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경이 특히 아름다운 도봉산 망월사
설경등산도 즐기고, 동짓날엔 밭죽도 먹고,
12월 22일(목)은 '동짓날'이다.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다.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고대인들은 이 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축제를 벌여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의하면, 중국 주나라에서 동지를 설로 삼은 것도 이 날을 생명력과 광명의 부활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며, 역경의 복괘(復卦)를 11월, 즉 자월(子月)이라 해서 동짓달부터 시작한 것도 동지와 부활이 같은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 유풍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고 있다.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동지시식이라는 관습이 있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넣어 끓인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른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사당(祀堂)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의 여러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고 한다.
동짓날의 팥죽은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즉, 팥죽에는 '축귀(逐鬼)'하는 기능이 있다고 보았다. 동짓날에 팥죽을 쑤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疫神)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이다. 기이하고 재미 있는 이야기다.
그런데 절에서도 동짓날에는 팟죽을 쑤어 불자가 아닌 일반방문객들에게도 나눠주는 관습이 있는 것 같다. 모든 절들이 그렇게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서울 근교 사찰 중 관악산 연주암이나 도봉산 망월사 등에서는 매년 동짓날이 되면 큰 솥에 팟죽을 쑤어 무료로 등산객들을 비롯한 방문객들에게 나눠준다. 연주암이나 망월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동지불공'이라는 제목으로 신도들에게 팥, 찹쌀을 보시받는다고 공지하고 있다. 당연히 올해 동짓날에도 팥죽을 끓여 나눌 예정이라 한다(양이 제한적이라 시간 맞춰 가야 가능). 불교에서는 동짓날을 '어둠의 끝에서 밝음으로 시작하는 날을 의미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관악산 연주대나 도봉산 망월사 위 포대능선은 주변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특히 겨울 설경은 황홀하기 이를 데 없다. 웅장한 바위능선과 잘 어우러져 한 폭의 동양화를 그려낸다. 요즘 몇일간 눈이 제법 내려 관악산이나 도봉산 설경 역시 꽤 아름다울 것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