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거의 10년만에 처음으로 전년대비 3.1%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자연인구감소는 지속되어 사망자 수는 360,757명으로 전년대비 1.93% 증가했습니다.
우리나라의 평균연령은 45.3세로 베트남의 32.5세, 인도 28.7세에 비해 훨씬 높습니다.
출산율로 인구감소를 해결할 수 없다면 적극적인 이민정책도 인구문제 해결책이 아닐까요?
Korea's birthrate rebounds for 1st time in 9 years
한국의 출산율이 9년만에 처음으로 반등
By Kim Hyun-bin 김현빈 기자
Posted : 2025-01-03 16:43 Updated : 2025-01-03 17:46
Korea Times
Korea saw a rise in registered births in 2024 for the first time in nearly a decade, suggesting a possible shift in the nation's demographic tre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nounced on Friday that 242,334 births were registered last year, reflecting a 3.1 percent increase from 2023 and breaking an eight-year streak of continuous declines.
한국은 2024년에 거의 10년 만에 처음으로 출생아 등록이 증가해 인구 추세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출생아 등록 건수가 242,334건으로 2023년 대비 3.1% 증가했으며 8년 연속 감소세를 깼다는 것을 반영했다고 금요일 발표했다.
“While our population has been decreasing for five consecutive years, the increase in registered births for the first time in nine years is a positive sign,” said Kim Min-jae, deputy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To sustain this reversal in birth trends, it is essential for relevant agencies to collaborate on improving childcare conditions and devising multifaceted support measures.”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우리 인구가 5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9년 만에 출생신고자가 증가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라며 "이러한 출산추세 반전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관계 기관이 보육여건 개선과 다각적인 지원방안 마련에 협력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In 2024, male births (123,923) outnumbered female births (118,411) by 5,512. However, despite the increase in births, natural population decline persisted, as deaths rose to 360,757, marking a 1.93 percent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resulting population decrease slightly narrowed to 118,423, compared to 118,881 in 2023.
2024년 남성 출생자 수(123,923명)는 여성 출생자 수(118,411명)보다 5,512명 더 많았다. 그러나 출생자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연 인구 감소는 지속되어 사망자 수는 360,757명으로 전년대비 1.93% 증가했다. 이에 따른 인구 감소폭은 11 8,423명으로 2023년의 11 8,881명에 비해 소폭 축소되었다.
Korea’s total registered population reached 51.21 million in 2024, marking the fifth consecutive year of decline. Women (25.71 million) continued to outnumber men (25.49 million) by 220,573, with the gender gap steadily widening since 2015. The average age of the population rose to 45.3 years, highlighting the country’s ongoing demographic shift toward an aging society.
한국의 총 등록 인구는 2024년 5,121만 명으로 5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여성(2,571만명)은 남성(2,549만명)보다 22만 5,573명 더 많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2015년 이후 성별격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인구 평균연령은 45.3세로 상승하여 고령화 사회로의 인구 이동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in Korea was individuals in their 50s, who made up 17 percent, followed by those in their 60s (15.27 percent) and 40s (15.08 percent). In contrast, children under 10 represented only 6.13 percent of the population. The elderly population (65 years and older) increased by 5.41 percent, reaching 10.25 million, nearly double the youth population (0–14 years), which declined by 3.52 percent to 5.46 million. The working-age population (15–64 years) also saw a decrease of 1.21 percent, dropping to 35.49 million.
국내인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사람은 50대로 17%를 차지했고, 60대(15.27%)와 40대(15.08%)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10세 미만 아동은 전체 인구의 6.13%에 불과했다. 노인 인구(65세 이상)는 5.41% 증가하여 청년 인구(0~14세)의 거의 두배인 1,025만 명에 달했고, 546만 명으로 3.52%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도 1.21% 감소하여 3,549만 명으로 감소했다.
By proportion, the elderly accounted for 20.03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surpassing the youth population, which stood at 10.67 percent. The working-age group remained the largest at 69.30 percent, but its ongoing decline underscores growing challeng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비율별로 보면 노인은 전체인구의 20.03%를 차지하여 10.67%인 청년층을 앞질렀다. 생산연령층은 69.30%로 가장 큰 비중을 유지했지만, 지속적인 감소세는 경제 지속가능성에 대한 도전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Government officials acknowledge that while the rebound in births is promising, significant challenges remain. Policies to improve childcare support, reduce economic burdens on families, and encourage work-life balance are seen as crucial to reversing Korea’s declining fertility trend over the long term.
정부 관계자들은 출산율 반등이 유망하지만 상당한 도전 과제가 남아 있다고 인정한다. 육아지원을 개선하고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일과 삶의 균형을 장려하는 정책은 장기적으로 한국의 출산율 감소 추세를 반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Birthraterebound출산율반등 #Demographictrend인구추세 #Naturalpopulationdecline자연인구감소 Agingsociety고령화사회 #Working-agepopulation생산연령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