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특구 예산부족·인허가 지연에 10개중 5개 첫삽도 못떠
차이나드림시티 등 차질 속출
도 착공 위한 행정 지원 강화
“부분 준공 통해 올림픽 활용”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지역 발전을 선도할 핵심사업으로 기대를 모았던 동계올림픽특구 조성이 지지부진하다. 올림픽이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실시설계 및 인허가 지연 등으로 전체 10개 중 5개 사업이 아직 첫 삽도 뜨지 못했다.
올해 말 완공으로 올림픽 특수를 노렸던 도로서는 사실상 반쪽 효과만 기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동계특구는 강릉과 평창, 정선 등 올림픽 개최지역을 중심으로 호텔, 콘도, 빌라 및 체험시설 등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는 사업이다. 대회 기간 숙박난 해소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총 15개 사업으로 민자 2조7,119억원이 투입된다.
이 중 4,300실 규모의 10개 사업(1조3,986억원)은 올해 말 준공이 목표다.
현재 트윈비치 경포호텔(534실), 강문해변 복합리조트(1,091실), SM호텔(350실), 알파인 경기장 대체숙소(204실), 가리왕산 호텔(107실) 등 5개 사업은 20% 내외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나머지 5개 사업은 착공조차 못 해 올해 내 완공은 어려워졌다.
차이나 드림시티는 지난해 인허가를 모두 완료했지만 국내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뚜렷한 이유 없이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경포 올림픽카운티, 로터스호텔&리조트 사업은 빠르면 5월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릉시는 공사기간이 부족한 차이나 드림시티, 로터스호텔&리조트, 경포 올림픽카운티호텔은 부분 준공을 통해 올림픽 기간 숙박시설로 임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대관령 하늘목장과 삼양목장 등 2개 특구는 국회 계류 중인 규제프리존 특별법 통과 여부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
도 관계자는 “특구는 일반 관광객 대상사업으로 올림픽과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며 “조속한 착공을 위해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강원일보
강릉 사임당 부동산
강릉부동산, 이제 부동산 전문가에게 믿고 맡겨 주십시요.
강릉시 아파트/토지/상가/주택/원룸 매매, 전월세 중개 전문
사임당부동산 (강릉시 교동택지내)
강릉시 교동광장로 145 성심빌딩 1층 제2호 / 대표 : 이상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