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桂冠(월계관)
한(漢) 무제(武帝) 때의 일화에서 비롯된 ‘절계(折桂)’라는 단어는 극선(郤詵)이라는 인물이 조정에서 인재를 뽑을 때 선발돼 자사(刺史)라는 벼슬까지 잇따라 오르자 무제가 묻는다. “그대는 스스로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극선이라는 사람은 “계수나무 숲 속의 가지하나, 곤륜산의 옥돌(桂林之一枝, 昆山之片玉)에 해당한다.”고 답한다.
그 후에 ‘계림의 가지를 꺾다’라는 뜻의 ‘절계’라는 단어가 과거(科擧) 등의 시험에서 1등으로 급제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자리를 잡는다. 그러니 우리들에게 계피(桂皮)를 제공하는 계수나무가 아니라. 차라리 월계수(月桂樹)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월계수는 우리의 동요에도 등장하지만 그 유래는 훨씬 오래다. 달에 있다는 궁전이 광한궁(廣寒宮), 그 앞의 나무가 월계수요, 아무리 도끼로 쳐내도 곧 자란다는 전설 속의 나무다.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달 속의 이 나무 이야기를 구전(口傳)으로 이어온다.
로럴(laurel)이라고 부르는 올림픽에 등장하는 월계수, 원래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아폴로와 관련이 있었던 나무, 그 나뭇잎과 가지를 한데 엮어 만들었던 월계관(月桂冠)은 고대 올림픽에서 마라톤 경기 등의 승자에게 씌어주었던 관(冠)으로 만들어진다.
이를 뜻하는 영어 단어 ‘laurel crown’이 ‘월계관’이라는 한자 단어로 번역되는 과정의 주역은 달 속의 광한궁과 월계수이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 이후로도 최고의 영예를 차지한 사람에게 달나라에서 월계를 꺾다. 라는 뜻의 ‘월궁절계(月宮折桂)’라는 표현을 써온 것이다.
서양의 그리스 전통이 동양으로 소개될 때 그 번역자들이 중국의 월계수를 사용해 ‘로럴 크라운 = 월계관’으로 옮겼을 것이다. 중국은 이렇게 서양의 문명을 그대로 번역해 낼 수 있는 나라다.
그러나 중국이 개최한 이번 광주 아시안게임, 그 찬란한 문명 속에서 뽑아 올린 압축적인 콘텐트가 눈에 띄지 않아서다. 대신 거의 몸매를 드러낸 듯한 원피스 차림의 도우미, 화려한 불꽃, 피아노 줄을 동원한 거창한 공연들, 물질적 과시는 있으나, 정신적 소구(訴求)는 보이지 않는구나. 중국인들의 마음속에 있다는 월계수, 이제는 저 멀리 사라진 것인가.
첫댓글 광저우에서 우리 젊은이들이 금메달을 딸 때 가슴이 뿌듯하더구마 ..
그대에게 月桂冠을 씌워주고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