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모 방송에서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해 소개하면서 ADHD에 대해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ADHD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전체 아동의 6-7%가 이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얼마 전 모 방송에서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에 대해 소개하면서 ADHD에 대해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요즘 들어 ADHD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진 것은 과거 여러 명의 아이를 양육했던 패턴이 현재에 이르러 한 가정 한 아이의 양육 패턴으로 바뀌는 한편 점점 복잡해지는 사회 발달 또한 큰 몫을 하고 있는 것 같다.
ADHD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전체 아동의 6-7%가 이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게 따지면 한 학급에 2~3명 정도가 ADHD 아동이라는 이야기이다. 이번 호에서는 ADHD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면 위주로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정신과적인 진단에 대해 거북한 편견을 갖고 있는 데다 기질적인 문제의 ADHD의 경우 약물 치료가 주된 처방이라 아이에게 정신과 약물을 처방하는 데 있어 거부감을 갖는다. 그런 이유로 많은 아이들이 치료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ADHD 진단시 진단 명에 장애란 말이 들어가 있는 관계로 마치 치료가 될 수 없는 장애로 오인하고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덜떨어진 아이로 잘못 인식하는 부모들이 많아 치료가 더욱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ADHD는 적절한 시기에 발견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인류를 이끌고 나갈 위인도 될 수가 있다.
과거 인류 발전을 위해서 힘쓴 사람들 중에서도 ADHD 증상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음악의 신동이라는 모차르트, 발명왕 에디슨, 아인슈타인 및 처칠 수상, 심지어 케네디와 현재 미국 대통령 부시까지.
ADHD는 잡념이 많고 마치 모터가 달린 것처럼 끊임없이 움직이며 엉뚱한 일을 많이 행하는 특징이 있다. 잡념이 많다는 것은 나름대로 생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면 그만큼 독창적인 사고를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끊임없이 움직인다는 것은 에너지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ADHD 아동들은 대체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은 집요하게 파고드는 놀라운 집중력을 보인다.
이런 특성들을 잘 살리는 적절한 교육과 개입이 있다면 ADHD 아동들도 아주 훌륭하게 적응해 나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은 개인의 특성을 살리기보다는 집단과 규범에 맞추는 교육에 치중되어 있다 보니 ADHD 아동들은 이러한 현실에 적응하기 힘이 든다. 아인슈타인이나 에디슨이 우리나라에 태어났더라면 과연 인류를 위해서 훌륭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을까 하는 물음을 던진다면 대답은 부정적이다.
결론적으로 ADHD 아동들은 적절한 치료와 도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외래에서 ADHD 아동 부모들이 제일 많이 하는 공통된 이야기 중 하나가 ‘보다 더 일찍 이 문제를 알았더라면’ 하는 것이다. ADHD 치료 중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가 조기 치료이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산만하고 실수가 많으며 공부하기 싫어하는 한편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면 소아정신과 상담을 통해서 보다 정확한 평가를 받아 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