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대학서열은? :서연고
■1위↙서울대↘■-자주관악(Veritas lux mea)

-현재인풋:★★★★★
-전통:★★★★★
-사회인식:★★★★★
-재정:★★★★★
말이 필요없는 최고의 대학
■2위↙연세대↘■-통일연세(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경영,경제,신방.인문,정치외교(외교관)에서 고려대보다 우위
■3위↙고려대↘■-민족고대(자유 정의 진리)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법,행정,정치외교(정치인)에서 연세대보다 우위
■4위↙서강대↘■-청년서강(서강 그대의 자랑이듯, 그대 서강의 자랑이어라)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경영,경제은 독보적으로 연고대에 이은 4위..경제인과 기업인이 많은 대학..
금융계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절대적인 숫자에서의 아웃풋으로 보면 성균관대에 뒤지지만 효율을 따졌을때는 소수정예의 서강대가 더 알차보임
영문,신방과도 전통있는 과..인풋에서 성균관대에 다소 우위
■5위↙성균관대↘■-민족성대(인 의 예 지)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연고대 다음으로 아웃풋이 좋은 대학..전통적으로 법,행정이 강세인 대학
70,80년대 서울대 법대 떨어지고 갔던 후기명문대학으로서 많은 과들이 연고대보다 인풋이 높았던 적이 있었음
문과는 원래 강세였으며 90년대 말 삼성재단이 들어오면서 의학.이공계가 함께 발전한 대학
고위공무원도 많고 사법시험도 2000년 이후에 서연고 다음으로 항상 4위에 랭크 될만큼
행정과 법이 전통적으로 강세인 대학
■6위↙이화여대↘■-해방이화(진 선 미)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이화여대는 전통의 명문사학이다.
90년대 중반까지 서울-연세-이화여대 순으로 인풋이 높았고 아웃풋에서도 엄청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각종고시에서도 5강안에 들어가 있으며 사회 각계각층에서 고루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사회인식에서도 굉장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최고의 신부감으로 꼽힌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오면서 여대에 대한 매력이 사라지고 폐미양성소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된만큼 젊은사람들에게 있어
안좋은 인식도 한편 가지게 하고 있다
최근 인풋이 많이 떨어졌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대학이며 연고대 아니면 여자는 최우선으로 이화여대를 가려고 하는 풍토가 아직 남아있어서 여전히 인기가 높다
초등교육학과등 사범대에 인기가 높으며 법,언론이나 인문쪽에서도 상당한 강세를 보이는 대학이다
■7위↙한양대↘■-애국한양(사랑의 실천)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공대가 유명한 대학..문과로서는 아직 사회전반적으로 인지도가 많이 없음. 한양대가 2000년 이전에 성균관대 보다 사시합격자수가 더 많이 나올때가 있었던적이 있을만큼 법대는 원래 강세였던 대학
전체적으로 문과가 많이 약해서 90년대 말 경영대학을 집중 육성하고/2000년대 초에 사범대학을 신설하면서 문과대학으로서 어느정도 틀이 잡혀진 대학
한양대출신의 CEO들과 사회저명인사들의 대부분은 한양공대 출신
사법시험에서 이화여대와 치열하게 5위를 다투고 있고 최근엔 국책은행에 1~2명씩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05년도에 훌리들에 의해 만들어진 서성한의 카르텔로 성균관대와 함께 있지만
사실 성균관대에 비해서는 문과는 많이 약한편.
최근 법대가 없어지면서 정책금융학과등 꽤 매력적인 학과를 신설하려는 시도가 돋보임
한양대 내에서도 현재 문과를 육성하려는 많은 정책과 비전들이 나오고 있음
성균관 문과/한양대 이공계의 파워는 정말 가공할만한 아웃풋을 가지고 있다
■8위↙한국외국어대학교↘■-애국외대(진리 평화 창조)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성균관대와 함께 후기명문대학으로 몇몇과들은 연고대 중상위권과와 비슷한 인풋을 가졌던 적이 있었음
90년대 후반까지는 성균관대와 비슷한 인풋을 유지하다가 2000년대 초반에 들어오면서 유학이 활성화되고
어학을 배울 기회가 많아지면서 희소가치가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함께 인풋도 하락한 대학
외대라는 학교특성상 어문계,무역,정치외교가 특성화 되어서 외무고시,국정원,무역공사등에서 서울대와 아웃풋을 겨루는 대학
언론계에서도 강세인 대학
하지만 중앙,경희대와 같이 사법시험에서 서울 사립대학인 성균관,한양대보다도 한참 떨어져서 법조계 아웃풋이 많이 떨어지는편.과거 잘나갔던 대학이라 아웃풋과 사회전반적인 인식은 높지만
좁은캠퍼스와 공대가 굉장히 약하고 의치한등이 없어서 다른 서울소재 사립대학과 경쟁하는데 힘에 부쳐보인다
■9위↙중앙대↘■-의혈중앙(의에 죽고 참에 살자)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항상 서울에서 중위권을 유지해온 대학이다.문과보다는 이공계가 전통적으로 강한 대학으로서
90년대 중반까지 경희대와 인풋은 비슷했지만 98년에 재단이 부도가 나면서 인풋이 동국대 수준까지 하락하면서
최근까지 언사외 전형을 채택했던 대학이다
전통적으로 광고홍보과는 중앙대의 간판이며 많은 광고인을 배출하고 있다
90년대 초반부터 신방과를 집중 육성하면서 많은 방송인을 배출하고 있는 대학으로서
중앙대 예술쪽 선배들이 많으며 언론계에서는 5강안에 드는 학교이다.
경희,외대,시립대와는 달리 이공계와 예술쪽도 균형있게 발전해있어
종합대학의 가치로 보면 한양대 다음의 사학이라고 할수 있다 .이번에 두산 재단이 들어오면서 의대와 이공계가 발전할것으로 보이며 중앙대 제 3캠퍼스인 하남캠퍼스가 어느정도의 역할을 할지도 관건으로 보인다
사법시험 합격자 배출숫자는 경희>중앙=외대=서강>시립정도이며
경영학과 현재인풋은 중앙>=외대=시립>=경희 정도로
중경외시의 법학/경영은 다들 고만고만 하다고 할수 있다
■10위↙서울시립대↘■-민중시대(진리 창조 봉사)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이미지보다 내실이 괜찮은 대학이다
IMF때문에 떳다는 애기는 근거없는 애기로서
90년대 초에도 상당히 인풋이 괜찮은 대학이였지만 지금처럼 인지도도 없어서 저평가 된 대학이였다
세무,도시행정,행정은 서울시립대의 빅3로서 연고대 중위권과와 맞짱떠도 손색이 없을만큼 특성화도 나름 잘 이룬 대학이다
등록금이 싸서 인기가 괜찮지만
반면에 싼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있는 만큼 학교가 좀 칙칙해보이고 인지도나 이미지가 아직은 명확하게 잡혀 있는 않은 대학이다
사회아웃풋에서는 아직은 많이 약한것이 단점이며 세무사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대학이다
■11위↙경희대↘■-자주경희(학원의 민주화 사상의 민주화 생활의 민주화)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캠퍼스가 아름다운 대학이다
예전에 경희대가 약하지 않았었는데 다소 과소평가 하는 사람들이 많다
문과 간판이 경희대는 없는 만큼 문과 간판을 만들필요가 있다
요즘 사법고시나 회계사쪽에서 중경외시학교중에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학교이며
원서를 쓰기전의 고등학생들에게 인기가 높다
연예인들도 많고 홍보도 잘 된만큼 인지도도 상당하다
하지만 이름에서 나오는 동종학교보다 싼티나는 학교의 사회전반적인 인식은 빨리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
관광학부는 문과의 간판이며 최근엔 회계세무학과와 언론정보학과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학과들이다
방송인들을 많이 배출하고 있으며 언론계에서도 신흥강호로 떠오르고 있다
종합대학으로서 굉장히 매력적인 대학이지만 외대,시립대와 마찬가지로 이공계가 다소 약해서 아쉬움이 좀 남는 대학이다
■12위↙건국대↘■-민족건대(誠 信 義)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건국대는 부동산학과가 특성화한 대학인만큼 감정평가사에서 그나마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재단의 과감한 투자로 서울 소재 상위사립대와 함께 막차로 로스쿨을 유치한 대학으로 무궁한 발전을 꾀하고 있다
동국,단국대와 함께 3국대라는 꼬리표는 건국대에게 큰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다
3국대라는 이미지를 개선하는것이 최우선이며 최근의 현황을 보면 고시와 사회전반적인 아웃풋에서 3국대에서 수장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13위↙동국대↘■-민족동대(섭심, 신실, 자애, 도세)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동국대는 전통적으로 3국대의 수장이였다
불교대학으로서 재단이 튼튼한 편이며
과거 60년대가 동국대의 르네상스인 시기인만큼 사회저명인사들의 숫자는 3국대에서 단연 독보인다
하지만 로스쿨유치의 실패와 지난 참여정부 시절의 신정아게이트등 많은 악재들이 겹치면서 건국대에게 힘이 다소 부쳐보이는 모습이다
경찰행정학과는 동국대의 전통적인 간판과이고 아웃풋 역시 독보적이라 할수 있다
중앙대와 같이 동국대 연극영화가 출신의 연예인들과 예술인들도 많아서 방송인이 꽤 많은 대학이다
■14위↙홍익대↘■-단결홍익(자주 창조 협동)

-현재인풋:★★
-과거인풋:★☆
-사회인식:☆
-재정:★★★
홍익대는 미대와 건축공학이 유명한 대학이고
문과에서는 사범대학이 간판인 대학이다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가나다라군에서 라군에 유일하게 홍익대가 배정되면서
인풋이 상당히 쎘던 대학이다
9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건국,동국대보다 인풋에서 우위에 있는 대학이였지만
동국대와 함께 최근 로스쿨의 유치실패와 미대가 워낙 유명한 학교여서 다소 문과는 묻히고 있고
문과대학으로서는 아직 정체성이 잡히지 않은 대학이지만
신촌자락에 연대,이대와 함께 자리잡고 있는 만큼 지리적으로는 매력적인 대학이다
첫댓글 서울대가 재정이 별네개? 교육부 국립대 예산 90% 쓰는 놈들이?ㅋㅋㅋㅋㅋㅋㅋㅋ
상당히 예리하고 객관적인 평가네요...앞으로 중원의 강자가 누가 될 것인가 중원의혈투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