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백뇨 나타나면
기억력 등 지능이 감퇴하는 이유
[그림] 혈액을 여과하는 신장 사구체가 상하면 단백질이 빠져 배뇨로 소실된다 이를 단백뇨라하며 단백질 중 알부민이 배뇨되는 것을 측정한다 알부민 뇨를 지닌 자는 뇌의 혈류 장애로 인한 치매증상이 동시에 진행된다
[그림] 뇌의 기억력 등 인지능력을 담당하는 곳에 혈류량이 적어지면 기억력 및 인지능력이 감퇴된다. 알부민 뇨를 지닌 자는 뇌의 혈류 장애로 인한 치매증상이 동시에 진행된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자나 심장 질환자들에게
단백뇨가 나타나면
단백뇨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억력 등 인지 능력이 비례하여 감퇴한다
[그림] 사구체를 지나는 혈류량은 혈압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도 혈압에 상관 없이 항상 일정한 양의 혈류가 사구체를 통과한다 그러나 단백뇨를 지닌자는 혈류량이 일정치 못하고 사구체의 Podocyte 라고 하는 단백질 조절 막이 상하여 단백질이 빠저나가게 된다
[그림] 심장이나 다른 조직과는 달리 뇌와 사구체는 동일한 혈류 조절 메커니즘을 지닌다.신장에서 만들어지는 Angiotensin은 신장에서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뇌에서는 기억 등 인지능력을 감퇴하는 작용을 한다
이유 인즉
단백뇨를 유발하는 병태 과정과
치매를 유발하는 병태 과정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림] 뇌의 기억 인지 능력 저하여부나 혈류 장애여부는 뇌의 백질 부위를 MRI로 촬영해보면 알 수 있다
이는 미국 워싱턴 의대(Seattle)를 비롯하여
독일, 캐나다, 벨기에, 호주 등 5개국 연구팀의 연구 결과이며
미국 의사회 내과 학회지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것이다
[그림] 오른쪽은 단백뇨를 일으키고 있는 사구체이며 단백질이 빠져 나가지 않게 해 주는 Podocyte 가 모조리 망가져 있다 왼쪽은 술잔처럼 생긴 Podocyte 가 완전하게 배열되있다
[그림] 왼쪽은 Podocyte 가 완전한 상태를 유지, 오른쪽은 Podocyte 가 모조리 침몰한 상태이고 그 사이로 딘백질이 빠져 나간다
15%~33% 가 알부민 뇨 환자
당뇨병이나 혈관 질환을 지닌 고혈압 환자
28,384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아래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16%의 환자가 알부민뇨를 지닌 자들이었다
60세~80세의 일반 미국인 들의 경우는
알부민 뇨의 발생 빈도는 14.9%~32.7% 이다
[그림] 알부민 뇨 증가에 비례하여 인지능력 3점이상 저하되는 환자 증가
알부민 뇨 증가에 비례하여
기억력 등 인지능력 감퇴
임상 기간 5개월 기간 중
알부민 뇨를 새로히 지니게 된 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인지 능력이 매우 감퇴된 자들이
1.77배나 많았다
위 표에서와 같이
알부민뇨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인지 능력 감퇴자가 증가했다
알부민 뇨 개선되면
인지능력은 다시 향상
본 임상에서
ARB제제나 ACEI제를 복용하는 56개월 동안
11.1%의 환자는 알부빈 뇨가 더 악화 되었고
5.9% 의 환자는 알부빈 뇨가 개선되었다
알부민 뇨가 개선 된 자들은
임상 초기의 인지능력점수가 더욱 개선되었고
알부민 뇨가 악화된 자들은
임상 초기의 인지능력 점수가 더욱 악화되었다
[그림] 조직마다 혈류 조절 생리가 다르다 그러나 신장과 뇌에서의 혈류 조절 작용은 동일한 메커니즘에 의해 진행된다
이 같은 알부민 개선은
ARB 와 같은 항압제의 효과 때문이다
[그림] 뇌신경에서 Angiotensin-4 수용체가 자극을 받으면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음이 발표되고 있다 Anigotensin 작용을 억제하는 ARB등의 기억 보호 작용은 알려진 사실이다
ARB나 ACEI 제제는
혈압을 내리는 작용 이외에
신장기능 보호작용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인지기능 보호작용도 종종 발표된 바 있다
알부민 뇨 발생하면
인지능력도 함께 감퇴한다
신장의 사구체를 통과하는 혈관의 혈류량은
혈압이 높던 낮던 일정한 량이 통과한다
이는 혈관의 자동 조절 기능(Autoregulation)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자동 조절 기능은
심장에서의 자동 조절기능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다
즉 조직마다 혈류량 조절 기능은 다르다
[그림] 신장 사구체 혈류와 뇌의 미세 혈류는 동일한 조절 작용이 지배하고 있다 지방산인 Arachidon산에서 EET가 만들어지면 혈관이 확장된다. Arachidon산에서 HETE가 만들지면 혈관이 수축한다. 혈류를 일정하게 흐르게 하는 자동조절작용은 이 두 물질의 리듬적 작용에 의존한다
그러나 신장 사구체 혈류와
뇌의 미세 혈류는
동일한 조절 작용이 지배하고 있다
이 혈류 조절 작용이 장애를 일으키면
혈관 주위에 유해 산소가 증가하면서 조직이 파괴된다
[그림] 혈류가 감소하면 유해 산소가 증가하여 사구체의 Podocyte를 망가뜨린다. 해서 단백뇨가 발생한다
해서 사구체의 알부민 조절 막(Podocyte)이 망가지면서
알부민이 과도하게 배출된다
[그림] D: 정상인의 뇌 A: 당뇨병자의 뇌( 협착해짐) C: 뇌혈류가 감소 F : 뇌혈류 증가 상태
마찬가지로
기억 등을 담당하는 뇌의 회백질 부분에서
미세 혈류가 장애를 받으면 인지 능력이 감퇴한다
알부민 뇨 증가 자들의 뇌를 MRI로 촬영하면
회백질 부위가 장애를 받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치매증 예방의 길
현재 치매증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약은
모두가 치매증의 현 상태를
더 악화되지 않게 하는 약이다
그러나 일찍 투약 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치매증은 일찍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자, 당뇨병자, 심혈관 질환자들에게는
단백뇨를 검사하여
치매증을 미리 예방케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알부민 뇨 지닌 자의 특징
본 임상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알부민 뇨를 지닌 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근거] Arch Intern Med Vol. 171 No. 2, January 24, 2011 Albuminuria an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The ONTARGET/TRANSCEND Studies Joshua I. Barzilay, MD; Peggy Gao, MSc; Martin O’Donnell, MD, PhD; Johannes F. E. Mann, MD; Craig Anderson, MD, PhD; Robert Fagard, MD, PhD; Jeffrey Probstfield, MD; Gilles R. Dagenais, MD; Koon Teo, MD, PhD; Salim Yusuf, MD, DPhil; for the ONTARGET and TRANSCEND Investigators Kaiser Permanente of Georgia and Division of Endocrinology,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tlanta; Population Health Research Institut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Schwabing General Hospital, KfH Kidney Centre, Ludwig Maximilians University, Munchen, Germany n); George Institute of International Health, Sydney, Australia ;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Rehabilitation Unit, KU Leuven University, Leuven, Belgium ; Clinical Trials Service Unit,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Institut Universitaire de Cardiologie et Pneumologie de Quebec, Quebec City, Quebec, Canada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