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언(楊士彦)의 ‘날 비(飛)’자 유래
앞에서도 잠깐 언급을 했지만 양사언은 명종 19년(1564) 48세 때, 고성군(高城郡) 구선봉(九仙峯) 아래 감호(鑑湖)가에 비래정(飛來亭)을 짓고는 시 한편을 남겼다.
비래정(飛來亭)
바다는 신선계로 들어가고 海入壺中地
누대는 물 위 하늘에 떠있네 樓居水上天
푸르게 떠 있는 것은 쌍옥순이고 靑浮雙玉筍
붉게 꺽인 것은 만금의 연꽃이네 紅折萬金蓮
수은을 달이니 용은 솥에서 울고 煉汞龍吟鼎
안개를 먹으니 뼈는 이미 신선이네 餐霞骨已仙
그대는 황학을 불러 술을 마시게 居招黃鶴酒
나는 백구와 더불어 잠을 잘 테니 吾與白鷗眠
이 정자는 양사언(楊士彦)이 은거(隱居)하려고 지은 정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유배에서 풀려나오는 도중에 병사를 하고 말았다. 감호(鑑湖)는 현제 비무장지대 안에 있다. 고성전망대에서 보면 햋빛에 반짝반짝 하는 호수가 가물가물 보이는데, 바로 그 호수가 감호다.
양사언은 이 ‘날 비(飛)’자에 큰 애착을 가지고 있었던 듯하다. 《지봉유설》에 보면, ‘양사언이 일찌기 양양 별장에 있을 때 ‘날 비(飛)’자 한 자를 써서 그 자제에게 부탁하기를 “나의 정력이 모두 이 글에 있으니 아껴 간직하라” 하였다. 시를 지어 이르기를,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라는 시를 지었다고 한다.
양사언이 1564년에 쓴 ‘날 비(飛)’자는 현재 양사언의 종손인 양재웅(楊載雄) 씨가 소장하고 있다. 아울러 앞서 게재한 <花落聞鳥聲>글씨는 방손(傍孫)인 양인석(楊麟錫)씨가 소장하고 있는데, 내 서재에 있는 글씨는 바로 그 원본을 영인본 한 것이다.
이에 대한 애기를 하나만 더 해보자.《택당집(澤堂集)》은 이 식(李植:1584~1647)의 시문집으로 1677년의 원집이 있고, 1747년의 중간본이 있다. 제6권 <비자입해가(飛字入海歌)>를 보면,
푸른 고래수염을 붉은 붓대에 묶어 놓고
맑은 날 성홍(星泓)에다 은하수를 쏟아 부어
비래정(飛來亭)에 써놓은 비(飛)자 절로 날아가 버렸나니
적선(謫仙)께서 능운필(凌雲筆)을 휘둘러 남긴 글씨였네
신선의 수레타고 바다 동쪽 향하실 때
소군(蕭君)이 텅 빈 소재(蕭齋) 다시 돌보려 했겠는가
진관(眞官)을 명을 받들고서 풍백(風伯)을 불러 들였거늘
눈동자 점찍어서 용공(龍公)을 깨울 게 있었겠나
세상의 많은 물건 중에 오직 이것을 취하다니
방외인(方外人)의 기이한 자취 정녕 짝이 없어라
달팽이 기어 다닌 좀먹은 책이나 뒤적이며
나는 백발로 언제까지 천록(天祿)의 청려(靑藜)에 속으려나.
양사언이 일찍이 경포 호숫가에 비래정을 세우고는 큰 글씨로 ‘비(飛)’자를 벽에 붙였다. 그런데 양공이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던 날에 바람과 우레가 치면서 정자의 벽에 붙어 있던 ‘비’자의 글씨를 휘감아 바다 속으로 집어넣었다는 기이한 전설이 세상 사람들 사이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지금 양공의 적자(嫡子) 양이일(楊理一)이 이를 소재로 해서 제공(諸公)에게 시를 청하기에, 나도 부득이 여기에 응하게 되었다.’ 라고 하였다.
註)
* 성홍(星泓): 벼루의 별칭.
* 소군(蕭君): 양사언이 죽고 나서 주인도 없는 비래정에 자신이 쓴 글자만 허전하게 남겨두려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양나라(梁)의 명핑 소문운(蕭文雲)에게 양무제(梁武帝)가 소자(蕭字)를 쓰게 하였다. 뒤에 이 약(李約)이 매입하여 정자를 세우고는 이름을 소재(蕭齋)라고 하였다.
* 천록(天祿)의 청려(靑藜):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하느라 정신이 없는 본인을 지칭한 것임.
----- 而立翁 楊 景 稙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예,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 감사히 대했습니다. 이립옹님의 관심으로 서예세상이 풍요로워 지는군요. 더운 여름 건안히 나세요. ^^*
예원님께서도 여름을 강건히 나세요?? ^&^
선생님 자료감사합니다..저의 카페로 고이 모셔가겠숩니다..늘상 강건하시길 빕니다...
자료가 좋았다니 고맙습니다..님도 강건하세요???
귀한 작품 감상 잘 했습니다.
잘 감상하셨다니 좋군요!!
감사합니다
예!!! 잘 보셨습니까!
잘 읽었습니다. 비래정 시 끝련의 吳與白鷗眠의 吳는 吾의 오식(誤植)같습니다..
아하~~~그러네요!!! 님의 지적 감사합니다!!!^&^ 바로 수정을 했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