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12:1-20
여호와의 절기를 지킬지니라
내가 애굽 땅을 칠 때에 그 피가 너희의 거하는 집에 있어서 너희를 위하여 표적이 될지라 네가 피를 볼때에 너희를 넘어가리니 재앙이 너희에게 내려 멸하지 아니하리라 너희는 이 날을 기념하여 여호와의 절기를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에 지킬지니라 (13,14)
1.출애굽한 날도 해의 첫 달이 되게 하신 뜻이 무엇입니까?(1,2)
2.유월절 준비를 위해 어떤 양을 준비하라고 하셨읍니까?
왜 그런 양을 준비해야 합니까?
양을 잡은 후 고기와 피를 어떻게 하라고 하셨읍니까?
그 달은 무엇입니까?(3-10)
3.유월절 음식은 무엇입니까?
왜 그런 음식을 먹도록 하셨읍니까?
어떤 자세로 억으라고 하셨읍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이까?(8-11)
4.죽음이 왜 이스라엘의 집은 넘어갔습니까?(13)
5.유월절 절기를 왜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키도록 하셨읍니까?(14)
6.유월절 후 칠일간은 어떤 벌을 받읍니까?
무교절을 지키는 뜻은 무엇입니까?(15-20참고 고전 5:6-8)
7.유원절과 그리스도의 죽음은 어떤 관계가 있읍니까?
하나님의 진노가 우리를 지나 넘어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참고 요 1:29,고전 5:7)
8.본문에서 하나님의 구원의 경륜에 관한 진리를 찾아 보십시요.
바로의 고집이 무너지고 이스라엘에 출애굽할 날이 나가왔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구체적으로 출애굽을 준비시키셨읍니다.
그리고, 출애굽 전야에 준비한 그대로를 여호와의 절기를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에 지키라고 하셨습니다.
이 날이 유월절입이다. 유월절이란 하나님께서 애굽은 치셨으나 이스라엘 집의 문설주에 바른 어린 양의 피를 인하여 이스라엘은 넘어가신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유월절 어린 양의 피는 우리를 구원하신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1.너희는 유월절을 지키라(1-14)
하나님께서는 흠 없고 일년된 구컷의 어린 양을 준비하도록 하셨읍니다.
그리고 14일 해질 때에 양을 잡아 그 피를 문설주에 바르고 고기는 불에 구워 먹도록 했으며 남겨두지 말도록 하셨습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죽음의 사자가 애굽을 치실 때 그 피를 바른 이스라엘은 죽음을 부르지 않게 하시겠다고 하셨읍니다.
어린 양의 피는 죄 없으신 그리스도의 피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구원은 자기의 의지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마련하신 방법에 의해서만 되는 것입니다.
오직 어린 양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믿는 것입니다.
하나님꺼ㅔ서 죄로 이해 죽을 수 박에 없던 우리를 구원하신 것은 점없고 흠없는 어린 양같은 예수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인한 것입니다.(벧전 1;18,19)
하나님께서는 피를 문설주에 바를 뿐만 아니라 어린 양의 고기를 불어 구원 먹도록 하셨으니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받은 후에는 그의 남은 고난에 동참하면서 그와 함께 살아햐 함을 뜻하는 것입니다. (요 6:53-56)
하나님께서는 또 띠를 띠고 신을 신고, 지팡이를 짚고 먹으라고 지시하셨습니다. 신자들은 한 세상을 그럭저럭 아무렇게나 사는 자가 아니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사는 자요,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거룩한 나그네로서 순례자로서 사는 것입니다.
당신은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을 받았읍니까?
또한 어린 양의 고기로 그 날의 양식을 삼고 있습니까?
매일 기도하는 생활로 만바의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까?
2.너희는 무교절을 지키자(15-20)
하나님께서는 7일간을 누룩이 없는 무교병을 먹으라고 명하셨습니다.
그래서 각 집에서는 누룩 없이 하여야 하며 만일 무교절 규례를 어기느 자는 이스라엘에서 꿇쳐질 적이라고 경고하셨읍니다.
누룩은 부패, 죄악의 상징입니다. 구원받은 신자들은 죄악을 철저히 뿌리 뽑고 깨끗하고 온전한 신앙 생활을 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해방되는 달을 그해의 첫 달로 삼으라고 하셨읍니다.
죄에서 구속받은 날이 다시 태어날 날이요, 새삶이 시작되는 날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유월절과 무교절 규례를 정하시고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킬 것을 반복하여 지시하셨읍니다.(14.17)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잊어버리는 것이야말로 신앙의 병드는 가장 큰 원인입니다.
당신은 하나닌의 은혜를 늘 기역하고 감사하는 생활을 합니까?
찬송 405장
출처: 한국강해설교연구원 원문보기 글쓴이: 옥련지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