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처구니
첫째,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왓지붕 위에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인형)들이 있는데 이를 '어처구니' 라고 합니다.
'어처구니 없다' 라는 말의 유래는 궁궐,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瓦匠)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경우 '어처구니없다' 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둘째, 어처구니는 맷돌의 손잡이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그 무거운 돌 두 짝을 포개어 놓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데, 손잡이가 없으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겠네요.
2. 시치미
전혀 모르는 일인 양 딴 청을 피우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시치미는 사냥에 쓰려고 길들인 매의 꽁지 깃털에 매달아 놓은 마름 모양의 뼈 조각을 가리키는 순 우리말입니다.
시치미에는 주인의 이름도 적혀 있었고, 길들인 사냥매는 '해동청' 이라고 하는 유명한 중국 수출품이어서 꽤 고가였습니다.
길들인 매라고 하지만 꽁지에 매달린 시치미만 똑 떼어버리면 야생매는 물론 남의 물건과도 구별할 길이 없습니다.
3. 꼽사리
청하지도 않은 사람이 슬며시 끼어들어올 때 '꼽사리끼지 말라' 고 합니다.
역마살, 도화살, 공방살하는 소리가 있습니다.
한 가지 살만 껴도 세상 살기가 어려운데 살이 곱으로 끼는 겁니다. 즉, '곱살이' 끼는 겁니다.
그래서 원치 않는 사람이 끼어들면 곱살이 끼지 말라고 합니다.
4. 팽개치다.
시끄러운 소리가 나도록 확 집어 던지는 걸 팽개친다고 합니다.
옛날에는 대나무나 싸리 가지 끝을 여러 갈래로 쪼개서 흙을 채워 넣고는 새들이 있는 쪽으로 힘껏 내동댕이칩니다.
후두둑하는 소리에 새들이 쫓겨가도록.
대나무나 싸리가지로 만든 그 도구의 이름이 바로 팡개입니다. '팡개' 치는 겁니다.
5. 뜬금없다.
조선시대 말단 벼슬 중에 '말감고' 라는 벼슬이 있었습니다.
말감고가 하는 일은 그날 그날 장에 나온 물건의 수요와 공급을 조사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사람이 기준가격을 공지해야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즉, 말감고가 그날 그날의 금(가격)을 띄워야(공지) 거래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가격을 '뜬(띄운) 금(가격)' 이라고 합니다.
'뜬금없다' 라는 말은 띄운 금이 없는, 곧 시세가 없는 황당한 경우를 이르는 말하며 지금은 갑작스럽거나 엉뚱한 경우를 뜻합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맷돌 손잡이는 어이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ㅎ 우리들이 자주쓰는 말들이
이렇게 깊은 유래가 있고, 뜻이 있는줄 몰랐네요~~
정말 뜬금없이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ㅎㅎ
감기조심하시고~~늘 좋은일만 가득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