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배는?
회화나 조각에서 신비하고 위대한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하여 머리나 몸에서 빛이 나오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


부석사 소조여래좌상의 광배

두광(頭光) - 머리에서 나오는 빛의 모양을 형상화
신광(身光) - 몸통에서 나오는 빛의 모양을 형상화
거신광(擧身光) - 두광과 신광을 함께 가지는 이중광배

▒ 광배의 오랜 기원은 태양 신화 시대에서 비롯된 것
후광(後光), 광배(光背), 두광(頭光), 원광(圓光), 신광(身光) 등의 표현들은 모두
태양숭배시대의 무지개(rainbow)와 할로(halo 해무리)의 태양빛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것은 불교와 기독교, 그리고 건축(아치, 돔 등)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광배의 기원이 된 태양의 무지개, 해무리(halo)




유다에게만 광배가 없다

교황 베네딕트의 모자와 뒷 배경은 불교의 광배와 거신광을 닮아 있다


'만다라' 역시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륵부처님의 사각모자는?
불교의 전형적인 원형 광배와는 달리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논산 관촉사의 은진미륵이다.
'미륵'이란 부처가 현세에 강림하여 중생들을 행복하게 구제해준다는 신앙을 담고 있는데,
지상을 강조할수록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에서
지상의 지배자인 왕(王)으로서의 상징성이 두드러지게 된다.
은진미륵이 원형 광배 대신에 2층으로 된 사각 모자를 올려쓴 것은 그래서
광배의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는 좋은 예라 할 수 있겠다.
※ 이 사각모자를 <천개>라고도 한다.
천개(天蓋)는 글자 그대로 '하늘 뚜껑'인 셈이다.
노천에 세워진 석불이나 마애불에 직접적으로 눈비가 닿는 것을 막기 위해서
모자처럼 불상 머리 위에 얹은 것으로 생각된다.
※ 팔만대장경 '미륵하생경'에 의히면,
미륵불은 <천관(天冠 신성한 하늘갓)>을 쓰고 있다고 함. <bbs다큐스페셜>
※ 봉은사 미륵불 사각모자가 궁금하던 어떤 보살님..
"스님, 미륵부처님은 왜 사각모자를 쓰고 계신가요?"
스님 "비 오면 우산, 해 뜨면 양산!" ㅎㅎ
※ 4각모자 - 자비희사를 상징 <광명스님 /bbs>

<자료참조: 오두의 문화비평(2009/03/12) http://cafe.chosun.com/>

가평 청오사

속초 신흥사

속리산 법주사
첫댓글 공부 잘 했습니다..
가장 행복한 공부.. ^^
행복한 공부 잘했습니다..^^
좋은공부 했슴니다,,,감사함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