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2024. 2. 9 (금)
ㅇ날씨; 맑음.
ㅇ동행; 친구 한사람.
2. 교통
ㅇ갈때
*홍제역; 전철 4호선 이용 충무로역에서 전철 3호선으로 환승.
ㅇ올때
*서울역; 가좌역에서 경의중앙선 이용 공덕역에서 공항철도로 환승.
*서울역에서 전철 4호선 환승 귀가.
3. 진행경과
ㅇ오늘 서대문 이음길 북한산구간과 백련산 구간 그리고 홍제천길 일부를 걸었습니다.
북한산 구간은 "북한산 자락길"이라는 걷기 길로 부르고 있습니다.
ㅇ북한산 자락길은 무장애 데크길로 되어있어 누구나 걸을수 있는 편안한 길입니다.
ㅇ조망을 즐기기 위해 북한산 자락길이 북한산둘레길(옛성길)과 접속되는 탕춘대 암문 능선길로 올라
백련산 생태연결다리까지 변경, 진행하였습니다.
ㅇ진행코스
*홍제역-홍은4거리(유진상가 지하통로)-수변공원지압보도-홍은교-홍전교-홍은대교-포방교-옥천2교
-옥천암-보도교-무장애데크길-북한산둘레길 접속부-서울시우수조망명소-헬기장 전망암-운동시설
광장-생태연결다리-백련산전망대-백련근린공원-정상 팔각정자-운동시설봉-송신탑-백련사갈림길-
마을버스종점-백련사(왕복)-팔각정(백련사 매바위, 유아숲체험원 입구)-홍연약수-홍연초교-서대문
문화체육회관-홍제천-홍연2교-홍남교-연기교-사천교-가좌역.
ㅇ탐방거리
*gps 측정거리; 13.5km (아래 개념도 참조)
4. 白蓮山(215.5m)
1)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과 은평구 응암동에 걸쳐 있습니다.
2)명칭; 서대문구 홍은동에 있는백련사에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백련산은 鷹峰이라고도 불렸는데 조선시대 왕족들이 백련산 바위에서 매사냥을 즐겼다고 전해
집니다.
현재 매바위는 남아 있지 않으나 매바위라는 이름의 바위를 최근에 다시 지정하여 명명하였다고
합니다.
3)白蓮寺; 1200년 전통의 정토도량(한국불교 태고종)
ㅇ위치; 서울특별시 서댜문구 백련사길 170-43.
ㅇ건립; 신라 경덕왕 6년(747) 진표 율사가 창건.
고려시대까지 변천 내용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시대에 1399년(정종원년) 무학,
자초의 지시로 함허가 중창 하였고, 창건 당시 淨土寺라 하였는데 백련사로 개칭
하였습니다.
ㅇ1413년 조선조 2대 정종이 왕위를 태종에게 물려주고 난 뒤 요양차 이곳에 머무르기도
하였습니다.
ㅇ세조의 딸 의숙옹주가 20세에 남편을 잃고 비통함을 달래기 위해 돌아 다니다가 여기서
해동묵(엄나무)을 보고 인생의 참뜻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그후 의숙옹주의 원당으로 정하면서 이름을 백련사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ㅇ일설에 의하면 경복궁에서 볼때 서쪽에 있어 서방정토라 하였는데 어느 여름날 연못에서
갑자기 하얀 연꽃이 피어 올라 백련사로 명칭을 바꾸었다고 전하기도 합니다.
ㅇ선조때 임진왜란으로 소실 되었으나 바로 재건 하였고 그뒤 여러 차례 중창을 거듭 하였습
니다.
ㅇ보유 문화재
* 약사전 동종;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541호. 2022, 12. 8. 지정.
*북한산 자락길
ㅇ서대문구에 위치한 북한산 자락길은 노인 어린이 유아 임신부 장애인등 보행 약자도 산림욕을
즐기며 편하게 산책할수 있도록 조성된 경사가 완만한 숲길입니다.
특히 휠체어및 유모차도 이용할수 있도록 배려한 무장애 숲길구간 입니다.
A 구간 1.2km.
B 구간 1.5km.
C 구간 1.8km.
홍제천 산책길 1.5km.
*산골마을
*弘濟川
1)북한산 문수봉 보현봉 형제봉에서 발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대문구 마포구의 일부 또는 전 지역을
포함해 흐르다가 한강에 합류하는지방 하천입니다.
한강 제1지류로서 1974년 지방 2급 하천으로 지정 되었습니다.
2)명칭; 조선시대 하천 연안에 중국 사신이나 관리가 묵었던 홍제원이 있어 "홍제원천"이라고도 하며
하천 본류애 모래가 많아 물이 모래 밑으로 스며들어 흘렀기에 "모래내" 또는 "沙川"으로도
불렀습니다.
3)하천길이; 11.95km.
유로연장; 13.92km.
유로면적; 59만 7,500㎡.
유역면적; 50,80㎢.
평균넓이; 50m.
4)1999년 천 위로 내부순환고속도로가 건설 되었습니다.
5. 풍광 사진
1)홍제역-옥천암 구간의 풍광
▲홍은 4거리 유진상가 아래 하천 복개 구간 통로
▲홍제천 수변 공원 지압 보도
▲포방교 옆의 쌍 정자
▲옥천암 입구 풍경
▲이상, 옥천암 보물 1820호; 마애보살 좌상 ("불암" 또는 "보도각 백불"이라고도 함)
2)무장애 데크길 시점-북한산 둘레길 접속지점 구간
▲이상, 무장애 데크 길
▲탕춘대 암문 능선 북한산 둘레길 접속 갈림 길 쉼터(우측으로 40m 계단길 위에서 능선 합류)
3)북한산 둘레길 접속부(탕춘대성 암문능선)-서울시 산정 우수 조망 명소 구간의 풍광
▲능선 전망대에서 우측 보현봉부터 대남문 문수봉 나한봉 사모바위 비봉 능선
▲조망명소 가는 길
▲수리봉(족두리봉) 줌인
▲향로봉 줌인
▲향로봉 비봉 조망, 가운데 관봉도.
▲왼쪽 향로봉부터 보현봉까지 파노러마.
▲등로의 거암
4)능선 헬기장 전망암-운동시설 광장 구간의 풍광
▲헬기장 전망 암.
▲역광속의 인왕산 조망, 가운데 낮은 부분이 인왕산
▲안산 조망, 우측 끝에 아주 흐리게 여의도 63 타워가 있다
▲좌 인왕산 우 안산 가운데 뒤 멀리 남산은 안 보인다.
▲서쪽 방향 전망암.
▲가야 할 진행 방향 능선길 조망
▲건너편 백련산 전망대 조망(가운데 흰 아파트 우측)
▲이 길 우측 아래 쪽으로 북한산 자락길이 이어 진다.
5)생태연결 다리 갈림-정상 팔각정자 구간의 풍광
▲이상, 통일로 횡단 생태연결다리 가는 길
▲이상, 건너기 전 후의 생태연결 다리 모습
▲백련산 전망대를 오르며 건너편 조망.
▲백련산 전망대 오름 데크 길
▲백련산 전망대에서 보현봉-수리봉 구간 비봉 능선 파노라마 조망
▲인왕산 안산 사이로 남 산 타워 조망
▲안산 조망
▲형제봉 조망
▲건너편애서 바라 보았던 백련산 전망대 정자.
▲백련산 정상 팔각 정자
▲가운데 사패산 왼쪽 뒤로 희미하게 노고산이 보인다.
6)송신탑-마을버스 종점 구간의 풍광
▲백련사 뒷 봉우리의 방송국 송산탑
▲이상, 송산 탑 봉에서 백련사 가는 길 숲길
7)백련사-사천교 구간의 풍광
▲백련사 일주문
▲무량수전
▲팔각정 옆의 백련산 매바위, 유아숲체험장 입구.
▲등로및 유아숲 체험장 입구의 팔각정.
▲홍제천의 마지막 갈대
▲홍제천 위의 순환고속도로와 물길 양편의 걷기 길
8)트랭글 궤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