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
372
|
고구려 소수림왕 2 |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
384 |
백제 침류왕 1 |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
391 |
고구려 광개토왕 1 |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
392 |
고구려 광개토왕 2 |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
392 |
백제 아신왕 1 |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
417~458 |
신라 눌지왕 |
고구려 승 묵호자가 불교를 전함. |
452 |
가야 질지왕 2 |
수로왕의 왕후 허왕후 명복을 빌고자 왕후사를 세움. |
479~500 |
신라 소지왕 |
고구려 승려 아도가 불교를 전함. |
512 |
고구려 문자왕 2 |
고구려 승랑, 양무제가 보낸 고승 10명에게 삼론학을 가르침. 백제 성왕
4 겸익, 인도에서 율장을 가지고 귀국. |
526 |
신라 법흥왕 14 |
박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 |
549 |
신라 진흥왕 10 |
신라 최초 유학승 각덕, 양나라에서 귀국. |
551 |
신라 진흥왕 12 |
고구려에서 망명해 온 혜랑 국통이 됨. |
552 |
백제 성왕 30 |
일본에 금동불, 불경, 미륵석불을 보내 불교를 전함. |
565 |
신라 진흥왕 26 |
유학승 명관, 진나라에서 불경 가지고귀국. |
576 |
고구려 평원왕 18 |
의연, 북제에 건너가 불교역사 질의. |
577 |
백제 위덕왕 24 |
검단, 선운사를 세움. |
577 |
백제 위덕왕 24 |
일본에 경론과 율사,기술자 등을 보내 일본불교 지원. |
576~59 |
신라 진지왕 |
진자, 백제에서 미륵화신 미력왕을 맞이함. |
595 |
고구려 영양왕 6 |
고구려 혜자와 백제 혜총, 일본 쇼오토쿠(백제 위덕왕 42) 태자의 스승이
됨. |
601 |
백제 무왕 2 |
미륵사 세움. |
608 |
신라 진평왕 30 |
원광, 수나라 더러 고구려 쳐달라는 걸사표를 씀.(612년,수나라 113만대군
고구려 침략) |
610 |
고구려 영양왕 21 |
담징, 일본에 불교,유학,그림,제지법 등을 가르치고 법흥사 금당벽화 그림.
|
612 |
고구려 영양왕 23 |
살수대첩에 일곱 승려 공헌. |
613 |
신라 진평왕 35 |
수나라 사신을 위해 황룡사에서 원광을 우두머리로 백고좌회 개최. |
643 |
신라 선덕여왕 12 |
자장, 왕의 요청에 따라 당에서 귀국. |
643 |
고구려 보장왕 2 |
당에 사신을 보내 도사,도덕경 들여와 도교 장려 |
645 |
신라 선덕여왕 14 |
황룡사 9층탑 세움. |
650 |
고구려 보장왕 9 |
보덕, 백제에 망명. |
660 |
백제멸망 후도침, 복신과 함께
주류성에서 일어나 백제 국권회복투쟁을 벌임. |
671 |
신라 문무왕 10 |
의상,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당군침략 정보를 알림. 명랑, 당군 침략 물리치는
밀교의식. |
|
신라 문무왕 15 |
의상, 부석사 세움.왕의 논,밭,노비 기부를 거절. |
[남북국시대] |
697 |
발해 고왕 1 |
당나라와 불교 외교. |
713 |
발해 고왕 16 |
발해 사신, 당나라 사찰 참배 허용 요구. |
740 |
신라 효성왕 4 |
심상, 일본에 화엄종을 일으킴. |
751 |
신라 경덕왕 10 |
재상 김대성, 불국사와 석굴암을 세움. |
753 |
신라 경덕왕 12 |
대현, 대궐에서 금강명경 강의. |
754 |
신라 경덕왕 13 |
법해, 황룡사에서 왕을 위해 화엄경을 강의. |
763 |
신라 경덕왕 22 |
신충, 왕을 위해 단속사 세우고 왕의복을 기원함. |
764 |
신라 경덕왕 23 |
진표, 금산사에서 미륵불 조성. |
821 |
신라 헌덕왕 13 |
도의, 당에서 돌아와 선을 전함. |
826 |
신라 흥덕왕 1 |
홍척, 당에서 돌아와 실상산파 개창. |
845 |
신라 문성왕 7 |
무염, 당에서 돌아와 성주산파 개창. |
847 |
신라 문성왕 9 |
범일, 당에서 돌아와 사굴산파 개창. |
864 |
신라 경문왕 4 |
도선, 옥룡사 세움. |
873 |
신라 경문왕 13 |
순지, 당에서 돌아와 오관산파 개창. |
875 |
신라 헌강왕 1 |
도선, 송악지방 호족 왕륭과 친교. |
891 |
신라 진성여왕 5 |
궁예, 견훤의 농민봉기군에 참가. |
894
|
신라 진성여왕 8 |
최치원, 해인사에 은둔. |
895
|
신라 진성여왕 9 |
궁예, 새 나라를 세움. |
898 |
신라 효공왕 2 |
궁예, 팔관회 개시. |
900 |
신라 효공왕 4 |
견훤, 후백제를 세움. |
922 |
신라 경명왕 6 |
견훤, 미륵사탑 복구,선운사에서 승려 지도자 선출. |
[고려시대] |
918
|
태조
1 |
왕건 즉위, 팔관회 개시. |
921 |
태조
4 |
이엄을 왕사로 책봉. |
927 |
태조
10 |
발해 승려 재웅 등 고려에 망명. |
936 |
태조
19 |
후삼국 통합, 개태사 세움. |
958 |
광종
9 |
승과 개시. |
961 |
광종
12 |
체관을 중국에 보내 천태종 서적 전함. |
964 |
광종
15 |
균여를 귀법사 주지에 임명. |
982 |
성종
1 |
최승로, 시무책에서 부패 불교 비판. |
987 |
성종
6 |
팔관회 폐지. |
1010 |
현종
1 |
팔관회 재개. |
1011 |
현종
2 |
거란 침략 물리치기를 기원하여 대장경간행. |
1067 |
문종
21 |
흥왕사 세움. |
1070 |
문종
24 |
의천, 15세에 승통에 임명됨. |
1085 |
선종
2 |
의천, 송나라에 몰래 건너가 다음해 귀국. |
1086 |
선종
3 |
의천, 교장도감을 두어 속장경을 조판. |
1090 |
선종
7 |
의천, 최초의 불교도서목록 `신편제종교장총록'작성. |
1096 |
숙종
1 |
천태종을 열고 국청사를 세움. |
1101 |
숙종
6 |
참사상 퍼뜨린 광기와 각진을 처벌. |
1107 |
예종
2 |
여진 정벌, 옛땅 회복 투쟁에 승군참전. |
1107 |
예종
2 |
함경도 정복지에 호국인왕사, 진동보제사 세움. |
1129 |
인종
7 |
묘청 등, 칭제건원, 금나라 정벌 건의. |
1131 |
인종
9 |
묘청, 서경 대화궁에 팔성당 지음. |
1135 |
인종
13 |
묘청, 서경에서 혁명. 새나라 이름을 `대위'라고 함. |
1170 |
의종
25 |
보현원에서 무신정변 폭발. |
1174 |
명종
4 |
귀법사 승려 봉기, 개경 승려 반란, 왕정복고투쟁. |
1176 |
명종 6 |
공주 명학소 민중봉기, 사찰습격. |
1177 |
명종
7 . |
서경 민중봉기, 담화사 근거로 투쟁, 승려들을 봉기군으로 징발함 |
1181 |
명종
11 |
농민봉기군, 왕실 원찰 봉은사 습격. |
1190 |
명종
20 |
지눌, 정혜결사 조직. |
1202 |
신종
5 |
대구 동화사, 부인사 승려들, 농민봉기에 참가. |
1217 |
고종
4 |
최충헌 타도를 위한 승군 반란. |
1231 |
고종
18 |
충주 노비해방투쟁 지도자 우본이 몽고침략군에 항쟁하여 물리침. |
1232
|
고종
19 |
요세, 백련결사 조직. |
1232 |
고종
19 |
우본이 이끄는 노비, 승군 2차 노비 해방 투쟁. |
1232 |
고종
19 |
개경 노비, 승려 봉기. |
1232 |
고종
19 |
김윤후, 처인성에서 몽고 원수 살리타이 사살. |
1236 |
고종
23 |
강화도에서 대장경 새김. (1251년 완성) |
1253 |
고종
40 |
김윤후, 노비군 이끌고 충주성 사수. |
1275 |
충렬왕
1 |
일연, 삼국유사 저술. |
1328 |
충숙왕
15 |
무기, 석가여래행적송 지음. |
1348 |
충목왕
4 |
원 왕실의 장수,행복을 빌기 위해 경천사 대리석 탑 세움. |
1356
|
공민왕
5 |
보우, 왕사가 되어 승직 임명 관장. |
1365 |
공민왕
14 |
신돈, 국정의 전권을 맡아 개혁정치. |
1366 |
공민왕
15 |
신돈,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이 강탈한 토지 환수, 노비해방. |
1371 |
공민왕
20 |
신돈 처형후 보우를 국사로, 혜근을 왕사로 책봉. |
1388 |
우왕
14 |
신조, 이성계의 참모로써 위화도 회군에 주요 역할. |
1388 |
창왕
1 |
이성계 심복 조인옥, 불교배척 상소. |
|
공양 |
3 박초,김초 등 불교배척 상소 잇따름. |
[조선시대]
|
1392 |
태조
1 |
도첩제 강화로 승려 출가 억제. 무학을 왕사로 임명. |
1402 |
태종
2 |
사찰 토지 몰수 시작. |
1406 |
태종
6 |
사찰 수 제한 조치. |
1406 |
태종
6 |
성민 등 탄압조치 시정 호소. |
1406 |
태종
6 |
해선, 지붕개량사업 자청. |
1424 |
세종
6 |
불교종파 통폐합 조치. |
1427 |
세종
9 |
천우 등 온천치료 기금 설치 청원. |
1433 |
세종
14 |
태평관 짓는 일에 승려 동원. |
1461 |
세조
6 |
간경도감을 두어 주요 경전 번역,간행. |
1464 |
세조
9 |
왕실 원찰 원각사 세움. |
1471 |
성종
2 |
염불소 금지. |
1492 |
성종
23 |
도첩제 폐지, 무단출가 승려 환속조치. |
1503 |
연산군
|
10 승과 폐지. |
1516 |
중종
11 |
사찰 토지,노비 몰수. |
1535 |
중종
30 |
태안반도 운하 공사에 승려 동원. |
1550 |
명종
5 |
보우 등용, 불교 부흥. |
1552 |
명종
7 |
도첩제,승과 부활. |
1559~ |
명종
14~17 |
임꺽정의 봉기. 1562 |
1565 |
명종
20 |
보우, 제주도에 유배되어 살해됨. |
1566 |
명종
21 |
도첩제,승과 폐지. 승려 출가 금지 |
1589 |
선조
22 |
정여립의 혁명 모의에 구월산,지리산, 송광사 불교 세력 참가. |
1592 |
선조
25 |
일본의 침략에 맞서 의승군이 일어남. 공주 의승군의 청주성 탈환, 휴정의
전국 승군 조직. |
1593 |
선조
26 |
의승군, 평양성 탈환, 행주산성 전투에 참가 |
1593 |
선조
26 |
윤눌 등 의승군, 이순신의 수군에 참여 |
1597 |
선조
30 |
의승군, 울산,석주관 전투 참가. |
1598 |
선조
31 |
의승군과 수군 협동작전으로 노량대첩. |
1598 |
선조
31 |
이몽학의 민중봉기에 승려들 참가. |
1604 |
선조
37 . |
유정, 일본에 가서 강화회담, 포로 송환 |
1623 |
인조
1 |
승려 도성 출입 금지. |
1624 |
인조
2 |
평양성 재건에 승려들 동원. |
1627 |
인조
5x |
평양성 재건에 승려들 동원. |
1636 |
인조
14 |
청이 침략하자 각성, 의승군 일으킴. |
1669 |
현종
10 |
대흥사에 휴정의 사당 표충사세움. |
1688 |
숙종
14 |
여환의 미륵혁명 운동. |
1687~ |
숙종
13~23 |
장길산 유격대의 투쟁. |
1696 |
숙종
22 |
뇌현 등, 안용복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 영토권 확인 소송. |
1697 |
숙종
23 |
장길산과 연대한 민중불교혁명운동 발각. |
1728 |
영조
4 |
이인좌의 반란에 지리산 승려들 참가. |
1758 |
영조
34 |
황해도 농민들의 존경을 받던 `생불' 여인 처형 당함. |
1763 |
영조
39 |
황해도 미륵신앙자 처형. |
1785 |
정조
9 |
함경도 거사 집단과 미륵교도의 봉기모의. |
1785 |
정조
9 |
용파, 관리들의 사찰 수탈 시정 호소. |
1826 |
정조
26 |
백파, 선문수경 지음.초의,김정희와 논쟁. |
1851 |
철종
2 |
성월, 구월산 봉기에 참가. |
1867 |
고종
4 |
순성, 명화적을 조직하여 서울,경기의 양반 부호,관가 습격 |
1870 |
고종
7 |
이필제, 지리산 대원암을 근거로 혁명운동. |
1892 |
고종
26 |
선운사 마애미륵불 비결사건. |
1892 |
고종
26 |
승려출신 서장옥, 동학 삼례집회 주도. |
1893 |
고종
27 |
서장옥, 서울에서 대자보 등으로 반외세운동 주도. |
1893 |
고종
27 |
동학 보은집회 당시 남접진영에 호남 승려들 참가. |
1894 |
고종
28 |
갑오농민 전쟁에 민중불교세력 참가. |
1895 |
고종
32 |
일련종 승려과 옴. 승려의 도성 출입금지 해제를 청함. |
1897 |
고종
34 |
승려 도성출입금지령을 해제함. |
1899 |
고종
36 |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하여 각 사찰에 분배함. 동대문밖 원흥사를 세움. |
1902 |
고종
39 |
원흥사를 대법산으로 삼고, 사찰령36조를 정함. |
1908 |
순종
2 |
원종종무원을 건립함. 이회광을 대종정으로 임명함. |
|
순종
4 |
승려들의 취처의 자유를 의논함. 임제종을 창설함. |
[일제시대] |
1911 |
임제종 종무원을 설립. 사찰령 시행규칙을 분류함. 30본사를 설정함. |
1912
|
조선불교선교양종
종무원을 설치하고, 각황사를 중앙포교당으로 함. |
1913
|
스리랑카승려 달마파라가
옴. 불교흥릉회를 발족함. |
1917 |
불교진흥회를 설립. |
1920 |
불교청년회를 설립. |
1921 |
조선불교선교양종
중앙총무원을 설립. |
1922 |
불교유신회를 만듬.
사찰령 폐지 등을 조선총독부에 제출. |
1924
|
불교 지 창간.
원종호법회를 설립. |
1927
|
조선불교중흥회를
설립. 금강산 유점사에서 금강불교청년회를 설립. |
1928
|
사법개정. 각사에
평의원회를 설치. 불교 시찰단을 일본으로 파견함. |
1929
|
전국승려대회를
개최함. |
1931 |
각황사에서 조선불교청년동맹의
발기대회를 개최함. |
1936
|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함. |
1942 |
조계종법을 발포. |
1945
|
사찰회. 조계종
총본산, 태고사법등의 폐지를 결의.대한민국 불교신종단의 출발 |
|
대한민국 성립. |
[대한민국] |
1947 |
선학원에 조선불교
총본원설립(교정 장석상), 태고사 인도 요구. |
1948 |
5월 제헌국회에 승려 출신 유성갑. 최범술
당선. |
1948 |
6월 조선불교 제2대 교정에 방한암 추대. |
1948 |
12월 조선불교 중앙총무원장에 박원찬
발령. |
1949 |
9월 유엽. 한보순. 장도환 등 총무원에
난입. 원장 박원찬 등을 감금. 사직 강요 |
1949 |
10월 제3대 총무원장에 김구하 취임. |
1950 |
5월 제2대 국회에 승려 출신 이종욱.
허영호. 박성하 당선 진출. |
1950 |
6월 인민군을 따라서 남하한 김해진에
의해서 총무원이 점령당했으나 곧 수복.불교계 주요인사 납북됨. |
1952 |
7월 제4대 총무원장에 이종욱 취임. |
1954 |
5월 이승만대통령 제1차 정화유시 발표. |
1954 |
6월 조선불교를 대한불교 조계종으로 개칭 |
1954 |
6월 불교정화운동 발기인대회 개최 |
1954 |
11월 비구측 태고사 강제 점거. 대처승
축출 |
1962 |
5월 불교재산관리법 제정 공포 |
1962 |
9월 통합종단 결렬 |
1970 |
4월 대처승측, 한국불교태고종으로 독자노선을
선언. |
1980 |
10월 계엄사령부, 조계종 총무원 및
전국주요 사찰에 계엄군 투임. 10.27법란. |
1986 |
6월 정토구현 전국승가회 창립 |
1986 |
8월 조계종 제 25대 총무원장 서의현
취임. |
1988 |
불교재산관리법 폐지, 분종과 창종 사태(30개
가량의 신생 불교 종단 출현) |
1993 |
11월 조계종 종정 성철스님 입적 |
|
첫댓글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