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정보에서 발행하는 2004년도 표준적산에서 도장부분의 일위대가 수치가 많이
잘못되어 전화로 지적하였더니 잘못을 인정하고 엑셀파일로 수정한것을 보내왔습니다.
그러나 사전에 그런문제를 지적받아 고쳐놓은것 같은데도 틀린곳이 많이보입니다.
어디 그런식으로 틀린부분이 도장부분만 그럴까? 생각되는군요
도장부분 설계와 예산가를 표준적산을 보고 작성하게 되는데 정말 화 가 날정도로
참고할 부분이 없는걸 보게됩니다.
조합페인트에 대해서는 바탕의 종류에 따라~ 도장 횟수에 따라~ 몇페이지가 되도록
수록을 하고는 시대의흐름과 필요에따라 다양해진 페인트에 대해서 철저한 시장조사와
함께 일위대가 가격을 산정하여야 하는데 몇십년전 만들어놓은 지극히 제한된 몇가지
페인트제품에 대해서만 그때그때의 가격상승율만 고쳐놓는 정도로만 적산책을 인쇄 발행
하고 있는것같습니다.
건설교통부나,위탁을받고 건설관련자료를 조사분석하고 물가정보수집 관리하고있는
건설협회등에서 보다 구체적인 페인트,도장체계를 조사하고 현실적인 적산정보를 발행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야함에도 해마다 개선이 안되고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표준품셈부터 고쳐야할 부분이 많이있습니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있는데 표준품셈에 있는 자료들 역시 십수년전 것을 고치지않고
적용하는게 많으며, 다양한 페인트와 시공법이 많이있고 현장에서 활용하는데도
오래전 자료에서 물가 변동사항만 고치는정도로 하고있어 제대로 현실감있게 적용을
못하고있습니다.
관공서등에 견적이나 시공단가 설계를 할때는 이런 엉터리 품셈이나 적산책을 보고 하는게
지금의 현실이며 알면서도 형식적으로 유사한것을 적용하여 적산설계를 하는것에 너무나
익숙해져 있는것인지? 몰라서 그러는것인지?
이런 기초자료가 정확해야하고 충실해야만 우리의 건설현장에서 정확한 예산집계로
양질의 공사를 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상기의 표준적산으로 견적내실때 참고하시기바라며, 각분야의 전문가님들은
어느부분에서 잘못된점이 있는지? 어떠한 공법이나 자료를 추가로 올려야할지 관심을
가지고 관계기관에 문제제기를 할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