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역사상 1천 년 이래 최대 사건’을 일으키다
|
수도를 이전하라: 서경 천도론의 대두
|
도선의 후계자임을 자청하며, 중앙 정계에 혜성처럼 등장하였다
|
섣부른 칭제건원과 금국정벌론 주장
|
개경파의 역공, 결국 거사를 일으키다
|
묘청이 천도를 하자고 주장한 서경은 현재의 평양이다. 나라를 혁신하고자 한 묘청의 꿈은
서경천도가 물거품이 되면서, 함께 사라졌다. 사진은 평양의 위성사진.
<출처 : NASA>
서경, 역적의 땅이 되다
|
묘청의 서경 천도운동이 실패로 끝난 후, 또 다른 수렁으로 빠져든 고려 사회
|
![]() |
![]() |
![]() |
---|---|---|
|
|
982년
최승로 시무 28조 건의 |
|
|
993년
서희 강동 6주 확보 |
|
|
997년
천추태후 목종 즉위, 천추태후 집권 |
|
1037년
토그릴 베그 셀주크투르크 건국 |
1018년
강감찬 귀주대첩 |
1077년
그레고리오 7세 카노사의 굴욕 |
1063년
왕안석 삼사조례사 설치, 개혁시작 |
1055년
최충 구재학당 설립 |
|
|
1126년
이자겸 이자겸의 난 |
1150년
힐데가르트 폰 빙엔 아이빙엔에 대수녀원 축성 |
|
1135년
묘청 서경 천도 운동 |
1152년
프리드리히 1세 신성로마제국 황제 즉위 |
|
1145년
김부식 [삼국사기] 완성 |
|
1175년
주희 [근사록] 편찬 |
1170년
정중부 무신정변 |
1189년
리처드 1세 제 3차 십자군 전쟁 |
1187년
살라딘 십자군전쟁에서 예루살렘 탈환 |
1196년
최충헌 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시작 |
1215년
존왕 마그나카르타 승인 |
1206년
칭기즈칸 몽골제국 수립 |
1198년
만적 만적의 난 |
1295년
에드워드 1세 모범의회 성립 |
1271년
원세조 쿠빌라이 원제국 수립 |
1274년
충렬왕 여.몽 연합군의 일본정벌 |
1299년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발간 |
1299년
오스만 1세 오스만제국 수립 |
1281년
일연 [삼국유사] 편찬 |
1304년
단테 알리기에리 [신곡] 집필 시작 |
1325년
이븐 바투타 이슬람 메카 성지순례 |
1371년
신돈 역모죄로 처형 |
해당인물이 포함된 시대의 부분 연표가 기본적으로 보이며, 전체보기를 누르시면 전 시대의 연표를 볼 수 있습니다.
붉은색 표시가 있는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인물의 스토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