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충헌이 설치한 특수 정치 기구로서 최씨 정권의 최고 권력 기관이었다. 원래는 반대파를 적발, 숙청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으나, 정치 권력을 행사하는 기구로 변하였다. 그 책임자인 교정별감(敎定別監)은 형식상 왕이 임명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는 최씨 무신 정권이 타도될 때까지 실력자에게 자동적으로 계승되었다. 즉, 최충헌에 이어 최우, 최항, 최의의 3대는 물론이고, 김준, 임연, 임유무도그 자리에 있었다. 무신 정권이 끝나면서 교정도감도 없어 졌다.
<정방>
최우가 인사권 장악을 위해 사저(私邸)에 설치한 기관으로, 최씨 정권 지배 기구의 하나였다. 그 이전에도 인사권은 최씨 정권에 있었지만 정방의 설치로 제도화되었으며, 이로써 무신 정권이 점차 안정되어 갔다. 정방에는 무신뿐만 아니라 문신들도 정색승선(政色承宣)이라 하여 함께 정무를 보았는데, 이것은 정방이 지닌 특성으로 문신이 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으며, 무신 정권이 무너진 후에도 국가 기관으로서 정방이 유지되어 나간 이유가 되었다. 공민왕이 폐지하였다.
<서방>
최우가 자기 집에 설치하여 문신 및 유학자들을 교대로 숙직하게 한 기구.
도방(都房)이 무사들의 최씨 정권의 숙위 기관이라면, 서방은 문사(文士)들의 숙위 기관이었다. 서방은 정방과 더불어 문사들을 회유하는 기능을 지녔다. 이를 통해 문사들이 다시 정치에 참여하였는데, 이인로(李仁老), 이규보(李奎報) 등이 대표적 인물들이다. 무신 정권의 종말과 함께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