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의 시상 부분의 미세구조 감소가 조현병의 원인과 관련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주수 연구팀(1저자 조강익 연구원)은 조현병 초기 환자들의 자기공명영상(MRI)을 분석한 결과 뇌의 시상 미세구조 감소가 질병과 관련이 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시상'은 뇌의 여러 부위를 연결하고 조절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조현병에서 시상의 용적이나 다른 부위와의 연결성 감소는 꾸준히 보고됐었지만, 시상 내부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것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진바 없었다.
연구팀은 발병 1년 미만의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최신 MRI 촬영기법을 적용해 시상 핵들의 미세구조를 나타내는 확산 첨도를 계산하고 정상대조군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초기 조현병 환자들의 시상에서 미세구조가 감소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완와전두피질과 높은 연결을 보이는 시상의 '등쪽안쪽핵'과 측두엽과 높은 연결을 보이는 시상의 '베개혁'의 확산첨도가 8~9%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미세구조 감소를 보인 시상 부위는 피질과의 연결에 중요한 핵들로 밝혀져 있다.
뇌세포 미세구조는 뇌가 발달할수록 복잡해지는데, 이들의 감소는 뇌세포 간 신경전달 능력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연구에서는 시상의 미세구조 감소가 심할수록 환자의 '공간 운용 기억'이 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대 조강익 연구원인 '이번 연구는 초기 조현병 환자들에서 시상 미세구조 감소가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낸 최초 결과이다'며 '이는 향후 MRI를 통한 조현병의 치료반응이나 질병 위험도를 예측 할 수 있는 생체지표로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 골혈압약 한 번 복용하면 못 끊는다? 끊을 땐 신중해야
혈압은 정상 범위보다 낮아도, 높아도 건강에 문제가 된다.
이는 곧 혈압을 잘 조절해야만 심뇌혈관 질환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꾸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고혈압을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기흉 치료에 앞장서고 있는 이대목동병원 순환기내과 편욱범 교수를 만나 고혈압 치료의 최신 동향등을 들어본다.
Q. 지난해 미국에서 고혈압 진단 기준이 130/80mmgh로 강화됐지만, 대한고혈압학회는 고혈압 기준을 140/90mmgh로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같이 결정한 이유는?
A. 최근 대한고혈압학회는 '2018 고혈압 진료지침'을 발표하면서 기존 진료 지침은 유지하되, 심혈관질환 고위험군 또는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환자의 목표 혈압은 '130/80mmgh로 강화 했다.
또 혈압 이상의 혈압에 대한 위험성을 강조했다.
구체적인 혈압 분류를 살펴보면, 정상혈압은 120/80mmgh 미만으로 정의했고 △주의혈압은 120~129/80mmgh미만 △고혈압 전단계는 수축기 혈압 130~139mmgh 또는 이완기혈압 80~89mmgh △고혈압 1기는 140~150/90~99mmgh △2기는 160/100mmgh 이상 △수축기 단독 고혈압은 140mmgh 이상/90mmgh미만으로 제시했다.
정상혈압과 고혈압 사이에 있는 속하는 이른바 '중간 혈압'인 사람들은 향후 고혈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중간 혈압에 해당하는 경우도 혈압을 낮춰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자 한다.
아직 주의혈압과 고혈압 전단계에서 항고혈압제의 효과가 증명되지 않았지만, 생활습관 교정을 진행한다면 향후 항고혈압제를 쓰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Q. 고혈압 약은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나?
A. 고혈압 약을 끊게 되면 혈압이 다시 상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정상혈압을 유지한다면 환자와 의사가 상의해 약을 줄이거나 끊어 볼 수도 있다.
만약 약 복용을 중단하게 된다면 자신의 혈압 관리에 소홀하면 안 되고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으면서 자신의 혈압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고혈압의 관리 목적이 약제를 끊는 것이 아니라 혈압을 목표혈압으로 관리해 심장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므로 이런 목적에 불리하다면 약제를 끊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Q. 고혈압은 여름이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여름에 고혈압 환자가 조심해야 할 사항은?
A. 폭염이 계속되면 혈액은 체온을 낮추기 위해 피부 아래 모세혈관으로 집중되는데, 이럴 경우 표면의 순환 혈액량을 늘리기 위해 맥박이 빨라지는 등 심장에 무리 가 갈 수 있다.
또 체내 혈액이 피부 쪽에 몰리다 보니, 장기나 근육에 더 많은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심장이 과부하 되며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더운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고혈압 환자들은 덥다고 찬물로 샤워를 하거나 몸이 뜨거운 상태에서 바로 에어컨 바람을 쐬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확장된 혈관이 찬바람을 맞으면 갑자기 수축돼 혈압이 급격히 상승한다. 뜨거운 온욕 역시 혈압을 오르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샤워는 미지근한 물로 하고 냉방기 사용 시 실내·외 온도 차이가 4~5도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격렬한 운동보다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다.
탈수는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 중의 하나이므로 야외 활동을 할 때는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Q. 국내외 고혈압 치료에 활용되고 있는 치료제 시장은 어디까지 발전했는지요?
A. 인구의 고령화, 비만 인구의 증가로 고혈압 치료제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외 제약사들도 이런한 현실에 맞춰 고혈압 치료제의 연구와 생산에 매진하고 있으며, 최근엔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편욱범 / 순환기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