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명: 이원록 (李源祿), 후일 이활(李活)로 改名
중국에서 순국 후 火葬되어 본국으로 운구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
1960년대에 고향 안동으로 移葬(이장)됨.
任(님)은 1904년 안동에서 출생하여 1944.1월 40세의 젊은 나이로 북경 일본 영사관 감옥(헌병대)에서 순국하신 民族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셨다.
우리에게 너무도 잘 알려진 ,
청포도,
광야(曠野) 등의 시를 발표하셨고,
또 젊은 나이에 독립운동을 위해서 일본으로 중국으로 다니셨고,
그러다가 체포되어 받은 囚人 번호 264번이 대표적인 이름이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그 이름
李陸史 (이육사)
아직도 우리나라는 未完의 장으로 남겨진 두 가지 사실을 학생들에게 어정쩡하게 가르치고 있다.
첫 번째가
한국사의 始初와 고대사 영역에 대한 남북한이 통일된 史觀을 가지지 못한 점이 그렇고,
(남한 내에서도 소위 강단 史學과 在野 사학 , 일부 종교계의 신앙적인 관점에서의 역사 주장 등이 맞물려 갈등을 빚고 있다)
두 번째가
한국 문화계의( 문학 음악 미술 등) 禁書로서의 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월북 ,북한출신 작가 및 사상적으로 좌익적인 인사들의 작품을 무시하거나 언급을 안 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한국의 시대적인 격변의 순간들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 누구를 원망하거나 비난만 할 수도 없고, 또 이 문제는 언젠가는 어떤 식으로든 매듭이 지워져야 할 親日 反逆者의 처리문제와 맛 물려, 현재까지는 뚜렷한 해결책도 없음이 사실이다.
물론 전임 盧 정권 때 시작한 반역자 및 친일 부역자의 人名사전 작성하는 것조차도 ,
본인 또는 後孫들의 조직적인 반대 와 진보니 보수 또는 左派 右派의 이분법적 논리에 떠밀려 본질은 사라지고 주제가 바뀐 체 해결이 어려운 점이 현실이다.
陸史 선생과 함께한 이상화, 윤동주, 신석초, 이병각 같은 民族詩人 또는 문인들이 있는가 하면,
최남선, 이광수, 김활란, 유진오, 노천명, 모윤숙, 서정주, 채만식, 박종화, 김동인 등 소위 皇國史觀과 징용, 정신대를 찬양하는 친일문학 활동을 한, 그 면면은 오늘날 우리가 너무도 잘 알고 있고 또 한국을 대표하는 文人들의 대다수가 여기에 속한다.
사실 문학을 하는 나약한 文人들에게 鬪士的인 자세를 요구하는 것은 너무 가혹한 잣대라는 생각도 들고, 또 많은 분들의 경우에도 强壓(강압)에 의한 불가피한 사정도 많았으리라 믿어지고 후일에 반성과 자책의 시간을 보낸 분들도 있다.
그러나 차별은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 중 名作이라 생각하였든
정비석의 산정무한(山情無限)
김소운의 목근통신(木槿通信)
조지훈의 승무(僧舞) 가 있다.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 후략 ~)
<육사 기념관에서 본 앞 들>
목근통신이란 수필을 쓴 작가 金素雲씨도 학창 시절에 친일문인이라는 사실을 처음 알고는 실망도 하였지만, 이 분은 일본에 남아 한국문학을 소개한 커다란 공로도 있다.
결론으로 나는 이 문제로 작가들이나 작품을 매도하기 보다는, 문학적 관점과 수준에서 교과서나 학교에서 평등하게 다루어지더라도 , 친일 문학을 하였다는 사실 자체는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이제 우리 사회도 성숙된 의식과 열린사회의 대처 능력으로 월북 또는 북한작가들의 문학 작품도 禁書에서 해제하여 한국문학이란 큰 틀에 넣고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 정도는 흡수할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사이버나 언론에서 每事를 좌우익의 이데오르기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사회의 미숙한 세태를 보면, 아직도 더 긴 시간이 필요한가라는 생각에 실망감도 찾아 든다
고향집 가까이에 있고, 또 학창 시절에 육사 선생의 장조카 분이신 故 이 동영 선생님에게 국어를 배우는 기회도 있어서 더욱 선생과 인연이 느껴지고 그분의 강렬한 민족정신과 文學 世界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영원히 사는 길이란 힘든 인생 여정의 결과이다.
( 친일문학인 이 외에도 더 있다) 2009/10/15
인간을 잘 이해하는 방법은 한 가지밖에 없다.
그들을 판단 하는 데
결코 서두르지 않을 것 <어떤 스님의 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