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프트는 코너를 가장 적합하게 빠져나가기 위해 차의 상태(방향)를 바꾸는데 사용되는 테크닉이다.드리프트는 코너링시 언더나 오버스티어가 일어나는 차에 적합하다(원래는 랠리용 테크닉이지만 로드레이싱에도 사용된다)많은 종류의 드리프트가 있어서 그중에 몇가지만 소개한다.
레이스 드리프트 -- 레이싱 정도의 빠른 속도에서 사용되는데, 고속으로 코너 진입시 스로틀(엑셀레이터)를 떼서 약간의 오버스티어를 일으킨 뒤(원심력이 약해져서 생김), 스티어링(카운터)과 엑셀로 드리프트를 조정한다(코너를 빠져나간다)(단, 레이스 드리프트에 사용되는 차는 중간 정도의 밸런스로 세팅되어 있어야 저절로 오버스티어가 일어난다.만약 차가 슬립될 경우는 이 테크닉은 효과를 보지 못한다)
브레이킹 드리프트 -- 이 테크닉은 코너 진입시 브레이크를 깊이 밟음으로서 구사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타이어의 그립력을 잃게 된다. 스티어링(카운터/역카운터)과 엑셀을 적절히 사용해서 중심을 잡고 코너를 빠져나간다(단, 이 기술은 주로 저중속 코너에 사용된다.(※번역자 주: 카운터와 역카운터로 차의 방향을 잡고 엑셀을 끊어 밟아주어 그립력을 회복시켜 트랙션(차의 발진)을 얻어낸다.
관성 드리프트 -- 이 테크닉은 코너 진입 전 잠시 스티어링을 코너방향 반대로 튼 뒤 다시 코너 방향으로 스티어링을 틀어 그립력을 반향을 이용해 코너링을 하는 것이다(단, 이 기술은 주로 랠리에서 마운틴 코너같은 헤어핀 코너에서 사용되는 아주 어려운 기술이다)
클러치 킥 -- 이것은 코너에 다가갈 때나 가벼운 드리프트시에 뒷바퀴의 트랙션을 없애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아줌으로써 동력전달계통을 통해 차가 갑자기 튀어나가게 해준다(차를 몰 때 클러치를 떼면 트랜스미션의 엔진브레이크(마찰)가 없어지면서 갑자기 쭉 나가잖아요.. 그원리.)
쉬프트 락 -- 이는 코너진입시 저단기어로 차의 속도를 늦춘 뒤 클러치를 놓는다. 저절로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므로 동력전달계통에 압박을 가해져서 뒷바퀴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되어 오버 스티어가 일어난다(핸드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이다.단 이 기술은 동력전달계통과 그외의 장치에 대미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면이 젖었을 때 구사한다)
핸드브레이크 드리프트 -- 이 테크닉은 매우 기초적이다. 핸드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라고 흔히 부르죠)를 당기면 뒷바퀴의 구동력이 없어지게 된다(뒷바퀴가 잠긴다고 흔히 말하죠). 그런 뒤 스티어링과 엑셀을 사용해 균형을 잡는다(단, 이 기술은 실수를 바로 잡을 때나 코너에 진입하기 위한 최적의 각을 얻기위해 사용된다)
더트 드랍 드리프트 -- 이 기술은 뒷바퀴를 로드밖의 흙길에 떨어트려 다음 코너에 대비를 하기 위해 파워나 속도의 손실없이 드리프트 각을 유지하거나 얻어내는데 사용된다(단, 이 기술은 마력이 낮은 차에 매우 유용하다)
점프 드리프트 -- 이 기술은 뒷바퀴 중 코너의 안쪽에 있거나 아님 더 높이 있는 타이어를 바운드(점프)를 시켜 마찰력을 잃게해서 오버스티어를 얻어낸다.
롱슬라이드 드리프트 -- 이 기술은 좁은 곳에서 엔진브레이크를 당겨 코너에서 큰각의 드리프트를 가능케하며, 코너진입전에 드리프트를 유지시켜준다(단, 고속에서만 가능하다)
스웨잉 드리프트 -- 슬라롬같은 연속된 좁은 코너길에서 차의 후미를 좌우로 흔들면서 드리프트하는 기술이다.
FF 드리프트(전륜구동차량) -- 엔진브레이크뿐만 아니라 스티어링과 브레이킹 테크닉을 모두 사용해야한다(엔진브레이크가 드리프트를 균형잡기 위한 주테크닉이다)
파워 오버 -- 이 기술은 코너진입시에 풀가속을 해서 큰 오버스티어를 일으킨다(후미가 슬라이드됨)(단, 큰 마력을 필요로 한다)
* 오버스티어 : 코너링시에 생각보다 차가 코너안쪽으로 붙는 것을 말한다.
언더스티어 : 코너링시에 핸들을 감은만큼 차가 코너로 붙지 않고 밖으로 밀리는 것을 말한다.
첫댓글 이해 안되는 부분이 좀 있네욤...어려워...
FF드리프트 ㅎㅎ
ㅋㅋ...츠지야의 드리프트 바이블을 보는 겁니다;;
FR 위주의 설명이군요. 쩝~
슬립앵글부터...
언더스티어링과 오버스티어링에 대한 부분은 제대로된 설명이 아니네요... ㅎㅎ
Over Steering : 말 그대로 핸들 넘돌림 (차 스핀 먹음)
오버 스티어는 스티어링 타각에 비해 차의 회전이 큰것을 말합니다
Under Steering : 핸들 들 돌림 (파라스 처럼 사고 남 ㅡ_ㅡ)
언더 스티어는 스티어링 타각에 비해 차의 회전이 적은것을 말합니다
조과장님의 언더와 오버 설명 맞지 않나요?
파라스님 언더와 오버스티어 설명 완전히 틀렸습니다. 예전에 일중이 형이 생각나는군..
개미님이 벌써,,,,, ^^
실제로 응용할 수 있는건 거의 없네용,.,, FF드리프트 정도???
ㅎㅎ 쪼아쪼아~!!!
더트 드랍 드리프트 -- 이 기술은 뒷바퀴를 로드밖의 흙길에 떨어트려 다음 코너에 대비를 하기 위해 파워나 속도의 손실없이 드리프트 각을 유지하거나 얻어내는데 사용된다(단, 이 기술은 마력이 낮은 차에 매우 유용하다) 역 도랑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