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는 미국에서 시작 된 쇼핑 이벤트로,
11월 마지막 주 목요일인 추수감사절(Thanksgiving) 다음 날에 열리는 대규모 할인 행사다.
이때를 시작으로 크리스마스와 새해 연초까지 할인이 이어지는 미국의 문화적 이벤트를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기념한다.
흔히 '블랙프라이데이'라는 용어는 회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다.
소매업자들이 회계장부에 적는 '적자(red)', 수익을 뜻하는 '흑자(black)'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과거 상점들이 재정 상태는 추수감사절 전까지 적자였다가 그 이후부터 연말 할인이 시작되면서
흑자로 전환된다는 데서 이 명칭이 생겨났다고 한다.
즉, 이때의 매출 덕분에 상점들이 흑자를 기록한다는 의미에서 '블랙프라이데이'라고 불리게 됐다.
또 다른 주장도 있다.
1960년대 필라델피아에서 경찰들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는 설이다.
당시 추수감사절 다음 날 쇼핑하려는 인파와 도시로 몰려드는 관광객들로 인해 엄청난 교통 혼잡이 발생해
경찰들이 이날을 '블랙프라이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교통 혼잡을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대규모 쇼핑과 할인 행사를
상징하는 긍정적 의미로 바뀌었다고 한다.
그러나 오늘날 블랙프라이데이는 본래 가진 긍정적 의미와는 반대로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눈속임 제품으로 상술을 부리거나 과잉 소비를 부추겨 환경을 악영향을 끼치는 등 블랙프라이데이의 어두운 이면을 알아보자.
눈속임 제품과 소비자 피해 사례
일부 소매업체는 미리 제품 가격을 인상한 후 할인하는 식으로 소비자를 농락하거나, 같은 브랜드의 동일 모델임에도
원가 절감을 위해 저품질 버전을 판매하기도 하는 등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는 눈속임이 성행한다.
또한 특별 할인 상품에 대한 반품이나 교환, 환불 규정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는 소매업체도 많다.
단순 눈속임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이 활발해지는 때엔 피싱 사기나 개인정보 유출등 직접적인 밤죄도 증가한다.
사기성 웹사이트처럼 보이는 가짜 이메일을보내서 결제를 유도하는 식이다.
소비자들은 가격 비교 사이트나 앱을 통해 실제 할인 여부를 확인하고, 신뢰할수 있는 공식 사이트에서만 제품을 구매하고,
너무 과도한 할인율을 제공하는 업체는 의심해봐야 한다.
제품 구매 전 반품 및 교환 정책을 꼼꼼히 살피고,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을 제공하는 판매처에서 구매하는 것이 안전하다.
블랙프라이데이가 끼치는 피해는 이것만이 아니다.
과소비, 물류 증가, 폐기물 증가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일으켜 지구를 위협하고 있다.
브랙프라이데이가 일으키는 호나경 문제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행사를 대비해 재고를 충분히 호가보하고자 평소보다 훨싼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한다.
특히 전자제품, 가전,의류 산업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생산은 각종 천연자원과 에너지 소비를 가속화한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광물, 석유, 물 등의 자원이 과다하게 사용되며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온실가스 배출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과 더불어 과잉 재고도 문제가 심각하다.
이 기간에는 예상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대량으로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때 판매되지 않은 상품들은 과잉 재고로 이어진다.
남은 제품들은 할인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판매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어 결국 헐값에 처리되거나 폐기된다.
특히 의류와 전자제품 같은 품목은 판매되지 않으면 대량으로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블랙프라이데이에 새 상품을 구매하면 기존에 갖고 있던 헌 제품은 버릴 수밖에 없다.
환경단체인 바젤액션네트워크(BAN)에 따르면 할인율이 높은 전자제품의 경우 이 기간 이후에 버려지는 폐기물의 양만 무려
연간 5000만톤에 이른다.
또한 영국의 가격 비교 웹사이트 머니닷유케이(Money. co.uk)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배송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은
42만9000톤에 달한다는것을알 수 있다.
친환경 기업의 올바른 자세
환경문제가 만연한 블랙프라이데이가 다가올 때마다 항상 언급되는 유명한 광고 문구가 있다.
파타고니아의 '이 재깃을 사지 마세요(Don't buy this jacket)'.
10여 년 전 블랙프라이데이에 등장한 이 문구는 많은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지금까지도 인상 깊은 사례로 남아있다.
물건을 팔아야 하는 브랜드가 쇼핑 대목에 오히려 사지 말라고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파타고니아는 파격적인 카피로 과소비 현상에 일침을 가하며 자사의 친환경 경영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주었다.
파타고니아와 함께 친호나경 경영으로 유명한 업사이클링 가방 제조 기업 '프라이탁(Freitag)'도 불랙프라이데이
당일에 24시간 동안 가방을 판매하지 않는 대신, 2주 동안 가방을 무료로 대여하는 캠페인을진행했다.
무분별한 소비가 아닌 렌탈 서비스라는 새로운 소비 형태를 보여준 셈이다.
매년 이상기후로 전례 없는 피해를 겪고 있는 이 시점에서 파타고니아와 프라이틱처럼 소비에 대한 관점을 달리 해야 할 때가 왔다.
대규모 할인 행사가 물건의 필요성을 따져야 할 소비자들의 눈을 가격 할인율로 가려 버리고,
이러한 충동적인 소비들이 환경 문제를 가속화시킨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지구에서 지속 가능한 생활을 영위하려면 정부, 기업, 소비자의 삼박자가 중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의 도래 여부는깨어있는 소비자들에게 달려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경은 이데일리 기자
'소비하는 인간, 요구하는 인간'의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