabin, Pierre de Veyrier, Mermet Blandin, Justz de l'Huermoz, Guilliaume Vellu, Jehan Donzel, Jehan Pernet, 사무관 Vovrez, 서기관 Mailliet.p. Ibid., 330. 「1543년 12월 13일부터 1544년 1월 말까지 당회 참석자 출석통계」.행정장관: Checand VI XII ss. H(udriod) Du Molard II IIII ss. 그의 형제 Jehan IIII VIII ss. Vernaz VII XIIII ss. Blandin VI XII ss. Veyrier II XIIII ss. Pensabin VIII XVI ss. Loermoz VII XIIII ss. 사무관 Vovrey VIII XVI ss. 서기관 Malliet VIII XXXII ss. Du Pain II IIII ss. 전체 13 florin. Ibid., 329-30.
한 가정 주부「조폐국장의 아내인 Noble (Mye)」는 성상 및 성인 옹호 때문에 당회로부터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이일은 「조폐국장의 아내인 Noble (Mye)」의 수군거림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기도 시간에 그녀는 다른 이들처럼 기도하였다. 그녀는 주기도문을 외우고 다른 이들이 사는 것처럼 살고 있다고 답변되었다. 그녀는 신앙에 있어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금식하는 것이 신앙생활에 그르지 않다고 답변하였다. 그녀는 성모 마리아나 성인들을 주저 없이 옹호했다. 그녀는 권면과 충고를 받았다. Ibid., 198.
한 여성「Richardet의 미망인이며 Achard의 아내인 Noble Bartholemie」의 여러 가지 미신들과 기도용 묵주들 때문에 당회의 소환을 받았다. 「Noble Bartholemie」은 그녀 자신에게 여러 가지 미신들과 기도용 묵주들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그녀는 이것이 무엇에 관한 일인지 모르고, 그녀는 아무것도 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절기를 지키고, 그녀가 말했던 것을 그녀는 모르고, 손가락으로 기도용 묵주를 돌리면서 기도한 적이 없으며, 누군가가 기도용 묵주를 그녀에게 빌려주었다고 답변되었다. 비록 그녀가 교회에서 성 요한(St. John)의 상을 가졌을지라도, 그녀는 자신의 집이나 그 어디에서도 성상이나 축복과 관련된 물건들을 소유하지 않았다. 그녀는 월요일에 평의회와 지방 행정장관 앞으로 소환되었다. 당회는 그녀가 자신의 우상을 가지고 평의회에 소환되어야 하며, 그녀의 우상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누군가가 그녀와 동행해야 하며, 두 명이 방문자로 위임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 Ibid., 199.
「Tyvent Chenu의 아내」가 중얼거림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그녀는 성상들을 숭배하지 않으며 그녀는 자신에게 성령을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그녀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그녀의 가족들에게도 그렇게 한다. 그녀가 예배에 늦게 참석할 때 그녀는 설교의 모든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녀는 기도문과 신앙고백을 외운다. 그녀는 권면을 받았다. Ibid., 201.
한 여성 「Pernon Comtesse」가 성모 마리아 성상 문제로 당회에 답변하였다. 「Mermet Ravex의 아내인 농장 노동자 Pernon Comtesse」는 성모 마리아의 순결을 기념하는 마지막 절기(성촉절, Candlemas)를 지키지 않았으며“예배를 드리러 가자.”고 그녀에게 말을 걸었던 Donne Loyse라는 이름의 한 여자와 한 마디도 나누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의 남편과 함께 머물러야 했다고 답변했다. 그녀는 임신한 여자에게 “꺼져라. 너는 사악한 여자이며, 절기를 지키지 않구나.”라고 하였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녀가 가졌던 아이를 낳도록 하시기 전에는 그녀는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고통을 가하지 않으실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녀는 그것을 기억하지 않았으며, 만약 그녀가 그것을 말했다면 그녀는 하나님께 자비와 공의를 구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용서받을 것이다. 그녀가 말을 걸었던 여자의 이름은 Petremandaz이며, 그녀는 이 여자에게 자신이 잘못된 일을 하고 있으며 만약 그녀가 그 절기를 지키지 않았다면 그녀의 열매는 위험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녀는 주일 예배에 참석하였으며, 그러나 설교자가 무슨 말을 했는지 말하지 못한다. 기도문을 읽었으나, 신앙고백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고, 성만찬을 받았다. 그녀는 그 임신한 여자에게 말을 걸었을 때 그녀는 해를 끼치려고 의도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녀는 하나님께 자비와 공의를 구했다. 임신하였던 여자의 이름은 Pernodaz로서, 비록 그녀가 잘못된 판단을 통하여 확실히 그것을 말했을지라도, 그녀는 성모 마리아가 그녀를 대신해서 보응해주었다고 말했고, 그녀는 어떠한 해악도 의도하지 않았다. 그녀에게는 기도용 묵주가 없으며, 그녀의 집안에도 그것이 없다. 그리고 그녀는 복음 안에서 살다가 죽기를 원한다. 당회의 소견은 이 사건이 수치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그녀는 부활절 이전에 성만찬을 받기 전에 여기에 모습을 드러내거나 혹은 평의회에 소환되고, 그녀는 여기에 와서 자주 예배에 참석해야 한다고 했다. 그녀는 또 다시 성모 마리아가 아이를 갖도록 도움을 줄 수 없을 것이라고 고백하였다. 그녀의 이름은 Perrodaz로서 분만 중에 있으며, 아들을 한 명 낳았다. 그리고 그녀는 그 외의 다른 말을 할 수 없었다. Ibid., 201-2.
「Anthoyne de Crouz」의 우리 주님을 신성모독한 것에 관하여 권면을 받았다. 「Anthoyne de Crouz」는 우리 주님을 신성모독한 것에 관하여. 그는 그의 어머니에게 화내지 않았지만, 종종 그의 아내에게는 화를 냈다고 답변함. 그는 그의 이웃들과 마찬가지로 가능할 때만 예배에 참석했다. 그는 오늘 Magdaren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으며, Monsieur Calvin이 요셉의 도착에 관하여 설교하였다. 그는 스스로 신성모독과 다른 행위들을 교정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들은 때때로 함께 살았고, 그의 잘못은 없었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이 화해하고 자주 예배에 참석하는 권면이었다. Ibid., 205-6.
미망인 Angellinaz」의 우상적 미신 숭배 때문에 생긴 일이다. 「전술한 Anthoyne의 어머니이며 Jehan de Crouz의 미망인 Angellinaz」는 자신이 행한 우상적 미신숭배 때문에 일이 생겼다. 그녀는 Hours의 책자를 소유하지 않으며 더 이상 천주교 교리들도 고수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녀는 얼마간의 갈등이 그들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아들, 그의 아내 혹은 그녀의 며느리와 함께 가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 헤어졌으며, 추문을 미연에 방지하여 그녀의 아들과 그의 아내와 함께 살기를 원치 않았다. 그리고 그녀는 당회가 그녀에게 하도록 명령하였던 모든 것을 할 것이다. 그녀는 신앙에 대하여 아무런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았다. Ibid., 206.
「Loys Piaget」가 행한 미신과 다른 것들 때문에 생긴 일이다. 「칼집 제조업자 Loys Piaget」는 미신과 다른 것들 때문에 당회에 소환되는 일이 벌어졌다. 그의 집에는 아무런 우상도 없었으며 그의 아내는 로자리오에게 드리는 기도를 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은 함께 할 때마다 고기를 먹는다. 그는 그의 딸을 약혼시켰고, 그 남편이 그녀와 결혼하기를 기대한다. 그 남편의 부모가 거하는 곳은 La Semine인데, 그들은 부모를 기다렸다. 그에게는 살림을 장만할 돈이 없었다. Estavayer에 있는 그의 형제는 그를 돕고자 여기에 오기를 원했다. 그는 그의 조상들처럼 행동하고 살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는 성모 마리아가 우리 주님의 어머니이며, 그녀가 그를 도와주리라고 말한다. 당회의 소견은 현재 그가 받고 있는 흥분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그가 또 다른 날에 소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는 화요일까지 그의 아내와 함께 소환되었다. Ibid., 206.
「Maurisaz Talluchete」는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고 신앙을 고백한다. 「Maurisaz Talluchete」는 그녀 자신이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를 하고 신앙고백을 했다. 지난 금요일에 그녀가 저주받았던 것에 관하여 그녀가 관련된 사건을 제외하고는 그녀는 어떤 이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도록 애를 쓴다. 당회의 소견은 그녀가 한 주간의 기간을 제공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Ibid., 207.
「Thibauda와 Pernete」의 카톨릭 의식들, 로자리오 기도용 묵주, 그리고 예배출석을 하지 앟기 때문에 일이 생겼다.「Guillaume Arpin의 아내 Thibauda와 Nycolas Torniez의 아내 Pernete」는 카톨릭 의식들, 로자리오 기도용 묵주, 그리고 다른 일들과 예배 참석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그들은 이중에 아무것도 지키지 않고, 사순절과 절기들과 금식도 지키지 않는다고 답변됨. 그들은 월요일, 수요일, 그리고 참석 가능한 다른 날들에 예배에 참석한다. 그리고 그들은 주님께는 기도하지만 성모 마리아에게는 기도하지 않는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이 매우 날카롭게 권면을 받고 당회에 소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매매에 있어서 서로 싸우지 말아야 한다. 전술한 Thibaudaz는 그녀의 남편이 있는 곳을 모르며, 8년 후에야 알게 되었다. Ibid., 208.
「Aymoz Choupin」의 도박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Decompesio의 사위(양자)인 Aymoz Choupin」의 도박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그는 돈 때문에 도박한 것은 아니었으며 기껏해야 2, 3 florin 정도의 돈만 썼을 뿐이며 한 남자가 Denys Hugoz의 집에서 칼에 찔러 죽었을 때 거기 없었다고 답변함. 그는 법을 존중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단지 술을 마시려고 도박했으며 판 돈을 지불하려고 그의 집 새간 살이 중 아무 것도 팔지 않았다. 그는 그것에 대해 권면을 받았다. Ibid., 306.
「Françoys Bonivard」가 Monsieur Hugoneri의 집에서 열렸던 어떤 게임들 때문에 일이 생겼다. 「Seigneur de Saint Victeur, 귀족 Françoys Bonivard」가 Monsieur Hugoneri의 집에서 열렸던 어떤 게임들 때문에 생긴 일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처럼 공개적으로 체커 게임을 했다는 말이 진실이라고 말한다. 그는 주사위 놀이가 금지된 사실을 듣지 못했는데, 그는 외국인이었다. 그는 사회적으로 명망 있는 자들과 게임을 했으며, 누군가 그를 나쁜 식으로 소문을 낸다면 즉각 대응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설교자들과는 전혀 게임을 하지 않았다. 그는 나이가 많기 때문에 시간을 좀 때우기 위하여 게임을 했다고 답변했다. 도시 안에서든지 밖에서든지 그는 지금까지 어떤 설교자와도 게임을 하지 않았다. Ibid., 306-7.
「Monsieur Jehan Hugonerii」의 카드게임과 주사위 놀이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 Hugonerii」는 그 이유를 자세히 모르지만, 카드 게임과 주사위 놀이 그리고 어떤 설교자들 때문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이것이 진리를 밝히지는 못하고 하나의 여인숙도 관리하지 못한다고 답변한다. 한때 Monsieur De Saint Victeur은 딱 한 번 그런 행위를 했고, 전술한 Hugoneri의 자식인 그의 아내는 도박판에 구경하러 갔지만, 주사위 놀이는 하지 않았다. 그들은 존경할만한 지식인들을 제외한 어떤 이들과도 전혀 놀이를 하지 않았다. 그는 다섯, 여섯 시간 동안 게임을 하지 않았고, 이런 것에 문외한이라고 말한다. 한 번은 Master Clement Marot가 두세 번 게임을 했으며, 그들은 오직 주사위놀이만 했다. pate 사건에 관해서는 그는 아는 것이 없다. 그는 그 도시 안에서나 밖에서 그 어떤 설교자도 그 놀이를 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Ibid., 307-8.
「Marie」의 주사위 놀이 때문에 생긴 일이다. 「Monsieur Hugoneri의 아내 Marie」는 위에서처럼 주사위 놀응 하였다. 몇몇 명망 있는 사람들이 저녁 식사를 하러 그들의 집에 왔었고 그녀는 준비하지 않아서 곧 상을 차리러 갔던 한 달 전 외에, 그녀는 그들의 집에서 카드나 주사위로 하는 놀이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설교자와 그의 아내는 그들의 집에서 도박을 하지 않았다고 답변됨. Cholex는 그녀와 함께 주사위를 가지러 집으로 갔으며, 단지 Lord Curteti와 Clement Mayrot만 남았다. 그날 밤에 Tyvent Cholex는 그들의 집에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그녀가 불렀던 두 사람인 Curtet와 Mayrot를 위하여 주사위를 빌렸다. 전술한 Cholex는 그녀와 주사위를 찾으러 갔다. Ibid., 308.
「Master Monet Du Citer」가 그의 아내를 위해 마술을 부린 것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1544년 4월 3일 목요일』. 당회참석자: 행정장관 Philippin. Calvin, De Ecclesia, Albert, Tripereaux, Genesto, Ferrand, Champereaulx. Pensabin, Veyrier, Just, Donzel, 사무관 Vovrey. Ibid., 368.
「석공 Master Monet Du Citer」는 그의 아내를 위해 마술을 부렸다. 이것 때문에 그는 당회로부터 소환되었다. Challex 출신의 Master Claude Vernaz가 답변하였다. 그는 그에게 아무 것도 발송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는 그의 친척 한 명의 일로 소환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환자를 약초로 치료했고, 그에게 그것을 주었으며, 단지 주님에 관한 얘기만 했다. 그리고 그는 그에게 약초로 달인 차를 주었다. Ibid., 368-9.
전술한 Monet는 그것을 마셨고, 그는 추위에 떨었다. 그의 친척은 그에게 그것을 발송했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그는 선한 마녀의 부름을 받았다고 했다. 처음 그가 도착했을 때, 그는 그것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고, 그에게 어떻게 된 것인지 물었다. 그는 손으로 맥을 짚고 완전히 치유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반죽에 약초를 넣고 그것을 그에게 마시라고 주었다. 그는 그것을 가방에 넣고 가져와서, 그에게 마시도록 했다. 만약 그가 그것에 관해 알았다면 그의 아내는 곧 회복되었을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는 전술한 남자가 마술사인지의 여부는 알지 못하고, 그는 그가 성호를 긋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는 의사인 Master Franceys에게 그의 약초를 주었고, 그는 그것을 뒤뜰에 심었다. 그는 그것을 마셨을 때 기분이 좋았고, 주위의 사람들을 알아보지 못했다. 실제로 그는 사람들이 자신을 신들렸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고, 그는 이 질병이 그에게서 얻어졌다고 그가 말하는 것을 듣지 않았다. 그는 누가 그것을 그에게 주었다고 믿지 않는다. 그는 이 질병을 Cornavin 지역 근처에서 얻었고, 그 때 비가 엄청 와서 그의 작업에 쓰이는 회반죽은 모두 못쓰게 되어버렸다. Ibid., 369.
「Bernard Prodhom」은 어떤 신접자와 예배참석과 천주교 교리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그는 도축업자였다. 그는 지갑을 잃었다. 그는 어떤 신접자와 예배참석과 천주교 교리 때문에 당회에 불려가는 일이 생겼다. 그가 지갑을 잃었을 때, 그의 조카가 그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지갑을 어디에 놓았는지 기억하지 못했는데, 헛간에 있는 담벼락 위에 그것을 두었다. 그의 조카는 동물들을 돌보는 중에 그것을 발견하였고, 곧 그것을 그에게 갖다 주었다. 그들은 같이 일했고 갈등 없이 조화를 잘 이루었다. 예배 참석에 관해서, 그는 주일에 두 번 참석했다. Ibid., 390.
「Jaques Pinget」는 미신숭배에 빠졌다. Ibid., 390.
그는 Conodaz를 알고 있으며 6개월 동안 그곳에 있지 않았으며, 「Pratiquaz라 불리는 제빵업자 Jaques Pinget의 미신숭배로 문제가 생겼다. 그는 Conodaz를 알고 있으며 6개월 동안 그곳에 있지 않았다, 그가 여러 번 Pauloz의 헛간에 있었다는 사실을 모른다. 그리고 그는 Pierre Curt의 아들과 Pauloz의 하인 외에는 아무도 보지 않았다. 그리고 그는 그 자신이 말을 걸었던 사람들 외에는 아무도 만나지 않았다. 거기에는 여자들도 없었다. 그는 어떤 사람도 찾지 않았다. Jehan Curtet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그에게 물었으며 그는 결혼하기 위하여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 다음에 그는 떠났는데, 그곳에서 예배에 참석했다고 이해된다. 그는 할 수 있는 한 모든 예배에 참석했다. 그는 도박꾼은 아니었기 때문에 다른 이들과 도박을 하지 않았다. 그는 기도와 신앙고백을 했다. 당회의 소견은 그가 여기서 받은 권면들과 충고들을 가치 있게 받아들이고, 앞으로는 평의회에 소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Ibid., 390-1.
.
「Master Jaques Bernard와 Master Henri Mara」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당회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Bernard는 교회에 관하여는, 미신 때문에 교회 위원들과 그 외 사람들에 대한 몇몇 점검이 필요할 수 있다. 평의회는 그 위원들에게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을 드러내도록 명령했다. Henri: 동시에 Bonne, Cranves와 다른 천주교 도시들에 가서 천주교 교리를 따르고자 하는 자들을 위해 제기함. 또한 Jussy의 城主(성주)는 수호자로서 존경을 받았다. 당회는 Jussy의 성주인 Pierre Somaretaz 경은 교회 위원들과 다른 이들이 교회 개혁을 따라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명령받았다.『1544년 전술한 2월의 14번째 날 목요일』 당회출석자: 「Jussy 출신의 Collet Grilloz, Jussy의 교회 위원들인 Bernard Dymer, George Du Bouloz. 그 외 교횡 위원들인 Don Loys Verchiere, Peissy 출신의 Ameid de Pignet, Bourdigny의 Martin Bastard, Peney의 Loys Gallatin, Satigny의 Richard Porvyu, Choully의 Pierre Besanson」. Ibid., 331.
행정장관은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서 직무를 수행하도록 명령하였다. 그들은 불명예스러운 삶을 살았고, 불량한 교제와 술주정, 간음, 폭행, 신성모독을 저질렀던 악행자이며 미신 숭배자였다. 그들은 모두 의무를 잘 수행하리라 답변하였다. Peney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난하고, 그들은 멀리 떨어져 살아서 교회 종소리를 못 듣기 때문에 설교시간을 알리는 종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Jussy의 사람들에게는 설교단이 주어져야 했다. Ibid., 331-2.
「Claude Tappugnier와 Mermet Julliard」는 악독한 말들과 미신들 때문에 소환되었다.『1544년 3월 27일 목요일』. 당회참석자: 행정장관 Michiel Morel. Calvin, De Ecclesia, Albert, Genesto, Tripereaux, Ferrand, Champereaulx. Checand, Vernaz, Pensabin,De Ulmo, Blandin, Veyrier, Vellu, Donzel, 사무관 Vovrey. 「Claude Tappugnier, 그의 아내와 Mermet Julliard」.Ibid., 364.
교회는 악독한 말들과 미신들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Tappugnier은 Just가 Pierre Vernaz에 관해 안다는 식으로 그가 모욕적인 말을 했다고 답한다. Vernaz는 그와 전술한 Mermet 사이에 어떤 협정을 맺기 원했고, 분노를 가지고 욕을 했기 때문에 그는 경찰서장 앞으로 소환되었다. 그는 모든 모욕을 참았고 18일 동안 감옥살이를 했다. 그들은 그의 조카를 빈(Vienne)에 보냈고 그를 그가 살고 있던 Lyon에서 이주시켰다. Ibid., 364.
3명 모두는 의도적으로 부활절에 있는 성만찬식에 참석해야 했고, 그들은 서로 화해를 하게 되었다. 전술한 Tappugnier에게는 여조카 한 명이 있는데, 그의 형제가 와서 그녀를 데리고 달아났다고 했다. 그리고 그는 그들과 평화롭게 살며 이전에 받았던 그 모욕에 대해 그들을 용서하기 원한다. 만약 그들이 그를 혼자 남겨두고 떠난다면, 그도 그들을 홀로 둔 채 떠날 것이다. 그들은 권면을 받았고, 전술한 Mermet는 동시에 그의 아내에게도 용서를 빌고 그녀의 삼촌인 Tappugnier와 그의 아내를 진정으로 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들은 소송을 끝내고, 다함께 자주 예배에 참석하라는 권면을 받았다. Ibid., 364.
「Pierre Furjon」의 어떤 말들 때문에 생긴 일이다. 「약제사 Pierre Furjon」는 말다툼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그는 이곳을 떠나서 먼 Gex에 있었으며 3 주 전에 그의 동서와 말다툼을 했다. 그리고 그는 그 다툼이 왜 일어났는지 모른다. 그의 아내 Tappuniere는 왔으며, 그들은 그를 모욕하였고, 그는 이 도시와 Vienne에서 그들의 조카를 알았는데, 그는 그와 어떤 거래도 없었다. 그는 그에게 무언가를 100 ecus의 가격에 샀는데, 그것들은 땅들과 목초지들과 집들이다. 그는 23살이었고 Tappugnier의 조카였는데, 그래서 그는 그를 만나기를 원했다. 그 다음 그는 그로부터 그가 샀던 것을 살 기회를 잡았고, 그는 이 도시의 법령들을 모른다. 그리고 전술한 조카는 그 후 오랜 후에 그에게 와서, 그는 그를 속이지 않았다. 그는 매일 예배에 참석하지 않고, 전술한 Tappugnier이 그의 조카의 후견인임을 몰랐다. 그는 권면을 받았고, 주일 오전에 예배에 참석하였다. 그때 설교자는 Monsieur Calvin이었다. Ibid., 369.
「Pernete」는 Monsieur Jehan Chappon와 점치러 갔다. 「Jaquemaz de Jonvier의 딸이며 Monsieur Jehan Donzel의 몸종인 Pernete」그녀는 Monsieur Jehan Chappon을 알았다고 답변한다. 약 2년 전에 전술한 Jehan Chappon는 점을 치러 신접자에게 갔다. 신접자는 그녀에 관한 점을 쳤다. 그녀는 전술한 Chappon에게 아무런 해도 끼치기 싫었으며 Chappon에게서 그가 그녀를 적대시한다는 느낌을 없애달라고 항상 주님께 기도한다고 말한다. 그녀는 할 수 있는 한 매주일 예배에 참석하였고 저녁 식사 후에는 Monsieur Calvin이 설교하는 Magdalen의 교회에 갔다. 그녀는 기도와 신앙고백을 했으며, 화요일에 소환되었다. Ibid., 370.
「Claude de La Ravoyre」는 그의 어머니의 어떤 말들과 잘못된 행위와 여러 설교 때문에 일이 생겼다. 「Dondin이라고 불리는 Claude de La Ravoyre」는 그의 어머니의 어떤 말들과 잘못된 행위와 여러 설교 때문에 생긴 일이다. 그는 그의 어머니에게 순종하며 그녀를 진심으로 존경한다. 그의 형제는 그의 어머니에 대해 약간 화났지만, 그는 어머니를 거역할 생각이 없었다. 그는 자신과 아이들을 위하여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는 주일마다 예배에 참석했다. Ibid., 387.
「Egrege Jehan Buctin」은 주교궁에서 그가 했던 어떤 말 때문에 권면을 받았다. 그가 했던 말은 단순히 지껄이는 정도의 수준이었고, 하나님께서 주시지 않는 한 악마는 어떤 힘도 발휘하지 못했다. Ibid., 390.
「Petremand Pellouz」의 원수인 Claude Philipe에 대한 그의 증오 때문에 생긴 사건이다. 그의 원수가 여기에 있으며 그의 적대자가 그를 조롱하기 때문에 그는 성찬을 받지 않았다. Pellouz에게 상처를 준 사람을 자신이었다는 사실을 그는 잘 알고 있다, Pellouz는 자신과 자녀들의 생계를 위하여 자신의 직업으로 일을 할 수 없었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훌륭하게 일을 했으며 그가 할 수 있는 한 최고로 하도록 허용되었다. 그는 그의 원수(Philippe)를 볼 때 이성을 잃었으며 그가 무엇을 하는지 모른다. 만약 그가 했던 대로 하기보다는 오히려 그의 원수가 그를 죽였다면 전술한 Pellouz에게는 더욱 좋았을 것이다. Monsieur Amed Bandiere와 Monsieur Hudriod Du Molard가 한 때 그들을 화해시키려고 애룰 썼다. 그는 마침내 5개월 후 병상에서 말해야 했으며, 그들은 500 ecus의 벌금을 물었다. 그는 이미 이곳에서 한 번 대답을 했다. 그리고 그는 심리 중에 있는 그의 전술한 원수의 조롱을 비난했다. Ibid., 415.
Petremand Pellouz는 Noble Claude Philippe와의 논쟁과 다툼, Philippe에게 폭행을 당했기 때문에 Philippe에게 가졌던 원한으로 마지막 성만찬을 받지 않았다. Pellouz는 자신의 집 앞에서 Philippe에게 맞았다고 답한다. 이것이 바로 Pellouz가 마지막 성찬을 받지 않았던 이유이다. Pellouz는 권면을 받았다. Pellouz는 Philippe에게 어떠한 해도 끼치지 않기를 원하며 Pellouz는 상대방이 나타나도록 할 것이며, Pellouz는 Philippe을 때리지 않았고 그 사람이 전술한 비난자는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평의회가 Pellouz에게 하도록 명령하였던 것을 Pellouz는 할 것이다. 그리고 Pellouz는 그가 여전히 Philippe이란 사람에게 맞았고, Pellouz는 그가 그것을 위해 중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증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다시 전술한 비난자가 전술한 Philippe의 손에 의해서 죽었다는 사실 이 외의 이유로는 죽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술한 Philippe이 말했다고 그 전술한 사람은 증언했다. 이것은 Philippe을 매우 불안하게 했던 것이었다. 그리고 전술한 Pellouz는 전술한 비난자를 쳤다. Ibid., 415-6.
당회의 소견은 Ibid., 416.
Philippe과 Pellouz가 성찬을 받기 위하여 평화로운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어떤 식으로든 서로 관련을 맺지 못하도록 해야 될 것과 하지 말아야 될 것 등의 사항들을 제공받았다. 그리고 그들은 의견의 일치를 보도록 훈계를 받았다. 행정 장관의 소견은 만약 그들이 동의하기를 원치 않는다면 그들이 평의회에 소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Petremant는 만약 그 사람 Pellouz에게 어떤 식으로든 봉사를 할 수 있었다면 Philippe은 그것을 기꺼이 했을 것이라고 답변한다. 그리고 Philippe은 신앙 안에서 조사를 받았다. Philippe은 일을 가지고 있으며 평의회는 그에게 어떤 금지 조항들도 주지 않았다는 것을 안다. 그리고 Philippe은 Pellouz에게 용서를 비는 방법을 모를 것이다. 당회의 소견은 그들이 동의하기를 원치 않기 때문에 그들이 월요일에 평의회로 소환되는 것이다. Ibid., 416.
제III장 칼빈의 당회록에 나타난 권징 및 치리를 분석한 결과 찾아낸 원리들
1차 정보입수. 2차 사실확인. 3차 검증 및 정리. 4차 소환 및 출석요구, 5차 심의 결정, 6차 시정명령, 7차 충고. 8차 권면. 9차 권징 및 치리. 10.생활로 실천하라. 11.신앙생활의 덕을 세워라(영향력을 주어라).
1. 목요일의 원리(Thusday principle) 당회가 열린날은 거의 대부분 목요일이었다. Ibid., 3-417.
제네바 교회 당회는 주로 목요일에 열렸다. 칼빈이 행한 권징 및 치리의 시행 일자가 거의 대부분 목요일이었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당회가 주로 주일에 열리는 것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한국교회 당회는 간혹 주중에 열리거나, 수요일에 열린다. 칼빈은 당회를 왜 목요일에 열었을까? 그 이유로 몇가지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첫째는 당회원들 때문인 것 같다. 그들은 주로 시의회 의원들이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주일날 너무 바쁘기 때문이다. 셋째는 권징과 치리를 받는 대상자들을 사회적으로 보호해 주기 위해서 였던것 같다.
2. 교육적 원리(Educational principle) Ibid., 207-324.
칼빈이 시행한 권징 및 치리 사건들 속에는 교육적 원리가 흐르고 있다. 1.신앙생활에 있어서 개인적인 윤리와 신앙고백을 가르쳤다. 2.예배참석과 예배생활을 가르쳤다. 주일성수를 왜 하여야 하는지, 수요예배 및 금요예배, 그리고 기도회에 왜 참석해야하는지 그 필요성과 이유를 자세하게 가르쳤다. 3.절기와 그에 따른 실천사항들을 가르쳤다. 4.결혼과 그 목적 및 이유, 부부윤리와 가정의 윤리를 가르쳤다. 5.주일성수와 예배출석의 중요성, 그리고 그 이유와 목적을 가르쳤다. 6.성찬과 그 유래 및 목적과 이유에 대한 가르침을 주었다. 7.기도하는법을 가르쳤다. 8.경제생활과 물질관리 및 사용에 대한 윤리를 가르쳤다. 9.교리를 교육하였다. 칼빈과 당회는 그 당사자인 부모, 부부, 가장, 자녀, 타지역에서 온 객인, 업주 등을 당회로 불러 해당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신앙생활에 필요한 덕목들을 교육하고 계도하였다.
3. 교리적 원리(Dogmatical principle) Ibid., 3-415.
교리의 범주를 벗어나는 행동들을 권징하고 치리하였다(Ibid., 187). 특별히 칼빈이 교리적 잣대를 들이댄 대상은 카톨릭 교회의 교리였다. 그는 자신이 작성하고, 고안하여, 수립한 개혁교회 교리를 카톨릭 교회의 교리와 비교분석하여 철저하게 그 허구를 지적하고, 척결하였다(Ibid., 190).
이러한 원리는 그의 목회에서도 나타난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제4권에서 교회를 “어린아이에게 있어서 어머니와 같은 학교”에 비유하였고 또한 그는 딤전5:7절을 주석 하면서 교회는 “진리의 기둥과 터인 하나님의 학교”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그의 설교, 주석, 서신, 제네바 아카데미 사역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칼빈의 『신앙 교육서』와 『기독교 강요』, 기타 그가 남긴 문헌들의 집필 배경, 목적, 내용을 볼 때, 그의 일관된 중심 사상은 바로, 교리를 통한 개혁, 교리적 설교관, 교리적 목회관, 교리를 벗어나는 신앙생활에 대한 권징 및 치리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의 교리적 원리와 관점은 종교 개혁과 목회사역을 분석, 평가할 때 더욱 현저하게 발견된다. 따라서 그는 교회자체를 ‘교리의 정신과 비젼을 실현하는 교회’로써 자리 매김 하였다.
4. 사실적 원리 (Factual principle) Ibid., 3-415.
칼빈과 당회는 권징과 치리를 시행함에 있어, 철저하게 본인 및 관계자들의 사실에 근거하여 권징과 치리를 시행하였다. Anthoyne는 자신의 임신 사실을 자기 남편에게 밝혔다. 그녀는 그 사실을 밝히기 위해 당회에 소환되었다. 그리고 3월에 남편이 자신에게 임신시킨 증거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Ibid., 10-11
(Ibid., 10-11).
5. 권선징악적 원리 (principle) Ibid., 3-415.
그의 권징과 치리속에 이 원리가 철저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는 교회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교육하기 위하여 세우신 기관으로 교회의 목회는 하나님의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교회관 칼빈의 교회론이 집약된 『기독교 강요』 제 4권의 부제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예수 그리스도와의 연합에로 부르시고, 그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시는 외적 방법들과 도움들에 관한 글”이다. 이 부제에서 시사되는 바, 칼빈의 교회론은 신학적이기보다 인간학적이며 더욱이 교육학적 관점과 연관지어 접근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별히 칼빈은 『기독교 강요』 4.1.5에서 “하나님은 전능하셔서 그의 백성들을 한 순간에 완전하게 만드실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그렇게 하지 않으시고 그들을 교회의 교육을 통하여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성장케 하려는 뜻을 가지고 계신다”라고 교육하는 교회론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을 교육시키는 하나님 교육의 중요한 통로요 기관이요 장으로 보고 있다. 예를 들면 칼빈은 『기독교 강요』4.1.1에서 “하나님은 교회의 무릎에로 그의 자녀들이 모이도록 하시는데 그것은 그들이 교회의 수고의 봉사로 양육되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교회의 어머니다운 돌봄으로 다스려지게 하기 위해서인데 이것은 그들이 성장하여 신앙의 궁극적인 목적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칼빈은 교육을 교수-학습의 현상으로 축소된 관점이 아닌 목회 활동을 통한 교회 안에서의 모든 경험들 즉, 설교, 성례, 치리 등도 모두 교육적 안목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칼빈은 교육의 대상을 단순히 어린아이와 청소년에 국한하지 않고 평생 교육적 측면에 전 생애를 통한 성화과정으로 교육 대상과 기간을 확대하여 이해하였다. 또한 칼빈은 성숙한 교육목회 활동을 위하여 모든 신자를 대상으로 하여 교육 목회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기독교 강요』(Insti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신앙고백서』(Confession of Faith), 교회 조직에 관한 규정(Articles Concerning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신앙 교육서』(Catechism), 교회직제 법령(Ecclesiastical Ordinances), 제네바 대학령(the Law of the College of Geneva), 주석류(the Commentaries) 그리고 설교문(Sermons) 등이다.
6. 경건의 원리(Puritanical principle) Ibid., 3-415.
.
더욱이 칼빈은 권징과 치리를 단순한 행형적 권징, 처단적 치리 영역뿐 아니라 경건한 삶에 이르도록 전인적 경건을 위하여 권징과 치리에 강조점을 두었다. 이러한 사실은 칼빈이 교회를 하나님의 경건을 실현하는 기관으로 보고 있다는데 공감한다. 따라서 교회의 책임은 권징과 치리를 통해 경건을 실현하는데 가장 큰 비중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입장은 칼빈의 목회사역과 신학에서도 나타난다. 그는 목회와 신학이 교리를 실현하는 현장으로 보고, 이것을 상호 불가분의 관계로 이해한다. 칼빈에게 있어서 권징과 치리는 신학적 목적을 위해 봉사하는 신학적인 활동이었다. Robert White, “The School in Calvin's Thought and Practic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12 (1969), 9.
뿐만 아니라 칼빈의 신학적 목적을 위한 활동은 경건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그 경건목회의 산물로서 그의 작품과 문헌에 그의 경건 신학이 깊이 함축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칼빈의 경건적 사고와 사상이 그의 신학 중심에 뼈대를 이루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버슈벡(Bernhard Buschbeck)의 말처럼 “칼빈의 신학적 저술들은 그 자체로 하나의 경건한 교육 신학적 의미를 갖고 있다.” Karl Holl, Gesammelte Aufsätze zur Kirchengeschichte, III, Der Westen, Johannes Calvin (Tübingen, 1928), 273; 양금희, 『종교개혁과 교육사상』,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9).
는 분석과 평가는 매우 설득력있는 지적이다.
7. 교회적 원리 (Churchcal principle) Ibid., 3-415.
칼빈의 권징과 치리는 대부분 교회를 중심으로 그 안에서 이루어졌다. 권징과 치리의 가급적 대상자들을 보호하는 입장에서 시행되었다. 지금까지 수많은 권징과 치리가 있었으나 그 일들이 또다른 권징과 치리를 낳기 위한 옥상옥의 일이 않되록 배려한 흔적들이 역력하다.
8. 실천신학적 원리(목회적원리) (Praxtical principle) Ibid., 3-415.
.
칼빈의 신앙생활 강조(실천신학적 활동)들을 그의 폭넓은 교육 신학적 관점과의 관련성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 그것은 단편적인 이해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칼빈은 특별히 실천적 영역과 관련해서 의도적으로 그의 교육적 입장을 구체적으로 따로 정리를 하는데 힘을 쓰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는 교회의 모든 활동은 그것이 긍극적으로 신자들의 신앙을 성숙하게 하고 점점 더 그리스도의 장성한 성숙된 수준까지 이르는 교육적 의미와 교육적 과정으로 보았다. 특별히 칼빈은 하나님의 교육이란 개념으로 성경 구원 역사를 하나님의 교육 과정으로 보았다. 또한 교회의 모든 행위 즉, 설교, 성찬, 치리 등의 교회의 본질적 활동과 사역도 교육적 차원에서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칼빈의 여러 저술 속에 단편적으로 나타나 있는 그의 교육적 입장과 사상을 발굴하여 그의 교육적 구상과 실천을 위한 시도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재구성과 그에 따른 그의 교육 신학 사상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면 왜 500년 전 교육 목회자와 교육신학자인 존 칼빈을 21세기 이 시대에 새롭게 조명되어야 하는가? 오늘의 기독교 교육은 급속한 사회 변동으로 인하여 교육의 텍스트(text)와 컨텍스트(context)의 변화가 기존의 교육 패러다임(paradigm)에 지각변동을 초래하고 있다. 특별히 사회변동의 결과로 탈 근대화 시대에 돌입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기독교 교육의 신학적 정체성과 방향성을 다시금 정립 내지 확립해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
9.사회적 원리 (Social principle) Ibid., 3-417.
그 당시 제네바 시민사회는 카톨릭과 개혁파간에 분열되어 있었다. 영국의 기독교 교육학자 헐(John Hull)은 교회가 사회정황 속에서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는 그의 책 『무엇이 성인 기독교 교인들의 학습을 방해하는가?』라는 책에서 현 사회적 문화형태가 관료성(bureaucracy), 합리성(rationality), 개인주의(individualism), 미래성(futurity) 그리고 해방성(liberation)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이 기독교 교육의 정체성을 혼란케 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John Hull, What Prevents Christian Adult from Learning. (Philadelphia: Trinity Press, 1991), 3-44.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칼빈은 교회가 사회적 정화기능의 주요 과제 1995년 Randolph C. Miller가 편집한 Religious Education and Theology, (기독교 교육과 신학)에 실린 13편의 글: Sara Little, Reformed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Mark Heath, Thomistic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Kenneth O. Gangel and Christy Sullivan, Evangelical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Constance J. Tarasa, Orthodox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Helen Goggin, Process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Randolph Crump Miller, Empirical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David F. White and Frank Rogers, Existentialist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Elizabeth Dodson Gray, Feminist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Mary C. Boys, Kerygamatic Theologyand Religious Education; Jerry H. Stone, Narrative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Daniel S. Schipani, Liberation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Grant S. Shockley, Black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Randolph C. Miller, Ecological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등이다.
로써 기독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권징과 치리를 시행하는 것이었다.
사회학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21세기에 전개될 문명사의 대전환기를 세계화(globalization), 지역화(Localization)을 합쳐 세계지역화(glocalization)이란 새로운 개념으로 재통합하고 구조적으로는 정보화 사회이며 이념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로 진단하고 있다.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교육부가 1999년 2월에 “새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자료집(1)” 8쪽에서 19쪽에 기재된 “새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참조.
이러한 현대 물질 문명 속에서 신학과 교회는 세속화, 종교다원화, 과학 메시야주의, 뉴에이지 운동, 상대주의와 복수주의, 시한부 종말주의, 탈교회주의 도전을 심각하게 받게 될 것으로 많은 학자들은 예측하고 있다. 김영한교수는 「21세기와 개혁신학」이란 큰 제목으로 3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제1권은 「21세기와 개혁사상」, 제2권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개혁신학」, 제3권은 「개혁신학의 현대적 이해」를 다루면서 제1권에서 ‘21세기의 도전’, ‘21세기 기독교 신앙’, ‘21세기를 향한 신학과 교회의 과제’,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21세기 개혁신학의 과제’ 등을 다루었다.
이처럼 급변하는 상황(context)에 병행하여 대응할 기독교 교육의 현 상황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타당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바로 이 시대에 적합한 기독교 교육 원리를 제시할 교육신학의 부재현상 때문이다.
10.기독교 절기적 원리(Fastival principle) Ibid., 191-316.
성탄절, 성인의 날의 원리가 있다. 기독교 교회력의 원리, 절기의 원리가 있다. 기독교 절기적 원리는 캐톨릭의 교회절기와 구별시켜야 한다. 칼빈이 고수하고 있는 기독교 절기는 철저하게 성경이 말하고 있는 기독교 절기들이다. 그가 치리한 사건들 내용 가운데에는 기독교 절기에 대한 사건들이 상당수 있다. 칼빈은 이러한 캐톨릭적 교회절기 요소들로부터 독립된 성경적인 기독교 절기에로의 개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11.기독교 윤리적 원리 Ibid., 191-316.
칼빈의 윤리는 성경의 중심 윤리이다. 하나님 중심이다. 예수중심 윤리, 성령중심 윤리이다. 교리중심 윤리이다. 칼빈의 당회운영의 원리는 여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가 시행한 권징 가운데, 소환, 출석명령, 충고, 권면 등은 모두가 성경이 말하고 있는 치리의 원리안에서 이루어진 것들이다.
12.정치적 원리 (political principle). Ibid., 3-417.
칼빈의 권징과 치리속에는 정치적 원리가 있다. 자연인들에게 있어서 교회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 보여주고자 하는 고도의 정치적 의도가 숨어있다. 교회가 세상을 향하여 주님을 보여주고자 하는 방법중 하나는 교회정치이다. 교회정치를 통해 주님의 몸된 교회 구성원을 바르게 지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권징과 치리가 따른다. 교회정치에 이보다 더 이상 좋은 방법이 없다. 따라서 칼빈의 권징과 치리가 매우 정치적인 원리를 담고 있다는 사실은 부분적이고 간헐적이지만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권징과 치리에 있어서 정치적 원리를 배제하는 단순한 연구는 주석학적, 설교학적, 교회사적 혹은 조직신학적 연구에로 확장되서는 않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칼빈의 권징 및 치리의 정치적 원리는 작금의 교회(당회)운영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써, 그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성, 그리고 통전성과 윤리적 효율성을 담지한 정치원리를 모색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제IV장 결 론
지금까지 칼빈의 당회록을 번역, 그룹핑, 귄징 및 치리 원리 분석, 연구사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그 결론을 정리하면 제I장에서 첫째, 칼빈 시대 제네바 교회 당회록(1542-44)에 담겨있는 권징과 치리, 소환 내용은 철저하게 교리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둘째, 칼빈의 당회록(1542-44)은 지극히 성경적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지극히 당연한 전제 같지만 그러나 권징과 치리의 원리를 분석한 결과 밝혀진 사실들이기 때문에 더 정확하다. 제Ⅱ장에서 칼빈의 제네바 당회록(1542-44)에 담겨있는 약 150여 가지가 넘는 소환, 출석명령, 충고, 권면, 권징된 사건들을 그룹핑(grouping)하였다.
1.개인적 신앙문제 즉 이성적 윤리, 탄원, 카드놀이 및 음주행위, 믿음과 칭의, 기도와 물질관리 책임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 사건들을 그룹핑 하였다.
2.가정적 윤리문제, 즉 가장의 책임 및 결혼, 이혼, 간음, 간통, 혼외출산, 폭행 문제로 인한 사건들을 그룹핑 하였다.
3.사회적 윤리문제 즉 대인관계 갈등, 이단과 미신 및 우상숭배자, 고리대금, 도박, 추문, 원수, 증오문제등으로 인한 권징 및 치리 사건들을 그룹핑 하였다.
4.교회적 윤리와 질서문제로 인한 권징 및 치리가 성찬, 주일성수, 예배출석, 기도문, 주기도문 교육, 성상숭배 문제들을 그룹핑하였다.
제III장에서는 호출, 출석명령, 소환, 충고, 권면, 권징들은 저마다 고유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분석,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목요일 원리(Thusday principle) Ibid., 3-417. 당회가 열린날은 거의 대부분 목요일이었다.
2.교육적 원리(Educational principle). Ibid., 207-324.
3.교리적 원리(Dogmatical principle). 4.사실적 원리(Factual principle). 5.경건의 원리(Puritanical principle). 6.권선징악적 원리. 7.교회적(공동체) 원리(Churchcal principle). Ibid., 191-415.
8.실천신학적(목회)원리 (Praxtical principle). 9.사회적 원리(Social principle) Ibid., 204-386.
10.윤리적 원리 Ibid., 207-316.
11.절기적 원리(Fastival principle). 12.정치적 원리(political principle)들이 있다.
제IV장에서는 칼빈이 행한 제네바 교회 당회의 소환, 출석명령, 충고, 권면, 권징은 결론적으로 칼빈(54년 10개월 17일간의 짦은 생애)이 제네바 교회 담임목회자로서 재임하는 기간동안 캐톨릭의 그 엄청난 박해와 사활을 내건 영적전쟁으로 혼란 스러웠던 제네바 교회, 개인, 가정, 사회, 나아가 제네바 시민들에게 하나님의 공의와 교회의 질서 및 하나님의 시민윤리를 실현하는데 괄목할만한 족적을 남겼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측면에서 오늘날 한국교회의 당회를 향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치리시행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이 칼빈의 치리모델을 당회 현장에 적용해서 개인신앙, 가정윤리, 교회질서, 시민윤리, 나아가 국가정의를 실현하는데 집중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이 논문이 조국 교회를 향하여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다는 가치와 그 가능성과 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것이 본 필자로서 더할 나위 없이 감사 할 수 있는 점이되리 라고 생각한다. (끝).
< 참고문헌 >
*영서
Achtemeier, Paul J.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Problems and Proposal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0.
Aiken, Taylor George. “John Calvin, The Teacher. The Correlation Between Instruction and Nurture Within Calvin's Concept of Communion.” Ph. D.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1953.
Aleshire, D. “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in Bruce P. Power, ed., Christian Education Handbook. Nashville: Broadman Press, 1981.
Althaus, Paul.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trans. Robert C. Schultz.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0.
Anderson, R. D. “Of the Church an Historical Overview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9 (1997) 177-199.
Anderson, Raymond K. Love and Order: The Life-Structuring Dynamics of Grace and Virtue in Calvin's Ethical Thought. Chambersburg: Wilson College, 1973.
Anthony, M. J. “Putting Ministry in Perspective.” in Michael J. Anthony, ed., Foundations of Ministry: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for a New Generation. Wheaton: A Bridge Point Book, 1992.
Armstorong, William Park. Calvin and The Reformation 『칼빈의 종교개혁사상』. 한국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9.
. Calvin and the Reformatio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0.
Bainton, Roland H. The Rform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16세기의 종교개혁』. 서영일 역. 서울: 도서출판은성, 1992.
Balke, Willem. Calvin and the Anabaptist Radical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1.
. “The Word of God and Experientia according to Calvin,” in Calvinus Ecclesiae Doctor, ed. W. H. Neuser, Kampen. Netherlands: J. H. Kok, 1980.
Barth, Karl. Church Dogmatics Ⅳ, 3. Edinburgh: T. &T. Clark, 1961.
. Church Dogmatics Ⅱ, 1, The Doctrine of God. Edinburgh: T. & T. Clark, 1957.
Battles, Ford. Analysis of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gion of John Calvi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0.
. John Calvin: Catechism, 1538.
. John Calvin: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536 Edi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5.
. The Piety of John Calvin: An Anthology of the Spirituality of the Reformer, trans. and ed. by Ford Lewis Battles, music ed. by Stanley Tagg.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8.
. “Calvin's Humanistic education.” Three Universities: six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Ph. D. Colloquium. Pittsburgh Theological Seminary, 1975.
. Interpreting John Calvi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6.
. John Calvin's Sermons on the Ten Commandments. Editor and Translated by Benjarmin W. Farly.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0.
Bavinck, Herman. “Calvin and Common Grace.” Calvin and the Reformation, ed. William Park Armstrong. Grand Rapids, Michigan: Baker Book House, 1980.
. Our Reasonable faith. Translated by Henry Zylstra.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9.
. The Doctrine of God.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3.
Berkhof, Hendrikus. Christian Faith, rev. ed.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6.
.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Richmond, Va.: John Knox Press, 1964.
Berkhof, Louis.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기독교 교리사』. 신복윤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7.
Berkhof, L.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9.
. “Covenant of Grace and its Significance for Christian Education.” in Cornelius Jaarsma, ed., Fundamentals in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53.
. Systematic Theology.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41.
Berkhof, William. “Calvin's Influence Upon Educational Progress.” The Banner Ban 62 (1927) 440-441.
Berkouwer, G. C. Divine Elec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60.
. The Triumph of Grace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56.
. General Revela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1.
Beversluis, N. H. Toward a Theology of Education. Calvin College,
Beza, Theodore. The Life of John Calvin 『칼빈의 생애와 신앙』. 김동현 옮김. 서울: 목회자료나, 1999.
. “Life of John Calvin,” Tracts and Treatises on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Vol. I. Translated by Henry Beveridg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8.
Bloesch, Donald. Essentials of Evangelical Theology vol. 1. San Francisco: Harper & Row, 1978.
. Jesus Is Victor: Karl Barth's Doctrine of Salvation. Nashville: Abingdon Press, 1976.
Bohatec, Josef. Calvin's Lehre von Staat und Kirche. Breslau: M. & H. Marcus, 1937/1961.
Bouwsma, William J. John Calvin:A Sixteenth Century Portraint 『칼빈』. 이양호 , 박종숙 옮김.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88.
Breen, Quirinus. John Calvin: A Study in French Humanism. Hamden, Conn.: Archon Books, 1968.
Bright, John. The Kingdom of God: The Biblical Concept and Its Meaning for the Church 『하나님 나라』. 김인환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6.
Browner, A. E. “Calvin's Doctrine of Children in the Covenant: Found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Reformed Review 18 (1964/1965) 17-29.
Brunner, Emil. The Christian Doctrine of Creation and Redemption. Dogmatics, vol. w.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52.
.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Church, Faith, and the Consummation. Dogmatics, vol. 3.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2.
.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Church, Faith, and the Consummatio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 The Misunderstanding of the Church.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53.
Burgess, H. W. An Invitation to Religious Education 『기독교 교육론』. 오태용 역. 서울: 정경사, 1994.
Buschbeck, B. “Johannes Calvin”(1509-1564). H. Schröer; D. Zilleβen(Hrsg.). Klassiker der Religionspädagogik. Frankfurt am Main, 1989.
Calvin, John. Institu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 by Ford Lewis Battles. Atlanta: John Knox Press, 1975.
. Calvinus Sacrae Scripturae Professor: Calvin as Confessor of Holy Scripture, ed. Wilhelm H. Neuser.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4.
. Commentary on a Harmony of the Evangelists, Matthew, Mark, and Luke. Translated by Rev. William Publishing Company, 1957.
.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Translated by James Anders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1949.
. Commentaries on the Epistle of Paul the Apostle to the Romans. Translated by Rev. John Owen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5.
. Commentaries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Translated by Rev. John Owe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49.
. Commentaries on The First Book of Moses Called Genesis. Translated by Rev. John King. 2 vol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48.
. Commentary on the Epistles of Paul the Apostle to the Corinthians. Translated by the Rev. John Pringle. 2 vol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48.
. Translated by G. Aiken Taylor. Durham: Duke University, 1952.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ranslated by Henry Beveridge. 2 vol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62.
.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1-10. Translated by T. H. L. Parker.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Vompany, 1959.
. Tracts and Treatises. Translated by Henry Beveridge. 3 vol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8.
. “The Order of the College of Geneva,”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XVIII, translated by W. Standford Reid (November, 1955).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vol. 1. 2 Ed., by John T. Mcneil and trans. by F. L. Battle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0.
. Commentary on The Book of Psalms vol. 1. trans. by James Anderson. Grand Rapids: Eerdmans, 1963.
. Calvinus Sacrae Scripturae Professor: Calvin as Confessor of Holy Scripture, ed. Wilhelm H. Nenser.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4.
. John Calvin: Treatises against the Anabaptists and the Libertines, trans. Benjamin Wirt Farley.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2.
. Commentaries on the First Book of Moses Called Genesis. Translated by John King.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48.
. The Old Testament Commtaries on the Jeremiah vol I. Translated by the Rev. John Dwe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50.
. Commentaries on the Prophet Ezekiel I. Translated by Thomas Myer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48.
. Commentaries on a Harmony of the Evangelists Matthew. Mark, and Luke I. Translated by William Pringl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48.
. The New Testament Commentary of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Edited by D. W. Torrance and T. F. Torrance, and Translated by T. H. L. Parker.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4.
. The New Testament Commentaries on the Epistles of Paul to the Romans and Thessalonians. Edited by R. Mackenzi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3.
. The New Testament Commtaries on the Galatians, Ephesians, Philippians, and Colossians. Edited by D. W. Torrance and Transtated by J. W. Fraser. G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3.
. The New Testament Commentaries on the Epistles to the Hebrews and the First and Second Epistles of St. Peter. Edited by D. W. Torrance and T. F. Torrance and Translated by W. B. Johnst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4.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기독교강요(상권)』. 한철하 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8.
. Galatians, Ephesians, Philippians and colossians. Grand Rapids: W. B. Eerdmans, 1965.
.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ed., J. T. McNeill, tr., F. L. Battle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7.
. Calvin's Ecclesiastical Advice. Translated by Mary Beauy and Benjamin W. Farle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1.
. The Bondage and Liberation. of the Will. Edited by A. N. S. Lane. Translated by G. I. Davie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6.
. Summary of Calvin's Institution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박해경 편저. 서울: 도서출판 아가페문화사, 1998.
. 『종교개혁의 필요성에 관하여』. 김동현 옮김.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94.
. Introduction in Faith 『신앙입문』. 최도형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 The Piety of John Calvin 『칼빈의 경건』. 이형기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9.
Cochrane, Arthur C. Reformed Confessions of the 16th Century, ed.,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6.
Cram, Ronald H. Understanding Trends in Protestant Educ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Crowe, R McFerran. “The Reformed Faith and Christian Education.” The Southern Presbyterian Journal SPresJ 14 (Sept, 1955) 7-14.
Culpepper, Robert H. Interpreting the Atonement.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66.
Custance, Arthur C. The Sovereignty of Grace 『칼빈의 교리신학』. 한국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8.
Dakin, A. Calvinism. London: Duckworth, 1940/1949
Dankbaar, W. F. Calvin, Sein Weg und Sein Werk. Neukirchen: Neukirchener Berlag, 1959.
Davies, Alfred T. John Calvin and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London: Henry E. Walter, 1946.
Davies, A. Mervyn. Foundation of American Freedom 『칼빈의 사상과 자유사상』. 한국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9.
De Jong, Peter Y. “Calvin and the Founding of the Academy of Geneva.” The Westerminster Theological Journal 18, Nov. 1955.
De Jong, Peter Y. “Calvin's Contributions to Christian Education.” Calvin Theological Journal 2 (1967), 162-201.
Dendy, Marshal C. Calvin and Christian Education. Richmond: John Knox Press (1964) 15-34.
Douglass, Jane Dempsey. Women, Freedom, and Calvi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5.
Doumergue, Emile. Le Caractere de Calvin 『칼빈 사상의 성격과 구조』. 이오갑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Dowey, Jr., Edward A.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4.
. “The Structure of Calvin's Theological Thought as Influenced by the Two-fold Knowledge of God.” Calvinus Ecclesiae Genevensis Custos, ed. Wilhelm H. Neuser. Frankfurt am Main: Verlag Peter Lang, 1984.
.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Grand Rapids,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4.
Dowey, Edward A.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s Theology.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1952.
Dunn, Samuel. The Best of John Calvin 『요한칼빈의 신학진수』. 김득용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84.
Durant, Will. The Reformation. New York: Simon & Schuster, 1957.
Eavey, C. B.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사』. 김근수, 신청기 공역.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원구원, 1986.
Ebeling, Gerhard. Word and Fait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3.
Eby, Frederick and Charles Flinn Arroweed.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New York: Prentice-Hall, Inc., 1942.
. Early Protestant Educatiors. New York: McGraw Hill Book Company, Inc., 1931.
Edmond, Harper Norman. “A Comparative Study of the Educational Information of the Thought of John Calvin and Soren Kirkegraard.”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1966.
Elert, Werner. Law and Gospel. Philadelphia: Fortress Press, Facet Books, 1967.
Elma, Harkness Georgia. John Calvin: the Man and his Ethics. New York: H. Hort & Co., 1931.
Engel, Mary Potter. John Calvin's Perspectival Anthropology. Atlanta, Georgia: Scholar Press, 1988.
Farley, Benjamin W. John Calvin's Sermons on the Ten Commandments 『칼빈의 십계명 설교』. 박희석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91.
Ferre, Nels F. S. A Theology for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신학』. 이정기역. 서울: 보이스사, 1987.
Finlayson, R. A. Able Ministers of the New Testament. London: A. G. Hasler & Co., 1965.
Foxgrover, David. The Legacy of John Calvin. Grand Rapids: CRC Product Services, 1999.
Fraser, John W. Comm. 1 Cor. 11:24.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60.
Galeason, Randall C. John Calvin and John Owen on Mortfication.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1995.
Gangel, Kenneth O. & Benson, Warren S. Christian Education Its History and Pilosophy 『기독교교육사』. 유재덕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 “What Christian Education Is”, in R. E. Clark, L. Johnson, and A. K. Sloat, ed., Christian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Future. Chicago: Moody Press, 1991.
Ganoczy, Alexandre. Calvin, Théologien de L'église et du ministère. Paris: Les Editions du Cert, 1964.
. The Young Calvin, trans. David Foxgrover and Wade Provo.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7.
General Board of Education of the Methodist Church, Work Book: Developing Your Education Ministry 『교육목회지침서』. 오인탁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80.
George, Timothy. Theology of the Reformers. Nashville, Tenn.: Broadman Press, 1988..
. John Calvin and the Church: A Prism of Reform.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0.
. Theology of the Reformers. Nashville: Broadman Press, 1988.
Gerrish, Brian A. Grace and Gratitud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Essays on Calvin and the Reformation in Honor of Ford Lewis Battles, collaboration wit Robert Benedetto. Pittsburgh: Pickwick Press, 1981.
. The Grace of Reason: A Study in the Theology of Luther. Oxford: Clarendon Press, 1962.
Gonzalesz, Justo L.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 I 『기독교사상사(Ⅰ),(Ⅱ)』. 이형기, 차종순 공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Graham, W. Fred. The Constructive Revolutionary: John Calvin and His Socio Econmic Impact. Atlanta: John Know Press, 1978.
. “A Response to ‘Calvin's Academic and Educational Legacy.’” Calvin Studies Society Papers.
. The Constructive Revolutionary: John Calvin 『건설적인 혁명가 칼빈』. 김영배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6.
Graves, Allen W. "Administration the Religious Education Program", in M. J. Taylor, ed.,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in an Era of Change. Nashville: Abingdon Press, 1976.
Gregg, Singer. “Calvin and Education.” Call 7 (1979) 19-22.
Grensted, L. W. A Short History of the Atonement. Manchester: Manchester Univ. Press, 1920.
Grimm, Harold J. The Reformation Era 1500-1650.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73.
. “Martin Luther”(1483-1546), A History of Religious Education, ed., Elmer L. Town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5.
. Luther's Works, vol. 31, Career of the Reformer part Ⅰ, ed. by Harold J. Grmm. Philadelphia: Muhlenberg Press, 1957.
Hall, Charles A. M. With the Spirit's Sword, The subtitle: The Drama of Spiritual Warfare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Zurich: EVZ Verlag, 1968.
Hamilton, Ian. Calvin's Doctrine of Scripture: A Contribution to the Debate. Edinburgh: Rutherford House, 1984.
Harkness, Georgia. John Calvin, the Man and His Ethics. Nashville: Abingdon Press, 1958.
Haroutunian, Joseph. Calvin: Commentaries and Letter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98.
. Calvin: Commentaries 『칼빈주석의 정수』. 이종태 옮김.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4.
. 「Calvin Commentaries」. 『칼빈의 조직신학 해석』 한국 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기독교문화협회 칼빈총서 제2집, 1986.
Harper, George W.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 a Review Article.” The Calvin Theological Journal vol XX, 1985.
Harper, Norman E. Making Disciples: The Challenge of Christian Educatio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Christian Studies Center, 1981.
Harris, Maria. 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89.
. Fashion Me a People: Curriculum in the Church 『회중형성과 변형을 위한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용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Harrison, Wilds Elmer. The Foundations of Modern Education. New York: Rinehart & Co., 1952.
Hedtke, R. Erziehung durch die Kirche bei Calvin. Der Unterweisungsund Erziehungsauftrag der Kirche und seine anthropologischen und theologischen Grundlagen. Heidelberg, 1969.
Heideman, Eugene. Reformed Bishops and Catholic Elder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0.
Henry, C. F. H. Christian Personal Ethics.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57.
Hesselink, I. John. On Being Reform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Common Misunderstandings. 2d ed. New York: Reformed Church Press, 1988.
. On Being Reform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Common Misunder-standings 『개혁주의 전통』. 최덕성 옮김.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7.
. Sovereign Grace and Human Freedom. How They Coalesc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8.
. Reformatio Perennis: Essays on Calvin and the Reformation in Honor of Ford Lewis Battles, ed. Brian Gerrish. Pittsburgh: Pickwick Press. 1981. 11-26, and reprinted in Readings in Calvin's Theology, ed. Donald McKim 179-91.
. Calvin's Doctrine of the Christian Lif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59.
. Calvin's Concept of the Law. Allison Park, Pa.: Pickwick Publications, 1992.
. Calvin's First Catechism. Columbia Theological Seminary, 1538.
Hodgson, Leonar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London: Nisbet, 1943.
Hoekema, Anthony. The Bible and the Futur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9.
Hoitenga, Dewey J. John Calvin and the Will.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7.
Hoogstra, Jacob T. (ed.). John Calvin Contemporary Prophet.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59.
Hunt, George L.(ed.). Calvinism and Political Order.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65.
Hunter, A. Mitchell. Teaching of Calvin. London: James Clarke, 2d., 1950.
Hwang, Sung Chul.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within A Calvinistic approach to theology.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1987.
Jaarsma, Cornelius (ed.). Fundamentals in Christian Educa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3.
Jaarsma, Cornelius. Human Development, Learning and Teaching.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9.
.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Herman Bavinck.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35.
. “John Calvin and Education.” The Banner (Jun, 1959) 6, 19.
Jacobs, Paul. Prädestination und Verantwortlichkeit bei Calvin. Neukirchen: Neukirchener Verlag, 1937.
Jansen, John F. Calvin's Doctrine of the Work of Christ. London: James Clarke, 1956.
Jewett, Paul K. Election and Predestina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5.
. The Lord's Day.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1.
John, Serene. Calvin and the Rhetoric of Piety.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5.
Jordan, James B. John Calvin's The Cavenant Enforced: Sermons on Deuteronomy 27 and 28. Texas: Institute for Christian Economics Tyler, 1990.
Kaiser, Christopher B. The Doctrine of God. Westchester, Ill.: Crossway Boks, 1982.
Kendall, R. T.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Kerr, Hougt T. Calvin's Institute: A New Compend 『칼빈의 기독교 강요』. 유원열 역. 서울: 기독교 연합신문사, 2000.
Kloosster, Fredd H. Calvin's Doctrine of Predestination 『칼빈의 예정론』. 신복윤 옮김. 서울: 성광출판사, 1987.
Knight, Harold. The Theology of Calvin 『칼빈의 신학사상』. 기독교학술연구원 역.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6.
Kolfhaus, Wilhelm. Vom christlichen Leben nach Calvin. Neukirchen Kr. Moers: Buchhandlung des Erziehungsvereins, 1949.
Kraus, H. J. “Paedagogia Dei als theologischer Geshichtsbegriff.” Evangelische Theologie 11 (1949), 515-527.
Krusche, Werner. Das Wirken des Heiligen Geistes nach Calvin.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57.
Kuyper, Abraham. Lectures on Calvinism. Grand Rapids,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1.
Kümin, Beat A. “Essays on the Socio-Economic Impact of Religious Change c. 1470-1630.” Reformations Old and New. Vermont: Scolar Press, (1996) 185-202.
Küng, Hans. Justification: The Doctrine of Karl Barth and a Catholic Reflection. New York: Thomas Nelson & Sons, 1964.
Lane, A. N. S. The Bondage and Liberation of the Will, Trans. G. E. Davies and Ed. Lan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6.
Lane, Anthony N. S. John Calvin Student of the Church Father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99.
Larson, Mark J. “John Calvin and Genevan Presbyterianism.”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60 (1998) 43-69.
Latourette, Kenneth Scott. A History of Christianity.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1953.
Leith, John H. John Calvin's Doctrine of the Christian Life.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89.
. “Review of Calvin's Doctrine of the Church by Benjamin Charles Milner.” Church History vol. XL. 1971.
. “The Geneva Primer or Calvin's Elementary Catechism.” Calvin Studies Ⅴ. 1990.
. Introductio to the Reformed Tradition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오창윤 옮김. 서울: 반석문화사, 1992.
. John Calvin's Doctrine of The Christian Life 『칼빈의 삶의 신학』. 이용원 옮김. 서울: 장로교 출판사, 1996.
Leon, Sap Charles. “John Calvin, Humanist Educator: The History f Ideas and Their Relationship to Social Change.” Ph. D.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970.
Lewis, Gillian. “The Geneva Academy.” Calvinism in Europe, 1540-1620. New York: Campridge University Press (1994) 35-63.
Linder, Robert D. “Calvinism and Humanism: The First Generation.” Church History vol. XLIV, 1975.
Lindner, William. Men of Faith John Calvin. Minnesota: Bethany house publishers minneapolis, 1998.
Lindsay, Thomas M. A History of the Reformation. Edinburgh: T. & T. Clark Vol. I, 1963.
. A History of The Reformation 『종교개혁사(I)』. 이형기, 차종순 역.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출판국, 1990.
. A History of the Reformation 『종교개혁사(III)』. 이형기, 차종순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1.
Lohse, Bernhard. Epochen Der Dogmen Geschichte 『기독교 교리사』. 구영철 옮김. 서울: 컨콜디아사, 1997.
London: The Camelot Press, 1959.
Luther, Harkey Martin. “A Theology for the Ministry of Volunteers with Reference to Calvin's Doctrine of Vocation, and with Particular Focus on Developing Leadership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Congregation.” Ph. D. dissertation, Princeton University, 1985.
Lynn, Robert. “An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Futures of American Religious Education.” Found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in an Era of Change, ed. Marvin Tayler, Nashville: Abingdon Press, 1976.
Maag, Karin. “Development and expansion: 1559-1572.” Seminary or University?. Vermont: Scolar Press (1995) 8-34.
. “Calvin's Academic and Educational Legacy.” Calvin Studies Society Papers.
MacGregor, Geddes. Corpus Christi: The Nature of the Church according to the Reformed Traditio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58.
Mackinnon, James. Calvin and the Reformation. London: Longmans, Green, & Co., 1936.
McDonnell, Kilian. John Calvin, the Church and the Eucharist.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67.
McDonald. M. Wallace. Registers of Cosistory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General Editor Robert M. Kingdom. Editor Thomas A. Lambert and Isabella M. Watt.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6.
McGrath, Alister E. A Life of John Calvin. Oxford: Basil Blackwell Ltd., 1991.
. Reformation Thought: An Introduction. Oxford: Basil Blackwel Ltd., 1993.
. Refomation Though an Introduction 『종교개혁사상입문』. 박종숙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92.
McKelway, Alexander. “The Importance of Calvin Studies for Church and College.” Calvin Studies Ⅰ, 1982.
McKim, Donald K 외 공편. 『칼빈에 관한 신학논문』. 한국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9.
McKim, Donald K. Readings in Calvin's Theology 『칼빈신학의 이해』. 이종태 옮김.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 What Christians Believe About the Bible. Nashwille: Thomas Nelson, 1985.
McLelland, Joseph C. The Reformation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2.
. An Exposition of the Sacramental Theology of Peter Martyr Vermigli. Edinburgh: Oliver & Boyd, 1957.
McNeill, John T. A History of the Cure of Souls. New York: Harper, 1951/ 1965.
.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Calvin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54.
. “The Democratic Element in Calvin's Thought.” Church History vol. XV, 1949.
. “The Significance of the Word of God for Calvin.” Church History vol. XXVIII, 1959.
. “Calvin as an Ecumenical Churchman.” Church History vol. XXXII, 1963.
. The History and Character of Calvinism.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Meeter, A. Henry. The Basic Idea of Calvinism. Grand Rapids: Grand Rapids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60.
Miller, R.C. Christian Nurture and The Church 『기독교교육과 교회』. 기독교교육협의회편. 서울: 기독교교육협회, 1961.
. Theologies of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Press, 1995. 『기독교 종교교육과 신학』. 고용수,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Milner, Jr., Benjamin Charles. Calvin's Doctrine of the Church. Leiden: E. J. Brill, 1970.
Monter, E. Willam. Calvin's Geneva. Huntington, New York: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1975.
Moore, Mary E. Education for Continuity and Change: A New Model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bingdon Press, 1982.
Moore, T. M. “Some Observations Concern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John Calvin.”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47 (1984) 140-155.
Muller, Richard A. “Fides and Cognitio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Intellect and Will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The Calvin Theological Journal. vol. XXV, 1990.
Murray, John. Calvin on Scripture and Divine Sovereignty.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60.
Murray, John. Calvin on Scripture and Divine sovereignty. Welwyn, Hertfordshire: Evangelical Press, 1979.
Naphy, William G. “The Re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Geneva's schools.” Reformations Old and New. Vermont: Scolar Press, (1996) 185-202.
Nauert, Charles G. and Mentzer, Raymond A. Calvinus Sincerioris Religionis Vindex: Cvlvin as Protector of The Purer Religion. Edited by Wilhelm H. Neuser and Brian G. Armstrong. Michigan: Truman state University, 1994.
Niebuhr, Reinhold.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 vol. 1.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47.
Niesel, Wilhelm. The Theology of Calvin, trans. Harold Knight.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6.
. The Gospel and the Churches: A Comparison of Catholicism, Orthodoxy and Protestantism.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2.
. The Theology of Calvi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56.
Nijenhuis, W. Calvinus Oecumenicus. The Hague: Martinus Nijhoff, 1959.
Oberman, Heiko. Humanity and Divinity i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Essays in Honor of Charles Trinkaus. Leiden: E. J. Brill, 1993.
. The Dawn of the Reforma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Go., 1986, 1992.
Old, Hughes Oliphant. The Shaping of the Reformed Baptismal Rite in the Sixteenth Century. Grand Rapids,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2.
Oliphant, Hughes Old. The Shaping of the Reformed Baptismal Rite in the Sixteenth Century. Michigan: Grand Rapids, 1992.
Osterhaven, Eugene. Readings in Calvin's Theology, ed. Donald K. McKim.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4.
Osterhaven, M. Eugene. The Faith of the Chruch: A Reformed Perspective on Its Historical Development.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2.
Packer, James I. “Calvin the Theologian.” John Calvin, ed., G. E. Duffield. Appleford: The Sutton Coutenay Press, 1966.
Palmer, Parker J. To Know As We Are Known: Education as a Spiritual Journey.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 1983. 『기독교적인식론: 기독교교육의 영성』. 박원호 역. 서울: 도서출판 광나루, 1991.
Parker, T. H. L. Calvin.: An Introduction to His Thought.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5.
. Calvin's Doctrine of the Knowledge of God, rev. ed.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59.
. A Dictionary of Chrisian Theology, ed. Alan Richardson.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9.
. The Oracles of God. London: Lutterworth Press, 1944.
. Calvin's Doctrine of the Knowledge of God. Edinburgh: Oliver and Boyd, 1969.
. Calvin's New Testament Commentaries. London: SCM Press, 1971.
. John Calvin. Berkhamsted, Herts: Lion Publishing, 1977.
. Calvin: An Introduction to His Thought.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5.
. John Calvin 『죤 칼빈의 생애와 업적』. 김지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Partee, Charles. Calvin and Classical Philosophy. Leiden: E. J. Brill, 1977.
. “Calvin's Central Dogma Again.” The Sixteenth Century Journal vol. XVIII, 1987.
Pauck, Wilhelm. The Heritage of the Reformation. Glencoe, Ill.: Free Press, rev. ed., 1961.
Paul, Robert. The Atonement and the Sacraments. London: Hodder & Stoughton, 1961.
Pazimino, Robert W. Foundational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 An Introduction in Evangelical Perspectiv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8.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신조학』. 박일민 역. 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84.
Philip, Vollmer. John Calvin: Theologian, Preacher, Educator, Stateman. Philadelphia: The Heidelberg Press, 1909.
Piper, John. The Justification of God: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Study of Romans 9:1-23.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3.
Prenter, Regin. Creation and Redemp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7, 318ff.; Helmut Thielicke, The Evangelical Faith vol. 2.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77.
Puckett, David L. John Calvin's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5.
Quirinus, Breen. “The Church as Mother of Learning.” Encounter 22 (1961) 363-419.
Quistorp, Heinrich. Calvin's Doctrine of The Last Things 『칼빈의 종말론』. 이희숙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86.
Rashdall, Hastings. The Idea of the Atonement in Christian Theology. London: Macmillan & Co., 1925.
Raymond Andrew Blacketer. L'Ecole De Dieu Pedagogy and Rhetoric in Calvin's Interpretation of Deuteronomy. Grand Rapids, Michigan: , 1998.
Raynal, Charles. “The Place of the Academy in John Calvin's Polity.” Calvin Studies Ⅱ, Davidson College Presbyterian Church
Reed, R. C. The Gospel as Taught by Cavin 『칼빈주의 뿌리와 열매』. 홍병창 옮김. 서울: 교회교육연구원, 1985.
Reid, J. K. S. Calvin.: Theological Treatises. London: SCM Press LTD, 1955.
Reid, W. Stanford. “Calvin and the Founding of the Academy of Geneva,” The Westminster Theologcal Jounal 18(Nov, 1955) 1-33.
. “Review of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 by R. T. Kendall.” The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 XLIII, 1980.
. “Calvin and the Founding of the Academy of Geneva.” The Westerminster Theological Journal 18, Nov. 1955.
.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d 『칼빈이 서양에 끼친 영향』. 홍치모, 이훈영 옮김.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
Reisner, Edward H. “Calvin and Presbyterianism.” Historical Foundations of Modern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1927) 435-444.
Reist, Benjamin. A Reading of Calvin's Institutes.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1.
Reuter, Karl. Das Grundverständnis der Theologie Calvins. Neukirchen: Neukirchener Verlag, 1963.
Richard, Lucien Joseph. The Spirituality of John Calvin. Atlanta: John Knox Press, 1974.
Richards, Lawrence O. A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교회신학과 실제』. 문창수역. 서울: 정경사, 1981.
. A Theology of Christian Leadership 『교회지도자신학』. 강철수 역. 서울: 정경사, 1983.
Richard, R. DeRidder. “John Calvin's Views on Discipline: A Comparison of the Institution of 1536 and the Institutes of 1559.” The Calvin Theological Journal 21 (1986), 223-230.
*Robert Kingdon (ed.), Registers of the Consistory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Grand Rapids: Eerdmans, 2000).
Robert, White. “The School in Calvin's Thought and Practic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12 (1969), 5-26.
Robinson, William C. “Calvinism and Education.” The Calvin Forum. (Feb, 1945) 140-142.
. “God-Centered Education.” The Calvin Forum. (Feb, 1945) 160-163.
Rodewald, O. Johannes Calvins Gedanken über Erziehung mit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seiner Briefe. Diss. Erlangen, 1911.
Rohls, Jan. Reformed Confessions. Tranlated by Hoffermeyer, John.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7.
. “Columbia Series in Reformed Theology.” Reformed Confession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8.
Runia, Klaas. Karl Barth's Doctrine of Scriptur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62.
Rupp, Gordon and Philip watson. Luther and Erasmus: Free Will and Salvation,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9.
Russell, Letty M. Christian Education in Mission 『기독교교육의 새전망』. 정웅섭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1.
Sang II, Park. The Implication of John Calvin's Doctrine of Educa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Korean-American Church. Ph. D. Diss. New York University, 1994.
Sasse, Hermann. This Is My Body: Luther's Contention for the Real Presence in the Sacrament of the Altar. Minneapolis: Augsbur Press, 1959.
Sauer, James B. Hathful Ethics According to John Calvin. Lampeter: The Edwin Mellen Press, 1997.
Schaff, Philip.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VII. New York: Scribner, 1903.
Schoeman, S. “Johannes Calvyn as pedagood.” Hervormde Teologiese Studies 47. Universiteit van Suid-Afrika (Sep, 1991) 746-767.
Schreiner, Susan E. The Theater of His Glory: Nature and Natural Order in the Thought f John Calvin. Durham, N. C.: Labyrinth Press, 1991.
Schulze, L. F. Calvin's Reply t Pighius. Potchefstroom, South Africa: Pro-Rege Press, 1971.
Schaff, Philip (ed.). Creeds of Christendom. 3vols. New York: Harper & Brothers, 1919.
.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vol. VIII. 1972.
Scott, Kieran. “Three Traditions of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79-3, 1984.
Seeberg, Reinhold. The History of Doctrines, trans, Charles E. Hey.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8.
Seymour, Jack L. & Miller, Donald E. ed. Contemporary Approaches to Christain Education 『오늘의 기독교교육 연구』. 임영금 외 공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82.
. Theological Approaches to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대화』. 김재은, 임영택 공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4.
Shepherd, Victor A. The Nature and Function of Faith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Macon, Ga.: Mercer Univ. Press, 1983.
Sherrill, Lewis J.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발생』. 이숙종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Smart, James D.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교회의 교육적 사명』. 장윤철 역.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91.
Spier, J. M. What Is Calvinistic Philosophy. Translated by Fred H. Klooster.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53.
Spitz, Lewis W. The Protestant Reformation 『종교개혁의 정신』. 정연철 역. 서울: 도서출판 풍만, 1990.
Sproul, R. C. Chosenby God. Wheaton, Ill.: Tyndale House, 1986.
Stauffer, Richard Dieu, La creation et providence dans la predication de Calvin. Berne: Peter Lang, 1978.
. La Reforme 『종교개혁』. 박건택 옮김.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Steinmetz, David C. Calvin in Contex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Steinmetz, David. Calvin in Context, chap. 2, “Calvin and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95.
Stickelberger, E. John Calvin, trans. Gelzer, D. G. Cambridge: James Clark & Col, Ltd., 1977.
Stickelberger, Emanuel. John Calvin 『하나님의 사람 칼빈』. 박종숙, 이은재 공역. 서울: 도서출판 나단, 1992.
Tamburello, Dennis E. Union With Christ: John Calvin and the Mysticism of St. Bernard, Columbia Series in Reformed Theology.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4.
Tavard, George H. The Starting Point: of Calvin's Theology. Grand Rapids,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0.
Taylor, George Aiken. “John Calvin, The Teacher. The Correlation Between Instruction and Nurture within Calvin's Concept of Communion.”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Durham, 1953.
. “Calvin and Religious Education.” Hristianity Today. vol 1, No. 21. (Jul 1957) 16-17.
Thompson, Merrit M. The History of Education. New York: Barnes & Noble, Inc, 1951.
Thudichum, M. C. Calvin als Pädagogi. Phil. Diss. München, Genf, 1914.
Tillich, Paul.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ed. Carl E. Braaten.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968.
Torrance, James B. Essays in Christology for Karl Barth, ed. T. H. L. Parker. London: Lutterworth Press, 1956.
Torrance, Thomas F. Kingdom and Church. Edinburgh: Oliver & Boyd, 1956.
. The School of Faith: The Catechisms of the Reformed Church. London: James Clarke, 1959.
. Calvin's Doctrine of Man. London: Lutterworth Press, 1949.
. Theology in Reconstruction.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 Space, Time and Incarnation.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69.
van Buren, Paul Christ n Our Place: The Substitutionary Character of Calvin's Doctrine of Reconciliation. Edinburgh: Oliver & Boyd, 1957.
van Der Kooy 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Christian School. Translated by Three Members of the Faculty of Calvin College.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25.
van Til, Cornelius. The Case for Calvinism 『칼빈의 발전약사』. 한국칼빈주의 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 문화협회, 1989.
Walker, Williston. John Calvin: the Organizer of Reformed Protestantism 1509-1564. New Yord: AMS Press, 1972.
.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70.
Wallace, Ronald S. Calvin's Doctrine of he Word and Sacrament.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57.
. Calvin's Doctorine of the Word and Sacrament 『칼빈의 말씀과 성례전 신학』. 정장복 옮김.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6.
. Calvin's Doctrine of the Word and Sacrament. Edinburgh: Oliver and Boyd, 1953.
. Calvin, Geneva and the Reformation. Grand Rapids, Michigan: Baker Book House, 1988.
. The Atoning Death of Christ. Westchester, Ill.: Crossway Books, 1981.
Warfield, B. B.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0.
. Calvin and Calvinism.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 Calvin and Reformation. London and Edinburgh: Fleming H. Revel Company, 1909.
. Revelation and Inspir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27.
. Calvin and Augustin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80.
Waterink, J. “Calvinistic Theory of Education.” The Evangelical Quarterly vol 1 (1929) 406-414.
Weber, Otto. Calvin Studien 1959. Neukirchen: Neukirchener Berlag, 1959.
. The Foundations of Dogmatics vol. 1.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1.
. Foundations of Dogmatics vol. 2.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3.
. Die Treu Gottes und Die Kontinuitat Der menschlichen Existenz 『칼빈의 교회관』. 김영재 옮김. 서울: 풍만출판사, 1985.
Weerda, Jan R. Nach Gottes Wort reformierte Kirche. Munich: Chr. Kaiser verlag, 1964.
Wendel, Francois. Calvin: Harper & Row. New York: Publishers Evanston, 1963.
. Calvin. New York: Harper & Row, 1963.
. Calvin: Origins and Developments of His Religious Thought. New York: Harper & Row, 1963.
Wernle, Paul. Der Evangelische Glaube, Band Ⅲ. Tübingen: J. C. B. Mohr, 1919.
. Der evangelische Glaube nach den Hauptschriften der Reformatoren vol. 3, Calvin. Tübingen, J. C. B. Mohr(Paul Siebeck), 1919.
Weber, Max.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trans. Talcott, P.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78.
. Calvi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Religious Thought, trans. Mairet, Philip. Glasgow: William Collins Sons & Co. Ltd., 1950.
Weber, Otto. Foundation of Dogmatics vol. I. trans. Guder, Darrell L.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81.
Weslerhoff, John ed., A Discipline in Crisis, Religious Education vol. 74. No.1, 1979.
Westerhoff III, J. H,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교회의 신앙교육』. 정웅섭역.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6.
Whale, J. S. The Protestant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
White, Robert. “The School in Calvin's Thought and Practice.”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12, 1969.
Wilds, Elmer Harrison. The Foundations of Modern Education. New York: Rinehart & Company, Inc., 1952.
Williams, George Huntston. The Radical Reformation.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962.
Willis, E. David. Calvin's Catholic Christology. Leiden: E. J. Brill, 1966.
Wilterdink, Garret. Tyrant or Father? A Study of Calvin's Doctrine of God; vol. 1. Bristol, Ind.: Wyndham Hall Press, 1985.
Wright, David F. Calvinus Sincerioris Religionis Vindex: Cvlvin as Protector of The Purer Religion. General Editors Nauert, Charles G. and Mentzer, Raymond A. Edited by Wilhelm H. Neuser and Brian G. Armstrong. Michigan: Truman state University, 1994.
. “Calvin's Accommodation' Revisited.” in Calvin as Exegete, ed. by Peter De Klerk. Grand Rapids: Calvin Studies Society, 1995.
. “Calvin's Accommodating God.” in Calvinus Sincerioris Religionis Vindex Sixteenth Century Esays & Studies, ed. by Wilhelm H. Neuser and Brian G. Armstrong vol XXXⅥ,
Wyckoff, D.C.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협회편. 서울: 기독교교육협회, 1986.
Zabilka, Ivan L. “Universal Education.” The Asbury Theological Journal vol (Spring 1989) 44. No 1.
Zachman, Randall C. The Assurance of Faith: Conscience in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3.
. “What Kind of Book Is Calvin's Institutes?.” Calvin Theological Journal 35 (2000) 238-261.
*한서
강경림. 『칼빈과 니고데모주의』.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7.
강용원b. 「칼빈의 교육활동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고용수. 칼빈의 교육사상 『계명신학 제7집』, 계명대학교신학연구원, 81-114(1992).
김양호.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교회론」,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김재성. 『칼빈과 개혁신학의 기초』. 수원: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997.
김준수. 『디지털 기독교 가요』. 서울: 규장문화사, 2000.
김태원. 『교회의 교육적 사명』. 서울: 종로서적, 1989.
김형기. 「칼빈의 말씀 중심 목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 논문, 1998.
나용화. 「칼빈의 기도론」. 『개혁신학』 개혁신학연구원 제1집, 1994.
나용화. 『칼빈과 개혁신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나용화. 『칼빈의 기독교 강요 개설』,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노의일. 「칼빈의 교육사상이 서구 근대사회의 자본형성에 미친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4.
맥그래스. A. E. 「Reformation Thought An Introduction」. 『종교개혁 사상 입문』 박종숙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2.
라이스, 하워드 L. 『개혁주의 영성』 황성철 역. 서울: 기도교 문서 선교회, 1995.
로날드 윌리스, 이종태역, 칼빈신학의 이해, 생명의 말씀사, 1991.
류성애. 「죤 칼빈의 교육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리챠드 스타퍼, 박건택역, 목사로서의 칼빈, 신학정론, 도서출판바라,1990.
박건택 편역. 『깔뱅작품 선집 제I권』,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1998.
박건택 편역. 『칼빈의 설교학』, 서울: 나비, 1990.
박건택 편저. 『칼빈과 설교』, 서울: 나비, 1988.
박건택 역, Calvinꡑs Sermons on The Books of Jeremiah by John Calvin,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0.
박권배. 「칼빈의 제네바 교회의 개혁에 관한 연구」. 『숭의논문』 제15집, 1991.
박일민. 『개혁교회의 신조』, 서울: 성광문화사, 1998.
박형룡, 「저작전집」서울: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77.
벤자민 팔리 편역, 박희석 옮김, 칼빈의 십계명 설교, 성광문화사, 1991.
서만우. 「존 칼빈과 이냐시오 로욜라의 영성훈련 비교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신복윤. 「칼빈의 교회론」. 『성경과 신학』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제7권, 1989.
. 『칼빈의 신학사상』. 서울: 성광문화사, 1993.
신현광. 『교육목회와 교회성장』. 서울: 민영사, 1997.
심상훈. 「율법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에 관한 칼빈의 이해」.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안금영. 「칼빈의 율법개념」. 『종교와 사회 : 종교사회과학연구논문집』 제1호, 1994.
안명준. 「21세기를 위한 해석자: 칼빈의 해석학에 있어서 성령과 해석의 관계를 중심으로」. 『복음과 신학』 평택대학교 피어선 기념 성경연구원 제2권 1집 통권2호, 1999.
유정우. 「칼빈의 구원론에 있어서 성화의 위치: 기독교 강요를 중심하여」. 『복음과 신학』 평택대학교 피어선 기념 성경연구원 제1권 1집 통권1호, 1996.
유태주. 「칼빈의 성경관」. 『신학과 사회』 한일신학대학교 기독교종합연구원 제6집, 1992.
. 「칼빈의 참교회와 거짓교회 비교론과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회」. 『신학과 사회』제9집, 1995.
윤성범. 「칼빈의 신 인식론」. 『기독교사상』1961. 3월호.
이근삼. 『칼빈, 칼빈주의』. 부산: 고신대출판부, 1978.
이양호. 「칼빈의 섭리론」. 『현대와 신학』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제22집, 1997.
. 『‘칼빈’ 생애와 사상』.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7.
이오갑. 「칼빈의 하나님의 형상론」. 『조직신학논문』 한국조직신학회 제3집, 1998.
이은선. 「칼빈의 율법관」. 『기독교 사학 연구』 제2집, 1995.
. 「칼빈의 정치사상 연구사」. 『논문집』 제14집, 1994.
이장식 편역. 『기독교 신조사 제1집』, 서울: 컨콜디아사, 1990.
이종성. 「칼빈의 생애와 그의 위치」. 『신학과 신학자들』양서각 제1집, 1987.
. 「칼빈의 성서관」. 『신학과 신학자들』 양서각 제1집, 1987.
. 『칼빈』.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68.
이종한. 「깔뱅의 인간이해와 기독교교육」. 장로회신학대학 석사학위 논문, 1987.
이태언. 『칼빈의 개혁사상 연구』. 서울: 성광문화사, 1992.
임영근. 「칼뱅(Calvin)의 윤리사상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전경연. 「칼빈의 생애와 사상」. 『십자군』. 1995. 3월호.
. 『칼빈의 생애와 그 신학사상』. 서울: 신교출판사, 1959.
전광식. 「존 칼빈에게 있어서의 기독교 철학」. 『통합연구』통합연구학회 제5권 1호 통권14호, 1992.
정성구. 「한국 교회와 칼빈 연구」. 『신학지남』 제57권 제1호 통권223호, 1990.
정승훈. 「칼빈의 성령이해와 예배예전」. 『신학과 신학자들』 제1집, 1987.
정일웅. 「신학적 근거: Calvin의 교리교육과 교육목회」. 『기독교교육연구』 총신대학교 부설 기독교교육연구소 제1집, 1990.
. 「칼빈의 교리교육과 교육목회」. 『신학지남』 신학지남사 제57권 제1호 통권223호, 1990.
정정숙. 『종교개혁자들의 교육사상』. 총신대학출판부, 1983.
조귀채. 「깔뱅의 성경해석학적 공헌에 관한 연구」,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원, 1991.
죤 칼빈. 『기독교 강요』. 김종흡, 신복윤, 이종성, 한철하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 『칼빈이 말하는 교회에서의 여성과 남성과의 관계』. 김동현 역. 서울: 솔로몬출판사, 1994.
. 「Instruction in Faith (1537)」. 『신앙입문』평신도신앙총서 제6집. 최도형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차영배. 『신학의 방법과 원리』.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1.
차태운. 「Calvin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7.
최홍석. 「칼빈의 신형상론」. 『신학지남』 신학지남사 제57권 제3호 통권225호, 1990.
프랑시스 웬델. 『칼빈의 신학 서론』. 한국 칼빈주의 연구원 역.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8.
한국칼빈학회 엮음. 『칼빈 신학 해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황성철.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칼빈의 교육신학 연구」. 서울: 총신대학 대학원, 1979.
.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칼빈의 교육사상」. 총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황재범. 「Understanding of Calvin's Doctrine of Predestination」. 『계명신학』. 계명대학교 신학연구소 제2집, 1987.
황정욱. 「칼빈의 새로운 교회관과 목회」. 『기독교사상』. 대한기독교서회 통권455호, 1996.
전경연, 「칼빈의 생애와 그 신학사상」서울: 신교출판사, 1959.
죤 맥아더외, 김동완역, 강해 설교의 재발견, 생명의 말씀사, 1993.
존스타트, [설교자상]문창수 역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5.
죤 칼빈, 「기독교 강요」김종흡, 신복윤, 이종성, 한철하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죤 칼빈, 김종흡외 3인 공역, 기독교 강요(하), 생명의 말씀사, 1989.
______, 엄성옥역, 요한 칼빈 설교집(그리스도의 구속사역), 은성, 1989.
______, 이종태역, 칼빈의 설교집, 세종문화사, 1978.
______, 서문 강역, 칼빈의 욥기강해(욥과 하나님), 지평서원, 1988.
______, 김동현역, 칼빈의 이사야 설교, 기독교연합신문사출판국, 1992.
차영배, 「신학의 방법과 원리」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1.
프랑시스 웬델. 「칼빈의 신학 서론」한국 칼빈주의 연구원 역.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8.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