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시간 반을 비행기 타고 스페인으로 날아간 날 오후 우리는 프라도 미술관으로 향했다.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에 있는 프라도 미술관은 스페인 왕실의 수집품인 12~19세기의 회화 8,000여점을 소장한 세계 3대 미술관 중의 하나이다. 방대한 작품과 전시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입장시 관람객은 공항 검색 수준의 검문대를 통과해야 한다. 가져간 백팩을 바구니에 담아 보관하고도 엑스레이 검문대를 통과하며 주머니 속에 있는 작품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어보이는 작은 물건들까지도 다 꺼내 놓아야 입장이 가능하다. 볼펜도 내놓으라고 한다. 목에 건 카메라가 있으니 기꺼이 내놓는다. 이제 들어가자 돌아서려는데 영어로 된 안내문이 눈에 들어온다. '전시실 내부 작품 촬영 금지'
프라도 미술관
미술관 안네 데스크 로비작품들
스페인이 자랑하는 3대 거장 벨라스케스, 고야, 엘그레코의 작품들을 비롯한 세계의 유명한 화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으나 사진을 찍을 수 없다. 위 사진은 사진촬영이 가능한 안내 데스크 로비이다
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며 전시된 작품들을 둘러보다 2층의 어느 조각상 앞에 이르렀을때 가벼운 발걸음 소리들이 들려 돌아보았더니 예닐곱살 되어보이는 아이들 이십 여 명이 소리없이 다가와 약속이라도 한 듯 조각상앞에 모두 바닥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분명 그들은 스페인어로 이야기 하고 있는데 스페인어를 전혀 모르는 내 귀에 한국어처럼 들리는 마술이 일어난다.
"이 조각상의 남자와 여자는 어떤 사이일까?"
" 우리도 이 사람들처럼 포즈를 취해 볼 수 있을까?"
"우리가 이 작품을 만든 작가라면 이 조각상의 제목을 뭐라고 지어볼 수 있을까? "
담임선생님인지 큐레이터인지 알 수 없는 남자분이 묻자 아이들은 서로 자기가 해보겠다는 듯이 소리없이 손을 높이 들거나 흔들어 알리더니 작은 목소리로 자기의 생각을 이야기 한다. 똑같은 포즈를 취해 볼 수 있겠느냐는 선생님의 질문에 지목된 아이들이 앞으로 나와 자세를 잡는 동안 앉아 있는 아이들도 제각각의 포즈를 취한다.
반사적으로 카메라를 들고 그들의 모습을 찍었다. 수 십명의 어린아이들이 미술관 내에서 발소리가 크게 나지않도록 이동하는 모습, 누가 지시하지 않았음에도 작품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동안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차단하지 않도록 모두 바닥에 앉는 모습, 첫 줄에 앉은 아이들은 엉덩이를 바닥에 대고 앉고 두번째 줄은 무릎을 꿇고 세번째 줄은 무릎을 세워 앉는 모습이 신기하기만 하다. 작품에 대해 이야기 나눌 때도 아주 작은 목소리로 속삭이듯이 이야기 하는 모습, 스페인의 모든 아이들이 모두 다 이렇지는 않겠지만 감동적인 모습 이었다. 국제적인 수준의 문화 유산이 많은 탓일까, 어린 아이들의 몸에 밴 듯한 미술관에서의의 매너 또한 국제적인 수준이다. 어린 아이들이 문화재를 대하는 의식은 부모들의 의식을 모델링 하였을 것이다. 또한 하루 아침에 이루어 진 것도 아닐 것이다.
미술관 앞마당에서 퍼포먼스를 하는 사람 1유로 정도의 팁을 요구한다.
"아이니까 그럴수 있죠" 무조건 이해 해 주지말고," 하지말라고 해도 말을 안들어요" 포기하지말자. 어린 아이들의 교육은 콩나물에 물을 주면 한 순간 그대로 빠져나가는것처럼 보이지만 반복되는 부드러운 물결이 콩을 쑥쑥 자라게 하는 것처럼 우리도 그렇게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