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도저히 예의라고는 없는 사람이다.” 앞의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도저히’가 잘못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앞의 문장에서는 ‘도무지’를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도무지’는 ‘아무리 해도’와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아주’라는 두 가지의 뜻이 있습니다. 앞의 뜻으로 쓰일 때는 ‘도저히’와 바꿔 쓸 수 있지만, 뒤의 뜻으로 쓰일 때에는 ‘도저히’로 바꿔 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앞의 문장에서는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아주’라는 뜻을 나타내는 ‘도무지’를 써야 하는 반면, “도무지 참을 수 없다”라는 문장에서 ‘도무지’는 ‘아무리 해도’의 뜻으로 쓰였으므로 “도저히 참을 수 없다”처럼 ‘도저히’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도무지’는 주로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이며 ‘아무리 해도’,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아주’ 라는 뜻이 있고, ‘도저히’ 또한 주로 부정 표현과 어울려 쓰이며 ‘아무리 하여도’라는 뜻이 있습니다.
첫댓글 우리가 쉽게 쓰는 이말이 참으로 가르치기 에는 어렵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