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형.
*.다음을 간단히 설명하세요.
1. 식재설계의 의의
- 답 : 시각적으로 바람직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식재를 하여, 기능을 최대화함으로써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것
2. 배식형식
- 답 : 문자로부터의 이미지, 독립식, 소식, 군식, 열식
3. 식물의 생육지배 요소
- 답 : 기후(온도, 빛, 물)와 토양환경, 생물적 요소가 있으며, 직접적으로는 기후(온도, 빛, 물)가 지배적이다.
4. 식재의 효과와 이용을 키워드로 설명
- 답 : 시각적조절, 물리적울타리, 기후조절, 소음조절, 공기정화, 침식조절
5. 식재설계의 물리적요소 키워드로 설명
- 답 : 지형에 맞는 형태(식물개체나 식물집단의 모양과 구조등이 포함)를 선정하며,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질감(거친질감,고운질 감등), 색채의 수종으로 선정한다.
6. 식재설계의 미적요소 키워드로 설명(답-47-59, 7가지)
- 답 : 통일성, 단순, 변화, 균형, 강조, 연속, 비례
논술형
1. 사계절야생화원을 조성하기위한 식재계획 기본방향을 항목별로 설명하세요.
답: 소재재료적 측면에서 우리꽃을 적극 도입하고, 다양한 수종을 활용하며,
기능적 측면에서는 자생식물 감상기회 제공, 휴게등 편의 제공, 생물 서식처 역할을 한다.
또한, 생태적 측면에서 생태적 특성 고려, 개화기, 화색, 초장을 고려한다.
2. 비오톱의 개념, 정의
답: 비오톱이란 자연적으로 야생 동,식물들이 서식하며 많은 주거민들이 걸어서 접근할 수 있는 토지, 물, 지질학적 지형을 말하며,
이는 사막, 연못, 늪, 삼림 등과 같이 서식장소의 성상/생태별로 나누어지는 공간을 뜻한다.
생태계가 도시화로 위협받는 시점에 생물군집, 환경조건, 지리적 공간조건을 모두 갖춘 작은 생태계를 많이 조성하여,
도시내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인간과 자연 그리고 도시가 공존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다.
3. 비오톱의 학문적 정의
답: dahl-생명공동체의 서식처
schaeffer - 어떤 일정한 생명집단 및 공간사회속에서 입체적으로 다른것들과는 구별할 수 있는 생명공간
중월신화 - 생물이 생육/서식하는 장소를 가리키며, 생활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갖춘 장소
김귀곤 - 여러 종의 생물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의 최소단위 개념으로 숲, 하천, 연못, 가로수, 정원 등
다양한 규모와 질의 생물서식공간이다.
4. 비오톱의 위치와 개념에 대하여 표로작성하고 설명하세요.
답:

5. 비오톱의 어원
답: BIOS(생명, 살아있는것)&TOPOS(땅,공간,영역)=생명체가 서식하는 장소
6. 비오톱의 기능에 대하여 요약설명하세요.
답:-도시생물종의 은신처, 분산(확산), 이동통로로의 기능
-도시가 얼마나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인가 판별하는 척도로서의 기능
-도시민의 휴식과 레크레이션을 위한 공간적 기능
-도시어린이를 위한 비공식적인 놀이공간으로의 기능
-환경교육적 기능
-도시생태계연구를 위한 공간으로의 기능
-환경변화 및 오염의 지표로서의 기능
-환경보호 및 환경건정성(수질,대기,기후,소음 등)의 유지를 위한 기능
7. 비오톱의 조성원칙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세요.
답:

8. 비오톱과 해비타트를 비교설명하세요.
답:비오톱은 야생생물의 해비타트-서식처와 유사하게 사용되었다.
해피타트는 독립된 유기체가 사는 장소이며, 비오톱은 생물군집의 서식처라고 규정한다.
비오톱과 해비타트는 넓은 의미로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좁은의미에서 해비타트는
특정한 종이나 개체의 서식공간, 비오톱은 생물군집의 서식공간으로 구분한다.
해비타트는 특정생물의 서식분포로서의 공간이며, 비오톱은 서식장소의 성상/ 생태별로 나누어지는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