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러 가능성에 기술 지원 등 관측
젤렌스키 '북한군 10만명까지 늘 수도'
우크라의 본토 타격에 러시아 보복 경고
국가정보원이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전체회의에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러시아의 공수여단과
해병대에 배속됐고, 일부는 전투에 참여했다'고 보고했다고 이성권 박성원 여야 간사가 밝혔다.
170mm 자주포 등 추가 무기 수출 정황도 파악됐으며, 전쟁 중에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거론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만간 러시아를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확전 기로에 섰다.
우크라이나가 전날 미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장거리미사일 에이태큼스(ATACMS)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하자
러시아는 '전쟁이 질적 변화를 했다'며 상응 조치를 경고했다.
국정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에 대해 '병사 1만1000명이 러시아 동북부에서 현지 적응 훈련을 마치고
10월 하순경에 쿠르스크로 이동 배치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된 병사들에 대해 '현재 러시아의 공수여단이라든지 해병대에 배속돼 전술 및
드론 대응 훈련을 받고 있고, 일부는 전투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북한군이 최전선에 참여한 만큼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구체적 사상자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러시아에 군수물자를 추가로 제공한 사실도 파악했다.
170mm 자주포와 240mm 방사포 등 장사정포를 추가로 수출한 것이다.
국정원은 '러시아가 기존에 사용하지 않는 무기체계인 만큼 교육 등을 위해 별도의 북한군이 힘께 파병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미 '공습 정보, 키이우서 대피'...바이든 '대인지뢰 공급' 금기 깨
러 '서방과의 전쟁, 새로운 단계'
나토 회원국에 보복 가능성 압박
미, 키이우 내 대사관 폐쇄 .대피령
미, 고기동성 포병 로켓시스템 포함
3800억원 신무기 우크라 지원 예고
트럼프 취임 두 달 앞 긴급 조치
북러 간 군사교류가 활발해질 수 있는 만큼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에서 어떤 무기, 장비, 기술을 받아올지
밀착해서 주시하겠다'고 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키이우인디펜던트 등에 따르면 이날 국경에서 약 130km 떨어진 러시아 브랸스크주로 에이태큼스
미사일 6기를 발사한 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우리는 자체 생산한 장거리 무인기(드론) 등은
물론 에이태큼스도 보유 중이고, 이 모든 것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더타임스는 우크라이나가 현재 보유 중인 에이테큼를 50기 정도로 추정했다.
사거리 약 300km의 에이태큼스는보다 더 멀리 쏠 수 있는 타우러스(사거리 500km)를 보유한 독일을 향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사일 제공을 또다시 촉구했다.
북한군 추가 파병 가능성도 언급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별도의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채 '러시아 파병 북한군이 (현재 1만1000명 정도에서) 10만 명까지
늘 수 있다'고 유럽의회 영상연설에서 말했다.
러시아는 보복을 다짐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부 장관은 '에이태큼스는 미군 참여없이 사용이 불가하다'며 '(에이태큼스의 러시아 공격은)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전쟁이 질적으로 새로운 단계로 접어드는 것으로 간주되고 우리는 그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응 보복 조치가 우크라이나 영토를 넘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으로 뻗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압박이었다.
미국은 키이우에 있는 대사관을 폐쇄하면서 '대규모 공습 가능성이 있다는 구체적 정보를 받았다.
대사관 직원들은 물론, 미국인들은 대피하라'고 말렸다.
러시아는 앞서 보복 범위를 넓힌 핵 교리 개정 승인에 이어 우크라이나의 에이태큼스 공격에 대한 보복도 예고했다.
개정된 내용의 핵심은 '비핵보유국이 핵보유국 지원하에 러시아를 공격하면 모두 핵 공격 대상으로 삼겠다'는 부분으로,
우크라이나(비핵보유국)를지원하는 미국.영국.프랑스 등을 염두에 뒀다는 해석이 비등하다.
퇴임을 두 달 앞 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의 문을 확 열어젖혔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인지뢰 공급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 지원에 부정적인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취임 전 우크라이나를 최대한 돕고자 진행하는
긴급 조치 중 하나라는 게 WP의 설명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6월 한반도 외 지역에서의 대인지뢰 사용을 전면 금지했는데 우크라이나 전선 방어용으로 지뢰를
공급한다면서 이 원칙을 깬 셈이다.
바이든 정부는 또 트럼프 당선자 취임 전 우크라이나에 최소 2억7500만 달러(약 3828억원) 규모의 신규 무기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고기동성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도 자원 목록에 들어 있다.
다만 미 뉴욕타임스(NYT)S는 미국 정부가 러시아의 핵 교리 개정 위협에 '하품하듯' 대응한다고 분석했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벼인은 브리핑에서 '(러시아 정부가) 새로 수정된 핵 교리 발표와 관련해 내놓은 발언에
불행히도 놀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지용.김소희 기자 베를린=신은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