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한국작품 '오징어게임'의 시즌2 가 개봉되자 부정적인 평가로 관련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이정재가 주요주주인 아티스트 유나이티드와 아티스트 스튜디오의 주가는 모두 하종가를 기록했습니다.
콘텐츠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끊임없는 창작 스트레스에 시달립니다.
시장은 점점 더 냉정해지고 있습니다.
Stocks related to 'Squid Game' Season 2 drop faster than contestants
'오징어게임' 시즌2 관련 주가가 참가자보다 빠르게 하락
By Jun Ji-hye 전지혜 기자
Posted : 2024-12-28 01:00 Updated : 2024-12-28 10:19
Korea Times
Stocks related to the highly anticipated second season of Netflix’s Korean original series “Squid Game” experienced a sharp drop, Friday, with some hitting their daily limit lows, after receiving negative reviews following its release the previous day.
많은 기대를 모았던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의 시즌2 와 관련된 주가는 금요일 급락했으며, 일부는 전날 공개된 후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후 일일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stocks of Artist United and Artist Studio both hit their daily limit lows, ending down 29.96 percent and 29.84 percent.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티스트 유나이티드와 아티스트 스튜디오의 주가는 모두 일일 최저치를 기록하며 29.96%와 29.84% 하락했다.
Lee Jung-jae, the lead actor of “Squid Game,” is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these companies.
"오징어게임"의 주연배우인 이정재는 이들 회사의 지배 주주이다.
Shares of visual effects compani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such as WYSIWYG Studios and DexterStudios, also saw significant declines of 25.31 percent and 24.08 percent.
제작에 참여한 WYSIWYG 스튜디오와 덱스터스튜디오스 같은 시각효과 회사의 주가도 25.31%와 24.08%의 큰 폭으로 하락했다.
Showbox, which invested in Siren Pictures, the producer of the series, also plummeted 19.16 percent.
시리즈 제작사인 사이렌 픽처스에 투자한 쇼박스도 19.16% 급락했다.
The sequel to the explosive hit “Squid Game” was released on Netflix at 5 p.m., Thursday.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오징어 게임'의 속편이 목요일 오후 5시에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다.
Due to the nature of theme stocks, the decline was attributed not only to the fading excitement but also to negative reviews overseas regarding Season 2.
테마주의 특성상 시즌 2에 대한 해외의 부정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흥분이 사라진 것도 하락세의 원인으로 꼽혔다.
In an article titled “Review: ‘Squid Game’ Hits a Red Light in Season 2,” The New York Times said the story was stagnant.
"리뷰: 시즌 2에서 '오징어 게임'이 빨간불을 켜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뉴욕 타임즈는 이 이야기가 정체되어 있다고 말했다.
The Washington Post also reported that the sequel to the 2021 megahit “feels stylistically continuous but thematically flaccid.”
워싱턴 포스트는 또한 2021년 메가히트의 속편이 "스타일적으로는 연속적이지만 주제적으로는 느슨하게 느껴진다"고 보도했다.
#Stocks주가 #Sharpdrop급락 #Negativereviews부정적인평가 #Visualeffectscompanies시각효과회사 #Themestocks테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