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6월 22일, 영덕
전국 어디나 흔하게 보이며 냄새가 고약한 나무이다. 나물로 먹을 수 있는것은 참죽나무라 하며 수피를 한약명 춘백피라고 한다.
가죽나무는 소태나무과이고, 참죽나무는 멀구슬나무과로 전혀 다른 종이다.
가죽나무(소태나무과) 이명: 가중나무, 애죽나무, 까중나무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 60-80cm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침상 달걀모양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열매는 시과로 3-5개씩 달리고 연한 적갈색이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폭 1cm로서 날개 가운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9-10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 있다.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6-8월에 개화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씨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일년생가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전국 각처에 난다.
낙엽활엽교목.
주요 조림수종 : 조경수종, 내공해수종. 도시의 가로수,공원수로 식재하고 반드시 수나무를 선발하여 심는 것이 좋다. 목재는 기구(농기구)재, 차량재, 무늬목 단판으로 사용된다.
근(根) 또는 수간(樹幹)의 내피(內皮)는 樗根白皮(저근백피), 엽(葉)은 樗葉(저엽), 시과는 鳳眼草(봉안초)라 하며 약용한다.
⑴樗根白皮(저근백피)
①성분 : 근피에는 mersosin, tannin, phlobaphe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나무껍질에는 ailanthone, amarolide, acetylamarolide, quassin, nigakihemiacetal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유(油) 약 35% 및 2,6-dimethoxy-p-benzoquinone, ailanthone, ailantholide, chaparrinone, quass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quercitrin,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澁腸(삽장), 止血(지혈), 살충의 효능이 있다. 慢性下痢(만성하리), 腸風便血(장풍변혈), 崩漏(붕루), 帶下(대하), 遺精(유정), 白濁(백탁), 회충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마시거나 散劑(산제), 丸劑(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세척하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붙인다.
⑵樗葉(저엽) - 瘡疥(창개), 風疽(풍저-관절의 굴곡면에 생기는 水疱疹(수포진))을 치료하며 잎을 삶은 즙으로 씻는다.
⑶鳳眼草(봉안초) - 이질, 腸風(장풍)에 의한 血便(혈변), 血尿(혈뇨), 崩漏(붕루-자궁이상출혈), 白帶下(백대하)를 치료한다. 3-9g을 달여서 마시거나 粉末(분말)로 하여 복용한다.
첫댓글 참가죽나무 개가죽나무로 나누어 진것인가..가죽나무 어린순과 어린잎은 살짝 데쳐서 고추장 무침으로 충남에서는 없어서 못먹는 봄철특미 반찬이고 성숙한 잎도 데쳐 말려서 잔치날 전으로 부쳐 내며 맛 또한 은은한 향이 참 좋습니다.데쳐내면 고유의 향이 많이 줄어서 입맛 돋우는데 그만입니다..전 참가죽나무 잎반찬 넘좋아해요..ㅋㅎ
가죽나무에 '가'자가 거짓가라고 합니다. 사진 올린 가죽나무는 먹는거 아닙니다~~. ㅋㅋ
맞습니다.정말 맛있는 나물입니다.....그럼 지난봄 가죽나무라고 가져온것이 참죽나무인가요,구별이 되는지요???
저도 아직까지 참죽나무를 본적은 없습니다. 생으로 먹기도한다는데 요즘은 많이 재배를 한다더군요^^
냄새가 고약해서 회충이 죽나보죠? ㅀㅎ
아마도 그런가봅니다..ㅋㅋ
가죽나무 저도 많이 좋아 합니다^^ 어려서 부텀 먹어서요^^*...
참죽나무말고 가죽나무도 먹나요? 먹는다는 얘긴들어 보긴했는데 냄새땜씨...
역겹게 느켜지는 냄새땜에 좋아합니다..우리가말한는 가죽이 표준말로 참죽인줄로만 알랐는데요 가죽 향을 좋아하는 한사람입니다...
어라


씨방이 틀려요



가죽
틀린 나무인가 보네요 
제가 먹은 나무는 가죽이라 했는데 참죽인가 봅니다...
참죽
헷갈리니 정리가 필요할듯 ,보통 알고 먹는 나물이 참죽나무을 가죽나무로 부르나봅니다.....진짜 가죽나무는 위에것 같고,지난번것 냄새 고약하던데...사진것과는 분명 다르긴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