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용보일러
ㅇ 침수된 보일러의 점검 조치순서
① 전원코드 및 연료 계통을 차단한다.
② 본체로부터 순환 펌프, 자동조절기, 버너(연소기), 연통을 분리한다.
③ 보일러 내․외부를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④ 분리된 순환펌프 및 버너 등의 부분품을 청소한 다음 건조시킨다.
⑤ 제조업체나 시공업체의 A/S점검을 받아 가동전에 시운전한다.
ㅇ 자체점검요령
① 기름보일러는 전원을 차단한 후 보일러 제어용 콘트롤박스를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고 기름저장탱크의 기름을 비운 다음 기름탱크 주변밸브를 잠근다.
② 가스보일러는 전원을 차단한 후 도시가스 배관의 주밸브와 보일러옆 보조밸브를 잠그고, 프로판가스를 쓰는 주택은 프로판가스용기의 밸브를 잠그고 분리하여 용기를 높은 곳으로 이동시킨다.
③ 본체의 내․외부, 자동조절기, 순환펌프를 분리하여 흙탕물 등 이물질을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건조시킨다.
④ 보온재가 사용된 보일러본체, 배관의 보온상태를 점검하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는 재시공한다.
⑤ 연도, 굴뚝은 찌그러지거나 변형된 곳, 흙이나 다른 이물질 등으로 막혔는지를 점 검하고 청소하여 연소가스의 흐름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한다. 만일 연소가스 빠 지지 못하면 가스 폭발의 염려가 있다.
⑥ 기름탱크에 물이 찼을 때는 먼저 물을 분리 배출한다.
⑦ 가스 보일러의 경우는 청소 및 점검이 끝난 후에 비눗물 등을 이용하여 가스배관 의 누설유무를 반드시 확인한 후 가동하여야 한다.
□ 산업용보일러
① 전원을 차단하고, 기초콘크리트의 균열, 침하, 기초볼트의 손상 및 이완 유무 등 보일러의 설치상태를 점검한다.
② 보일러내부에 흙탕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는 수관, 연관, 드럼․동체 내부 및 하부, 전기, 제어설비 등은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건조시킨다.
③ 화실내부를 정비할 때 연소실의 내화물 시공부분과 연도 및 굴뚝을 점검하고 파손이 있을 때는 다시 축조하여 고온가스의 누출과 국부과열을 방지한다. 윈드박스 및 기타 내화물 시공부분도 다시 점검하여 가동시 예상되는 위험을 방지한다.
④ 안전밸브는 어떠한 경우에도 밸브시이트나 몸체에서 누설이 없고 작동이 정확해야 하므로 분해하여 각 부분품의 손상유무, 녹 및 오염이 없도록 하고 배기관내의 이물질도 제거하여 밸브작동시 방출이 원할하도록 한다.
⑤ 버너와 연료펌프, 송풍기 등은 변형과 손상 여부를 확인하여 오염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고 완전 건조시킨 후에 전기접점의 접속불량 단락 및 절연불량 등을 점검한다.
⑥ 보일러 본체, 증기배관 등에 암면, 유리면, 규조토 등의 보온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젖은 보온재를 제거한 후 교체하여야 하며, 온수배관 등 저온배관에 사용된 발포폴리스틸렌 및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는 건조하여 재사용 한다.
⑦ 수량계, 급수배관 등 급수계통과 유량계, 여과기 등 급유계통의 이물질은 깨끗이 제거하고 B-C유 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전 50~60℃정도 가열하여 수분을 탱크바닥으로 침강․분리시켜 배출 후 사용한다.
⑧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배관의 중간 밸브를 잠근 후 가스배관의 변형, 누설, 파손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⑨ 자동제어장치 및 안전장치와 회로판 등은 전문가에 의뢰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아울러 연도가 흙이나 다른 이물질로 막혀 있는지 점검, 청소하고 연소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⑩ 청소 및 점검이 끝난 후에는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연료계통을 점검한다. 가스설비는 가스누설 유무를 철저히 점검한다.
□ 가스사용기기
① 가스렌지와 같은 가스용품은 이물질이 끼어 가스가 나오는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물로 깨끗하게 세척한다.
②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완전히 말리고 난 후 사용한다.
③ 배관부위 등 연결부분에는 비눗물을 활용, 점검하여 가스누출 여부를 확인한다.
④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전문가의 점검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보일러 이상원인과 조치요령.
□ 기름보일러
이 상 현 상 |
원 인 |
조 치 방 법 |
전원스위치를 올려도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다 |
1. 보일러내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다
2. 실내온도 조절기가 OFF
상태 |
1. 고장은 아니며 보일러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내려가면 재가동된다
2. 실내온도 조절기를 운전상태로 맞춘다 |
모터는 회전하는데
점화가 되지 않는다 |
1. 기름탱크 밸브가 잠겨 있다
2. 기름탱크에 기름이 없다
3. 배관내에 공기가 들어있다
4. 기름 여과기가 막혀있다 |
1. 밸브를 연다
2. 기름을 보충한다
3. 공기 빼기를 한다
4. 청소를 한다 |
점화는 되나 바로
정지된다 |
1. 기름탱크에 기름이 부족하다
2. 화염감지기가 감지 못한다
3. 기름 여과기가 막혀있다
4. 기름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있다 |
1. 기름을 보충한다
2. 화염감지기 청소
3. 여과기 청소
4. 양질의 기름으로 교체 |
기름펌프에서 심한
소리가 난다 |
1. 기름여과기가 막혀있다
2. 배관내에 공기가 들어있다 |
1. 여과기 청소
2. 공기빼기를 한다 |
착화시 역화된다 |
1. 배기관에서 역풍이 분다
2. 점화장치의 고장 |
1. 점검 의뢰
2. “ |
이상한 연소음이
발생한다 |
1. 연소공기의 과다
2. 연료 토출량이 과다 |
1. 점검 의뢰
2. “ |
연기와 그을음이
나온다 |
1.기름이 나쁘거나 불순물이 들었다
2. 연소공기의 부족 |
1. 기름을 교환
2. 점검 의뢰 |
기 타 |
1. 연료배관이 샌다
2. 배관에서 물이 샌다 |
1. 점검 의뢰
2. 점검 의뢰 |
□ 가스 보일러
이 상 현 상 |
원 인 |
조 치 방 법 |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가동이
안된다 |
전원램프가
켜지지 않는다 |
휴즈가 끊어져 있다 |
휴즈를 갈아 끼운다 |
정전중 |
전기가 들어올 때 까지 기다린다 |
전원플러그 접촉 불량 |
전원플러그를 수리한다 |
전원플러그가 뽑혀져 있다 |
전원플러그를 꽂아준다 |
전원램프는
켜지는데
보일러가 켜지지 않는다 |
실내온도가 실내 온도조절기
설정온도보다 높다 |
실내온도조절기의 설정 온도를
높여준다 |
보일러 온도조절 설정 온도가
낮다 |
보일러 온도조절기 설정온도를
높여준다 |
물보충 램프에
불이 들어와 있다 |
난방배관에 물이 없다 |
자동으로 물보충하여 준다 |
과열램프에 불이 들어와 있다 |
순환 펌프 고장 |
순환펌프를 점검한다 |
난방 배관이 막혀 있다 |
- 배관이 막혔을 경우 배관시공자에개 점검 의뢰
- 난방스트레나를 청소한다 |
운전을 시작하여 불이 붙은 후 바로 정지되며 점검램프에 불이 들어온다 |
중간밸브가 잠겨있다 |
가스밸브를 열어 준다 |
공급 가스압이 낮다 |
점검의뢰한다 |
화염 감지를 하지 못한다 |
점검의뢰한다 |
운전을 시작하여 불이 붙지 않고 바로 정지되며 점검램프에 불이 들어온다 |
중간밸브가 잠겨있다 |
가스밸브를 열어 준다 |
점화스파크가 튀지 않는다 |
점검의뢰한다 |
점화는 되지않고 송풍기가 계속 돈다 |
풍압스위치 튜브가 빠져있다 |
풍압스위치 튜브를 꼽아준다 |
급배기관이 바르게 설치되어있다 |
바르게 해준다 |
굴뚝이 막혀 있다 |
굴뚝을 점검한다 |
보일러는 정상 작동하나 온수가 나오지 않는디 |
난방배관에 밸브가 잡겨있거나 배관이 막혀있다 |
난방배관(스트레나) 점검 |
난방배관에 공기가 많이 차있다 |
배관내 공기를 빼준다 |
순환펌프가 고착되어 작동을 하지 않는다 |
점검 의뢰한다 |
난방배관이 샌다 |
누수부분을 조치하여 준다 |
스트레나가 막혔다 |
분해하여 청소하여준다 |
보일러는 정상 작동하나
난방이 되지 않는다 |
수압이 낮다 |
가압장치를 설치하세요 |
보일러 물보충 램프가 자주
작동된다 |
배관에 누수가 되는 곳이 있다 |
난방라인을 점검한다 |
착화중 역화되거나 연소중
큰 소음이 발생한다 |
급배기관이 바르게 설치되어있지 않다 |
점검 의뢰한다 |
급배기관이 막혀있다 |
청소하면 됩니다 |
온수사용시 온수가 나오지
않는다 |
급탕 흐름 스위치 이상이 있다 |
점검 의뢰한다 |
<침수 보일러 관련 문의전화>
업체 및 관련단체 |
전 화 번 호 |
경동보일러 A/S 센터 |
지역번호 없이 1588-1144 |
귀뚜라미보일러 A/S 센터 |
지역번호 없이 1588-9000 |
난방시공협회 중앙회 |
02-8476-114 |
난방시공협회 인천지부 |
032-446-6230 |
난방시공협회 경기지부 |
031-292-7911 |
난방시공협회 강원지부 |
033-733-9443 |
에너지관리공단 |
031-260-4251(검사지도팀) |
<침수 가스시설 관련 문의전화 >
가스안전공사 |
지역본부 |
전화번호 |
지역본부 |
전화번호 |
본사(사고점검처) |
031)312-2341 |
울산지역본부 |
052)247-0019 |
서울지역본부 |
02)3411-2080 |
경기지역본부 |
031)259-3500 |
부산지역본부 |
051)646-0019 |
강원지역본부 |
033)643-0019 |
대구경북지역본부 |
053)588-0019 |
충북지역본부 |
043)263-0019 |
인천지역본부 |
032)435-1525 |
전북지역본부 |
063)276-0019 |
광주전남지역본부 |
062)383-0019 |
경남지역본부 |
055)282-1152 |
대전충남지역본부 |
042)485-0019 |
제주지역본부 |
064-748-0019 |
<침수 전기시설 관련 문의전화 >
한국전력 전기고장번호 |
국번없이 123 |
전기안전공사 |
1588-7500 |
<가전3사 AS 전화번호>
삼성전자 |
1588-3366 |
대우일렉트로닉스 |
1588-1588 |
LG 전자 |
1544-77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