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당근꽃 특성 | |||||
꽃은 백색이며 꽃잎이 5매, 수술이 5개, 암술이 2개가 꽃 중심에 달리며 꽃은 작다. 화서는 다수의 작은 꽃이 모여 작은 꽃(小傘形)을 이루며 이것이 다시 모여 하나의 큰 꽃을(花傘)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복산형화서이다. 꽃은 엽액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되며 꽃에 따라서는 암꽃(웅성불임), 수꽃, 무성화가 있으며 개화부위에 따라서 불완전화의 출현에 차이가 있다. 당근에는 웅성불임주가 발견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F1 품종을 육성하는데 웅성불임형에는 꽃잎이 변형된 형태(petaloid type)와 수술이 퇴화된(Brown anther type) 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웅성불임성은 안정이 되었으나 매개곤충 문제로 채종량이 적은편이고 후자는 채종량은 많으나 고온 등 환경요인에 의하여 웅성불임성이 불완전한 경우도 있다. 추대경은 주축(主軸)에서 발생하여 정부에 화산(花傘)을 만든다. 측지는 주지에서 발생하여 측지가 나와서 그들의 정부(丁部)에도 각각 화산을 만든다. 측지에서도 정부 및 측지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하여 1차, 2차, 3차 측지가 생긴다. 개화순서는 우선 주지에서 시작하고 잇따라 1차, 2차, 3차 측지 순으로 개화한다. 주지에 착생되는 화서에는 3,000~4,000개의 작은 꽃이 1주일간에 걸쳐 핀다. 주지에서 발생된 제1차 측지에서도 개화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제2~4측지로 이어진다. 무정지에서는 한 포기에서 5~15만개의 꽃이 약 40일간에 걸쳐 피고 진다. 한 포기에서의 개화순서는 주지에서 먼저 피고, 그 다음 발생한 측지순서대로 제1, 제2, 제3측지 순서로 개화한다. 한꽃에서 개화하는 순서는 외측의 작은 꽃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차례로 내부로 개화가 진행된다. | |||||
첫댓글 앗 죄송 당근은 자웅동주가 아니라 완전화네요 완전화라서 곤충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가수정 할수있는거 아닌가요
충매화는 타가수분작물에 작용하는거 아닌가요!??그래서 시금치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