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베트남 벽형 에어컨 시장현황 | |||||||||||||||||||||||||||||||||||||||||||||||||||||||||||||||||||||||||||||||||||||||||||||||||||||||||||||||||||||||||||||||||||||||||||||||||||||||||||||||||||||||||||||||||||||||||||||||||||||||||||||||||||||||||||||||||||||||||||||||||||||
---|---|---|---|---|---|---|---|---|---|---|---|---|---|---|---|---|---|---|---|---|---|---|---|---|---|---|---|---|---|---|---|---|---|---|---|---|---|---|---|---|---|---|---|---|---|---|---|---|---|---|---|---|---|---|---|---|---|---|---|---|---|---|---|---|---|---|---|---|---|---|---|---|---|---|---|---|---|---|---|---|---|---|---|---|---|---|---|---|---|---|---|---|---|---|---|---|---|---|---|---|---|---|---|---|---|---|---|---|---|---|---|---|---|---|---|---|---|---|---|---|---|---|---|---|---|---|---|---|---|---|---|---|---|---|---|---|---|---|---|---|---|---|---|---|---|---|---|---|---|---|---|---|---|---|---|---|---|---|---|---|---|---|---|---|---|---|---|---|---|---|---|---|---|---|---|---|---|---|---|---|---|---|---|---|---|---|---|---|---|---|---|---|---|---|---|---|---|---|---|---|---|---|---|---|---|---|---|---|---|---|---|---|---|---|---|---|---|---|---|---|---|---|---|---|---|---|---|---|---|---|---|---|---|---|---|---|---|---|---|---|---|---|---|---|---|---|
게시일 | 2015-02-02 | 국가 | 베트남 | 작성자 | 정상현(하노이무역관) | |||||||||||||||||||||||||||||||||||||||||||||||||||||||||||||||||||||||||||||||||||||||||||||||||||||||||||||||||||||||||||||||||||||||||||||||||||||||||||||||||||||||||||||||||||||||||||||||||||||||||||||||||||||||||||||||||||||||||||||||||
품목 | 창형이나 벽형(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한정한다) | |||||||||||||||||||||||||||||||||||||||||||||||||||||||||||||||||||||||||||||||||||||||||||||||||||||||||||||||||||||||||||||||||||||||||||||||||||||||||||||||||||||||||||||||||||||||||||||||||||||||||||||||||||||||||||||||||||||||||||||||||||||
품목코드 | 841510 | |||||||||||||||||||||||||||||||||||||||||||||||||||||||||||||||||||||||||||||||||||||||||||||||||||||||||||||||||||||||||||||||||||||||||||||||||||||||||||||||||||||||||||||||||||||||||||||||||||||||||||||||||||||||||||||||||||||||||||||||||||||
-->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2008~2013년 베트남 주요 가전제품시장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크게 성장 - 베트남은 아직 주요 가전제품이 전국적으로 보편화되지 않았으며 실질소득이 증가하고 고소득층 중심의 고가 제품 거래가 증가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동남아시아 주요 시장의 자리를 유지할 전망
○ 베트남은 또한 낮은 인건비, 정치적인 안정, 전략적인 요충지라는 이점으로 인해 주요 가전제품 생산기지로써 많은 투자를 유치함. - 또한 2015년 AEC(Asean Economic Community)가 출범하게 되면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인근 동남아 국가와의 자유무역이 가능해져 더 많은 가전제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될 전망
○ 최근 중국, 캄보디아 등에서 불법으로 수입돼 판매되는 비공식적인 시장은 베트남의 에어컨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함. - 2012년 에어컨 시장은 저조한 성장률을 보였으나 경제가 회복되며 전기세에 대한 우려라는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에너지 효율성 이라는 기술혁신으로 다소 회복됨.
○ 벽형 분리형 에어컨은 가장 인기가 높은 제품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임. - 해당 제품은 용량이 다양하고 설치가 쉬워 2013년 베트남 가정 24%가 해당 에어컨을 보유함.
2011~2013년 베트남 에어컨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시장전망
○ 소비자 측면 - 한때는 베트남에서 에어컨은 부유층이 사용하는 사치품으로 여겨졌으나 시장의 변화와 함께 전문 업체 수의 증가로 에어컨의 단가가 낮아지고 생활수준이 개선돼 현재는 다소 보편화된 추세 - 2008~2013년 연간소득 2만5000달러 이상인 가정은 68%증가해 수요는 점차 늘어나고 아직 에어컨을 보유하지 않은 비도시 지역의 시장 가능성이 있음.
에어콘 소유가구 비율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International
○ 제품조사 -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관련 업체에서는 지속적으로 제품기술을 개발해 에어컨시장의 잠재력은 높게 나타남. -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는 전기세 또한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전제품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소비자는 에너지절약에 관심이 많아 에너지효율성 기술의 개발이 촉진됨. - 또한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으로 인해 공기청정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져 해당 기술 관련 기술 개발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 지역적 특성 - 베트남의 기후는 지역마다 다양해, 뜨거운 여름부터 추운 여름이 모두 존재함. - 특히 높은 여름 기온으로 인해 에어컨의 필요성은 높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주로 가정에서 해당 제품을 구매함.
○ 소비자 구매 패턴 - 가정용 에어컨은 주로 소매점에서 거래되며 대중매체, 입소문 마케팅, 소매점 직원 소개로 브랜드 홍보가 가능함.
□ 수입동향
○ ASEAN 국가의 낮은 관세 혜택으로 인해 제조업체 다수의 생산공장은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업체로는 Panasonic, Daikin, Mitsubishi가 있음.
○ 2012년의 경제 침체로 해당 해의 에어컨 수입은 다소 저조했으나 2013년 경제가 회복되며 수입 또한 회복세를 보임.
베트남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1510) (단위: 천달러, %)
주: 해당 자료는 2013년의 수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됨. 자료원: http://www.trade map.org/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내용 - 관세 규제, 비관세 규제 모두 존재하지 않음.
○ 필수 인증 - 원산지 증명서 - C/O - 선하 증권 - B/L - 상업 송장 - 포장 명세서 - P/L - 품질 증명서 - C/Q - 세관 신고서 - 거래 계약서
□ 관세율
자료원: Import-Export Tax Book 2014
□ 주요 유통채널
○ 제품은 보통 수입·제조업체에서 도매업체를 거쳐 소비자에게 판매되며 가전제품 전문 소매점 또한 해당 제품의 쥬요 유통 경로이며 인터넷을 통한 거래도 점차 증가함. - 인터넷을 통한 전자제품 판매는 아직 널리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브랜드 제품의 가격 비교가 용이하고 제품의 후기를 참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 거래의 잠재력은 높음. - 그러나 가전제품처럼 가격이 높은 제품은 여전히 직접 보고 만진 후 구매하고자 하는 베트남 소비자 심리로 인해 소비자은 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함.
3. 경쟁 동향
□ 경쟁 제품
○ 선풍기 시장 부문은 현지 제조업체가 우위를 차지하나 에어컨 부문에서는 LG, 삼성, Panasonic 등 해외 업체가 점유함. - LG와 Panasonic은 마케팅 전략과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고양시키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음. - 베트남 소비자는 대체로 일본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일본 브랜드의 가격이 다소 높음에도 불구하고 선호도가 더 높으나 한국 브랜드 또한 적절한 가격과 높은 품질로 인해 인기가 높은 편 - 2009년 베트남 시장에 진출한 중국업체인 Midea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업체로 에어컨 부문에서 2009년의 시장 점유율은 2%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4%로 두배가량 증가함, 2013년 전체 공기조절기 시장 의 13%를 점유함.
벽걸이형 에어콘 주요 경쟁제품 현황
자료원: www.nguyenkim.com/www.mediamart.vn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 브랜드 가전제품으로는 LG와 삼성이 인기가 높음. - 지난 5년간 LG 일렉트로닉스 베트남은 일본의 Panasonic과 함께 삼성보다 뛰어난 성과를 보임. - LG 일렉트로닉스 베트남과 삼성 브랜드 시장점유율은 3.1%와 1.8%로 각각 나타남. - 두 업체에서는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제품개발을 실시해 왔으며 공기 청정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음에 따라 두 업체 모두 공기 중의 H5N1 바이러스를 99.99%까지 제거할 수 있는 에어컨을 출시함.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고객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고객 특성 - 소비자는 구매 전 가격과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함. - 특히 장기적으로 전기세를 절약하기 위해서 에너지 효율성을 중시하며 인버터 기술을 선호함. -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은 교체주기가 긴 제품군으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에프터 서비스 또한 중요한 요소
□ 타깃 고객층 및 마케팅 방안
○ 전자 제품 및 가전제품 전문 소매상점과 유통업체가 주요 타깃 고객층
○ 마케팅 방안 - 해당 제품 제조업체는 유통업체와 소매상을 통해 베트남 시장에 진출할 수 있으며 도시지역 또한 에어컨의 보급률이 아직 낮은 편으로 전망 있는 시장임. - 베트남의 각지에서 제품판매가 가능하도록 현지 소매상을 적극 활용해, 현지 상인의 폭넓은 유통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좋음. - 또한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기 때문에 신제품 개발 및 에너지 효율성에 중점을 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 일반가정에서는 에어컨 가격이 여전히 다소 부담스럽게 여겨지기 때문에 소비자 유치를 위해서는 여름시즌을 중심으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좋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