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실천적연기-붓다다사 스크랩 인류의 핸드북 (2) - 사물의 진정한 성품
일 행 추천 0 조회 102 10.12.11 08:25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2] THE TRUE NATURE OF THINGS

사물의 진정한 성품

 

The word "religion" has a broader meaning than the word "morality." Morality has to do with behavior and happiness, and is basically the same the world over. A religion is a system of practice of a high order. The ways of practice advocated by the various religions differ greatly.

'종교'라는 말은 '도덕'이라는 말보다 넓은 의미를 지닙니다. '도덕'은 행위와 행복과 관련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전 세계 어디에서나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는 차원높은 실천(수행)체계입니다. 여러 각 종교에서 주장하는 실천방법은 매우 다릅니다.

 

Morality made us good people, behaving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principles of community life and in such a way as to cause no distress to ourselves or others. But though a person may be thoroughly moral, he may still be far from free of the suffering attendant on birth, ageing, pain and death, still not free from oppression by the mental defilements. Morality stops well short of the elimination of craving, aversion and delusion, so cannot do away with suffering. Religion, particularly Buddhism, goes much further than this. It aims directly at the complete elimination of the defilements, that is, it aims at extinguishing the various kinds of suffering attendant on birth, ageing, pain and death. This indicates how religion differs from mere morality, and how much further Buddhism goes than the moral systems of the world in general. Having understood this, we can now turn our attention to Buddhism itself.

도덕은 공동생활의 일반 원칙에 따라 행동하고 우리 자신 또는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일으키지 않는 그러한 식으로, 우리를 선한 사람으로 만듭니다. 그러나 비록 사람이 철저히 도덕적이라 하더라도 여전히 생노병사에 따르는 괴로움 또는 정신적 오염원에 의한 압박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할 수 있습니다. 도덕은 갈망(탐욕)과 미워함(성냄)과 미혹(무지)를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잘 멈추게 하지만 괴로움을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종교, 특히 불교는 이 도덕보다 훨씬 더 나아가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직접적인 목표로 합니다. 즉, 불교는 생노병사에 따르는 여러가지 괴로움을 소멸시키는 것을 그 목표로 합니다. 이것은 왜 종교가 단순한 도덕과는 다르며, 왜 불교가 일반적인 세상의 도덕 체계보다 훨씬 더 나아간 차원인지를 가리켜 줍니다. 이것을 이해하면 이제 불교 그 자체(원래 의미의 불교)로 주의를 돌릴 수 있습니다.


Buddhism is a system designed to bring a technical knowledge inseparable from its technique of practice, an organize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things or what is what. If you keep this definition in mind, you should have no difficulty understanding Buddhism.

불교는 실천(수행)의 기교와 분리할 수 없는 기교적인 지식을 도입하여 고안된 체계이며, 사물의 진정한 성품(또는 본질이 무엇인지)을 실천적으로 이해하도록 조직된 체계입니다. 이 정의를 마음에 품고 있으면 불교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Examine yourself and see whether or not you know what is what. Even if you know what you are yourself, what life is, what work, duty, livelihood, money, possessions, honor and fame are, would you dare to claim that you know everything? If we really knew what is what, we would never act inappropriately; and if we always acted appropriately, it is a certainty that we would never be subject to suffering. As it is, we are ignorant of the true nature of things, so we behave more or less inappropriately, and suffering results accordingly. Buddhist practice is designed to teach us how things really are. To know this in all clarity is to attain the Fruit of the Path, perhaps even the final Fruit, Nirvana, because this very knowledge is what destroys the defilements. When we come to know what is what, or the true nature of things, disenchantment with things takes the place of fascination, and deliverance from suffering comes about automatically. At the moment, we are practicing at a stage where we still do not know what things are really like, in particular, at the stage of not yet realizing that all things are impermanent and not selves. We don't as yet realize that life, all the things that we become infatuated with, like, desire and rejoice over, is impermanent, unsatisfactory and not self. It is for this reason that we become infatuated with those things, liking them, desiring them, rejoicing over them, grasping at them and clinging to them. When, by following the Buddhist method, we come to know things aright, to see clearly that they are all impermanent, unsatisfactory and not selves, that there is really nothing about things that might make it worth attaching our selves to them, then there will immediately come about a slipping free from the controlling power of those things.

자신을 돌아보고 본질이 무엇인지(사물의 진정한 성품)를 알고 있는지 없는지 검토해 보십시오. 자신이 무엇인지 안다하더라도, 인생, 일, 의무, 생계, 돈, 재산, 명예와 명성 등이 무엇인지 이 모든 것을 안다고 감히 주장할 수 있겠습니까? 진정으로 본질이 무엇인지 안다면 결코 부적절하게 처신하지 않을 것입니다. 항상 적절하게 처신한다면 결코 괴로움을 겪지 않을 것이 확실합니다. 사실, 사물의 진정한 성품을 모르기 때문에 다소 부적절하게 처신하고 이에 따라 괴로움이 생깁니다. 불교 수행(실천)은 사물이 실제로 어떠한지(사물의 존재 방식)를 가르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것을 모두 명확히 알면, 참으로 이 지식은 오염원을 없애주기 때문에 수행의 마지막 결실인 닙바나(열반)까지 (수행)의 결실을 보게 됩니다. 사물의 본질, 즉 진정한 성품을 알게 되면 사물에 홀린 상태 대신에 깨달음이 일어나서 자동적으로 고통에서 해방됩니다. 지금, 우리는 사물이 정말로 무엇과 같은지 아직 모르는 단계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좋아하고 바라고 즐기는 것에 홀딱 빠져 삶과 모든 사물이 영원하지 않고 불만족스럽고 자아가 아니라는 것을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사물에 홀딱 빠져 사물을 좋아하고 바라고 즐기고 움켜쥐고 집착합니다. 붓다의 방법에 따라 모든 사물이 영원하지 않고 불만족스럽고 자아가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보고 사물에 집착할 가치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바르게 알게 되면, 즉시 이 사물들이 지배하는 힘에서 빠져나와 해방됩니다. 


Essentially the Buddha's teaching as we have it in the Tripitaka is nothing but the knowledge of what is what or the true nature of things--just that. Do keep to this definition. It is an adequate one and it is well to bear it in mind while one is in the course of practicing. We shall now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is definition by considering as an example the Four Noble Truths.

경장에 있는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붓다의 가르침은 단지 본질이 무엇인지, 또는 사물의 진정한 성품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식, 바로 그것입니다. 이 정의를 가슴에 품기 바랍니다. 이것은 수행 중에 가슴에 품으면 많은 도움이 되고 적절한 정의입니다. 이제 네 가지 성스런 진리(사성제)를 예로 들어 이 정의가 타당하다는 것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The First Noble Truth, which points out that all things are suffering, tells us precisely what things are like. But we fail to realize that all things are a source of suffering and so we desire those things. If we recognized them as a source of suffering, not worth desiring, not worth grasping at and clinging to, not worth attaching ourselves to, we would be sure not to desire them.

첫 번째 성스런 진리는 모든 사물은 괴로운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이것은 사물이 무엇과 같은지 명확하게 말해줍니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사물이 고통의 원인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사물을 원합니다. 사물이 고통의 원인이고 바랄 가치가 없고 움켜쥐거나 집착할 가치가 없으며 자신을 그것에 매달리게 할 가치가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사물들을 바라지 않을 것입니다.

 

The Second Noble Truth points out that desire is the cause of suffering. People still don't know, don't see, don't understand, that desires are the cause of suffering. They all desire this, that and the other, simply because they don't understand the nature of desire.

두 번째 성스런 진리는 갈애(갈망)가 괴로움의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 사람들은 갈애(갈망)가 괴로움의 원인이라는 것을 여전히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합니다. 사람들은 모두 이것을 바라고 저것을 바라고 또 다른 것을 바랍니다. 이것은 전적으로 갈애의 성품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The Third Noble Truth points out that deliverance, freedom from suffering, Nirvana, consists in the complete extinguishing of desire. People don't realize at all that nirvana is something that may be attained at any time or place, that it can be arrived at just as soon as desire has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So, not knowing the facts of life, people are not interested in extinguishing desire. They are not interested in nirvana because they don't know what it is.

세 번째 성스런 진리는 괴로움에서 자유로운 해방, 즉 열반은 갈애의 완전한 그침에 있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사람들은 열반이 어느때 어느곳에서든지 얻을 수 있는 것임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열반은 갈애가 완전히 소멸되자마자 곧바로 이를 수 있습니다. 삶의 진상을 모르기 때문에 사람들은 갈애를 소멸하는 것에 관심이 없습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열반에 관심이 없습니다. 


The Fourth Noble Truth is called the Path and constitutes the method for extinguishing desire. No one understands it as a method for extinguishing desire. No one is interested in the desire extinguishing Noble Eightfold Path. People don't recognize it as their very point of support, their foothold, something which they ought to be most actively reinforcing.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 Buddha's Noble Path, which happens to be the most excellent and precious things in the entire mass of human knowledge, in this world or any other. This is a most horrifying piece of ignorance.

네 번째 성스런 진리는 길(도)이라고 하며 갈애를 소멸하는 방법입니다. 아무도 이것을 갈애를 소멸하는 방법으로 이해하지 않습니다. 아무도 갈애를 소멸하는 팔정도(여덟가지 고귀한 길)에 관심이 없습니다. 사람들은 팔정도를 가장 적극적으로 강화해야 할 어떤 것, 가장 기본적인 지지점 또는 발판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이 세계 또는 다른 세계에서 인류가 축적한 모든 지식 중에서 가장 뛰어나고 귀중한 붓다의 고귀한 길(팔정도)에 관심이 없습니다. 이것은 무지 중에서도 가장 끔찍하게 나쁜 무지입니다.

 

We can see, then, that the Four Noble Truths are information telling us clearly just what is what. We are told that if we play with desire, it will give rise to suffering, and yet we insist on playing with it until we are brim full of suffering. This is foolishness. Not really knowing what is what or the true nature of things, we act in every way inappropriately. Our actions are appropriate all too rarely. They are usually "appropriate" only in terms of the values of people subject to craving, who would say that if one gets what one wants, the action must have been justified. But spiritually speaking, that action is unjustifiable.

우리는 본질이 무엇인지 바로 분명히 말해주는 지식으로서 사성제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갈애에 따라 처신하면 괴로움이 일어날 것이라는 말을 들어도 괴로움이 가득할 때까지 갈애에 따라 처신합니다. 이것이 어리석음입니다. 진정으로 본질이 무엇인지 또는 사물의 진정한 본성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면에서 부적절하게 처신합니다. 적절하게 처신할 때가 거의 없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갈애를 조건으로 하는 가치의 견지에서만 적절하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얻는다면 그 행위는 (적절하므로) 정당한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말하면 그 행위는 정당하다고 인정될 수 없습니다.   

 

Now we shall have a look at a stanza from the texts which sums up the essence of Buddhism, namely the words spoken by the Bhikkhu Assaji when he met Shariputra before the latter's ordination. Shariputra asked to be told the essence of Buddhism in as few words as possible. Assaji answered: "All phenomena that arise do so as a result of causes. The Perfected One has shown what the causes are, and also how all phenomena may be brought to an end by eliminating those causes. This is what the Great Master teaches." He said in effect: Every thing has causes that combine to produce it. It cannot be eliminated unless those causes have been eliminated first. This is a word of guidance warning us not to regard anything as a permanent self. There is nothing permanent. There are only effects arising out of causes, developing by virtue of causes, and due to cease with the cessation of those causes. All phenomena are merely products of causes. The world is just a perpetual flux of natural forces incessantly interacting and changing. Buddhism points out to us that all things are devoid of any self entity. They are just a perpetual flux of change, which is inherently unsatisfactory because of the lack of freedom, the subjection to causality. This un-satisfactoriness will be brought to an end as soon as the process stops; and the process will stop as soon as the causes are eliminated so that there is no more interacting. This is a most profound account of "what is what" or the nature of things, such as only an enlightened individual could give. It is the heart of Buddhism. It tells us that all things are just appearances and that we should not be fooled into liking or disliking them. Rendering the mind truly free involves escaping completely from the causal chain by utterly eliminating the causes. In this way, the unsatisfactory condition which results from liking and disliking will be brought to an end.

그럼 경전에서 불교의 본질을 요약하고 있는 구절을 보겠습니다. 이 구절은 구족계를 받기 전의 사리뿟따를 만났을 때 아싸지 빅쿠가 한 말씀입니다. 사리뿟따는 불교의 본질을 가능한 짧게 몇 마디로 말씀해 주기를 요청하였습니다. 아싸지 빅쿠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습니다. "모든 현상은 원인의 결과로 일어납니다. 붓다께서는 원인이 무엇인지,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어떻게 모든 현상이 끝나게 되는지 보여 주십니다. 위대한 스승께서는 이것을 가르칩니다." 요컨대, 이 말씀은 모든 것은 그것을 일어나게 하는 원인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의 원인을 먼저 제거하지 않으면 그것은 제거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어떤 것도 영속하는 자아로 여기지 말도록 훈계하는 안내의 말씀입니다.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원인에서 일어나고, 원인에 의해 진전되고, 원인이 그치면 그치게 되는 결과만이 있습니다. 모든 현상은 단지 원인의 산물입니다. 세상은 단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고 변하는 자연적 힘의 부단한 흐름입니다. 불교는 모든 사물에는 자아라는 실체가 없다고 지적합니다. 그것은 단지 부단히 변화하는 흐름이며, 인과관계의 지배에서 자유롭지 않으므로 본질적으로 불만족스럽습니다. 이 불만족은 이 과정이 그치자마자 끝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더 이상 상호작용이 없도록 원인이 제거되자마자 그치게 됩니다. 이것은 본질이 무엇인지 또는 사물의 본성에 대한 가장 심오한 설명으로서, 오직 깨달은 자만이 설명할 수 있으며, 불교의 핵심입니다. 이것은 모든 사물은 단지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므로 어리석게도 그것들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해 줍니다. 마음을 정말로 자유롭게 하는 것은 원인을 완전히 제거하여 인과관계의 고리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으로, 좋아함과 싫어함의 결과인 불만족한 상태는 끝나게 됩니다. 

 

Let us now examine the Buddha's intention in becoming an ascetic. What motivated him to become a Bhikkhu? This is clearly indicated in one of his discourses, in which he says that he left home and became a Bhikkhu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Good?" The word "good"(Kusala), as used here by the Buddha, refers to skillfulness, to absolutely right knowledge. He wanted to know in particular what is suffering, what is the cause of suffering, what is freedom from suffering, and what is the method that will lead to freedom from suffering. To attain perfect and right knowledge is the ultimate in skill. The aim of Buddhism is nothing other this perfection of knowledge of what is what or the true nature of things.

Another important Buddhist teaching is that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namely impermanence (anicca), un-satisfactoriness or suffering (dukkha) and non - selfhood (anatta). Not to know this teaching is not to know Buddhism. It points out to us that all things are impermanent (anicca), all things are unsatisfactory(dukkha), and all things are not selves (anatta). In saying that all things are impermanent we mean that things change perpetually, there being no entity or self remains unchanged for even an instant. That all things are unsatisfactory means that all things have inherent in them the property of conducing to suffering and torment. They are inherently unlikable and disenchanting. That they are not selves is to say that in no thing whatsoever is there any entity, which we might have a right to regard as its "self" or to call "mine." If we grasp at things and cling to things, the result is bound to be suffering. Things are more dangerous than fire because we can at least see a fire blazing away and so don't go too close to it, whereas all things are a fire we can't see. Consequently we go about voluntarily picking up handfuls of fire which is invariably painful. This teaching tells us what things are like in terms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Clearly Buddhism is simply an organized practical system designed to show what is what.

이제 붓다께서 어떤 의도에서 고행자가 되었는지 검토해 봅시다. 빅쿠(수행자)가 되게 한 동기는 무엇일까요? 이 동기는 붓다께서 설하신 법문 중의 하나에 분명히 나타나 있습니다. 법문에서 붓다께서는 "무엇이 꾸살라(kusala)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왕궁을 떠나 수행자가 되었다고 말씀하십니다. 여기서 붓다께서 언급하신 '꾸살라'는 '절대적인 바른 앎에 능숙함'을 가리킵니다. 붓다께서는 특히 '고(둑카)가 무엇인지', '고(둑카)의 원인이 무엇인지', '고(둑카)에서 자유로움이 무엇인지', '고에서 자유로워지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셨습니다. 완전하고 바른 앎을 얻는 것은 최상의 능숙함입니다. 불교의 목표는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 또는 진정한 성품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 앎을 바로 완전하게 하는 것입니다.

다른 중요한 불교의 가르침은 세가지 특성, 즉 영원하지 않음(무상, 아니짜), 불만족(고, 둑카) 및 자아 아님(무아, 아나따)입니다. 이 가르침을 모르면 불교를 모르는 것입니다. 이 가르침은, 모든 사물은 무상하고 '고'이고 '무아'라고 지적해 줍니다. 모든 사물이 무상하다고 하는 것은, 사물들이 끊임없이 변하며 한 순간 조차도 변하지 않고 그대고 있는 실체 또는 자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사물이 '고'이다는 것은, 모든 사물은 본질적으로 괴로움과 고통을 야기하는 성질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물들은 본질적으로 탐탁치 않으며 매혹에서 벗어나야 할 대상입니다. 모든 사물이 자아가 아니다고 하는 것은, 어떠한 것에도 '자아'로 여기거나 '나의 것'으로 부를 만한 실체가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사물을 움켜쥐고 사물에 집착한다면 고(괴로움 또는 고통)에 묶이게 됩니다. 사물들은 불보다 더 위험합니다. 불은 적어도 불타 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그것에 너무 가까이 가지 않게 되지만, 사물들은 볼 수 없는 불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우리는 고통스러울 수 밖에 없는 불을 많이 움켜쥐려고 자진하여 돌아 다닙니다. 이 가르침은 세가지 특성의 면에서 사물들이 무엇과 같은지 말해 줍니다. 확실히 불교는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 보여주도록 고안된 오직 실천적 조직체계입니다.


We have seen that we have to know the nature of things. We also have to know how to practice in order to fit in with the nature of things. There is another teaching in the texts, known as the Chief of all Teachings. It consists of three brief points: "Avoid evil, do good, purify the mind!" This is the principle of the practice. Knowing all things as impermanent, worthless and not our property, and so not worth clinging to, not worth becoming infatuated with, we have to act appropriately and cautiously with respect to them, and that is to avoid evil. It implies not to break with accepted moral standards and to give up excessive craving and attachment. On the other hand, one is to do good, good as has come to be understood by wise people. These two are simply stages in morality. The third, which tells us to make the mind completely pure of every kind of contaminating element, is straight Buddhism. It tells us to make the mind free. As long as the mind is not yet free from domination by things, it cannot be a clean, pure mind. Mental freedom must come from the most profound knowledge of the what is what. As long as one lacks this knowledge, one is bound to go on mindlessly liking or disliking things in one way or another. As long as one cannot remain unmoved by things, one can hardly be called free. Basically we human beings are subject to just two kinds of emotional states: liking and disliking (which correspond to pleasant and unpleasant mental feeling). We fall slaves to our moods and have no real freedom simply because we don't know the true nature of moods or what is what. Liking has the characteristic of seizing on things and taking them over; disliking has the characteristic of pushing things away and getting rid of them. As long as these two kinds of emotional states exist, the mind is not yet free. As long as it is still carelessly liking and disliking this, that the other, there is no way it can be purified and freed from the tyranny of things. For this very reason, this highest teaching of Buddhism condemns grasping and clinging to things attractive and repulsive, ultimately condemning even attachment good and evil. When the mind has been purified of these two emotional reactions, it will become independent of things.

우리는 사물의 본성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또한 우리는 사물의 본성에 맞도록 실천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경전에는 모든 가르침의 선두에 있다고 알려진 별도의 가르침이 있습니다. 이 가르침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간결한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악을 피하고, 선을 행하며, 마음을 청정히 하라!" 이것이 실천(수행)의 원칙입니다. 모든 사물은 무상하고 가치가 없고 자기 것이 아니므로, 그것들에 집착할 가치가 없고 빠질 가치가 없다고 알아서, 그것들에 대해 적절하고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이 악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인정된 도덕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지나친 갈망과 집착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면에 현명한 자들이 이해하고 권하는 선을 행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단지 도덕의 차원입니다. 세 번째로 모든 오염원에서 마음을 완전히 청정하게 하라고 하는 것이 바로 불교입니다. 이것은 마음을 자유롭게 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마음이 사물들의 지배에서 자유롭지 않는 한, 깨끗하고 청정한 마음일 수 없습니다. 정신적 해방은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장 심오한 앎에서 나옵니다. 이 앎이 없는 한, 이래 저래 분별없이 사물을 좋아하거나 싫어하기를 계속합니다. 사물에 동요되는 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좋아함과 싫어함(즐겁고 즐겁지 않은 정신적 느낌에 해당)이라는 단 두 종류의 감정 상태에 지배당합니다. 기분의 노예가 되면 기분의 진정한 성품 또는 본질이 무엇인지 오직 모르기 때문에 참된 자유가 없습니다. 좋아함은 사물을 붙잡고 떠맡는 특성이 있습니다. 싫어함은 사물을 밀어내고 제거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감정 상태가 있는 한, 마음은 자유롭지 않습니다. 여전히 이것 저것을 부주의하게 좋아하고 싫어하는 한, (마음을) 청정하게 하여 사물의 압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길이 없습니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이 최상의 불교 가르침은 사물을 좋고 싫은 것으로 움켜쥐거나 집착하지 말라고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선과 악에 조차 애착하지 말라고 합니다. 마음이 이 두 가지 감정 반응에서 청정하게 되었을 때 사물에서 독립하게 될 것입니다.

 

Other religions would have us simply avoid evil and grasp at goodness. They have us grasp at and become attached to goodness, even including the epitome of goodness, namely God. Buddhism goes much further, condemning attachment to anything at all. This attachment to goodness is right practice at the intermediate level, but it just can't take us to the high level no matter what we do. At the lowest level we avoid evil, at the intermediate level we do our utmost to do good, while at the highest level we make the mind float high above the domination of both good and evil. The condition of attachment to the fruits of goodness is not yet complete liberation from suffering, because, while an evil person suffers in a way befitting evil persons, a good person suffers also, in a way befitting good persons. Being good, one experiences the kind of suffering appropriate to good human beings. A good celestial being experiences the suffering appropriate to celestial beings, and even a god or Brahma experiences the suffering appropriate to gods. But complete freedom from all suffering will come only when one has broken free and transcended even that which we call goodness to become an Aryan, one who has transcended the worldly condition, and ultimately to become a fully perfected individual, an Arahant.

다른 종교에서는 단순히 악을 피하고 선을 붙들라고 합니다. 다른 종교의 사람들은 바로 선을 대표하는 신을 포함하여 선을 붙들고 매달리라고 합니다. 불교는 여기서 더 나아가, 어떤 것에도 애착하지 말라고 합니다. 선에 이렇게 애착하는 것은 수행의 중간 단계에서는 바른 실천입니다. 그러나 이 실천은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높은 단계로 데려다 줄 수 없습니다. 가장 낮은 실천 단계에서는 악을 피하고 중간 실천 단계에서는 선을 행하는 반면에, 가장 높은 실천 단계에서는 마음이 선과 악의 지배에서 벗어나 초월하게 하는 것입니다. 선업의 결실에 애착하는 상태는 아직 고(괴로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습니다. 악한 사람에게는 악한 사람이 받아야 하는 고(괴로움)가 있고 선한 사람에게는 선한 사람이 받아야 하는 고(괴로움)가 있기 때문입니다. 선하게 되면 선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종류의 고(괴로움)를 경험하게 됩니다. 욕계 천신은 욕계 천신에게 주어지는 고(괴로움)를 겪습니다. 색계 천신이나 무색계 천신 조차도 그들에게 주어지는 고(괴로움)를 겪습니다. 모든 고(괴로움)에서 완전한 해방은, 세속 상태를 초월한 성자가 되기 위한 선업이라고 하는 것조차 초월하고 자유롭게 되어, 궁극적으로 완전한 개체인 아라한이 될 때만 가능합니다. 

 

Now as we have seen, Buddhism is the teaching of the Buddha, the Enlightened One, and a Buddhist is one who practices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Enlightened One. With regard to what was he enlightened? He simply knew the nature of all things. Buddhism, then, is the teaching that tells us the truth about what things are really like or what is what. It is up to us to practice until we have come to know that truth for ourselves. We may be sure that once that perfect knowledge has been attained, craving will be completely destroyed by it, because ignorance will cease to be in the very same moment that knowledge arises. Every aspect of Buddhist practice is designed to bring knowledge. Your whole purpose in setting your mind on the way of practice that will penetrate to Buddha-Dhamma is simply to gain knowledge. Only, do let it be right knowledge, knowledge attained through clear insight, not worldly knowledge, partial knowledge, halfway knowledge, which for example clumsily mistakes bad for good, and a source of suffering for a source of happiness. Do try your utmost to look at things in terms of suffering, and so come to know, gradually, step by step. Knowledge so gained will be Buddhist knowledge based on sound Buddhist principles. Studying by this method, even a woodcutter without book learning will be able to penetrate to the essence of Buddhism, while a religious scholar with several degrees, who is completely absorbed in studying the Tripitaka but doesn't look at things from this point of view, may not penetrate the teaching at all. Those of us who have some intelligence should be capable of investigating and examining things and coming to know their true nature. Each thing we come across we must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clearly its true nature. And we must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source of the suffering which produces, and which sets us alight and scorches us.

지금 본 것처럼, 불교는 깨달은 자인 붓다의 가르침이고, 불자는 깨달은 자의 가르침에 따라 실천하는 자입니다. 붓다께서는 무엇을 깨달았을까요? 붓다께서는 모든 사물의 성품을 전적으로 알았습니다. 불교는 사물이 정말로 무엇과 같은지,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해주는 가르침입니다. 스스로 진리를 알 때까지 실천하는 것은 각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완전한 앎을 얻기만 하면 이 앎에 의해 갈애(갈망)가 완전히 소멸될 것은 확실할 것입니다. 무지는 앎이 일어나는 바로 그때에 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불교 실천의 모든 면은 앎을 생기게 하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붓다-담마를 꿰뚫는 실천의 방법에 마음을 두는 것은 전적으로 앎을 얻기 위함입니다. 나쁜 것을 좋은 것으로 여기거나 괴로움의 근원을 행복의 근원으로 여기는 잘못을 범하는 세속적 지식, 부분적 지식 또는 절반 지식이 아니라, 분명한 통찰을 통해 얻어진 바른 지식이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괴로움의 면에서 사물을 보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 보십시오. 그러면 점차 (붓다-담마를) 알게 될 것입니다. 반면에 이 괴로움의 면으로 사물을 보지 않으면 삼장(경전)의 공부에 몰두하여 여러 개의 학위를 지닌 종교학자라도 가르침을 전혀 꿰뚫어 보지 못할 것입니다. 지성이 있는 우리들은 사물을 조사하고 검토하여 사물의 진정한 성품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대하고 부닺치는 각각의 사물에 대해 그 진정한 성품을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 공부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 성품을 이해하고, 생성되어 우리를 불태우고 눋게 하는 괴로움에 대해 그 근원을 이해해야 합니다.

 

To establish mindfulness, to watch and wait, to examine in the manner described the suffering that comes to one-- this is very best way to penetrate to Buddha-Dhamma. It is infinitely better than learning it from the Tripitaka. Busily studying Dhamma in the Tripitaka from the linguistic or literary viewpoint is no way to come to know the true nature of things. Of course the Tripitaka is full of explanations as to the nature of things; but the trouble is that people listen to it in the manner of parrots or talking myna birds, repeating later what they have been able to memorize. They themselves are incapable of penetrating to the true nature of things. If instead they would do some introspection and discover for themselves the facts of mental life, find out firsthand the properties of the mental defilements, of suffering, of nature, in other words of all the things in which they are involved, they would then be able to penetrate to the real Buddha- Dhamma. Though a person may never have seen or even heard of the Tripitaka, if he carries out detailed investigation every time suffering arises and scorches his mind he can be said to be studying the Tripitaka directly, and far more correctly than people actually in the process of reading it. These may be just caressing the books of the Tripitaka everyday without having any knowledge of the immortal Dhamma, the teaching contained within them. Likewise, we have ourselves, we make use of ourselves, we train ourselves, and we do things connected with ourselves every day,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ourselves, without being able to handle adequately problems concerning ourselves. We are still very definitely subject to suffering, and craving is still present to produce more and more suffering every day as we grow older, all simply because we don't know ourselves. We still don't know the mental life we live. To get to know the Tripitaka and the profound things hidden within it is most difficult. Let us rather set about studying Buddha-Dhamma by getting to know our own true nature. Let us get to know all the things, which make up this very body and mind. Let us learn from this life: life which is spinning on in the cycle of desiring, acting on the desires, and reaping the results of the action, which then nourish the will to desire again, and so on, over and over incessantly; life which is obliged to go spinning on in the circle of samsara, that sea of suffering, purely and simply because of ignorance as to the true nature of things or what is what.

마음챙김을 확립하기 위해, 언급한 방식으로 고통으로 진전되는 것을 바라보고 기다리고 조사하는 것, 이것이 '붓다-담마'를 꿰뚫어 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것은 삼장(경전)을 통해 배우는 것보다 무한히 더 나은 방법입니다. 언어나 문어적 면에서 삼장 속의 담마를 분주히 공부하는 것은 사물의 진정한 성품을 아는 길이 아닙니다. 물론 삼장(경전)에는 사물의 성품에 대한 설명이 가득 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사람들이 그것을 듣고 앵무새나 마이나새처럼 기억한 것을 나중에 반복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스스로 사물의 진정한 성품을 꿰뚫어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신에 사람들이 내적 관찰을 하여 스스로 정신적 삶의 실상을 발견하고, 우선 정신적 오염원의 성질을 알고 고통을 알아서 본성, 즉 모든 사물이 내포하고 있는 본성을 알게 된다면 참된 '붓다-담마'를 꿰뚫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비록 삼장을 결코 보지 않았거나 삼장(의 말씀)을 듣지 않았다하더라도 괴로움이 일어나서 마음을 태우는 것을 상세히 조사하고 검토한다면, 삼장(경전)을 직접 공부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삼장(경전)을 실제로 읽는 사람보다 훨씬 더 바르게 공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삼장을 읽기만 하는 것들)은 삼장 안에 포함된 가르침인 불변의 담마에 대한 어떠한 앎도 없이, 매일 삼장(경전)을 단지 애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자기자신에 대한 어떠한 앎도 없고 자기자신에 관련한 문제를 적절하게 다룰 수 없이, 매일 자기자신을 가지고 자기자신을 이용하고 자기자신을 훈련하며  자기자신과 관련된 일을 합니다. 우리는 아직 정말로 고(괴로움)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며, 갈애(갈망)가 여전히 나타나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매일 고(괴로움)를 더욱 더 생기게 합니다. 이 모든 것은 전적으로 우리자신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아직 우리의 정신적 삶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삼장(경전)과 그 속에 감추어진 심오한 진리를 아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보다 우리자신의 진정한 성품을 아는 것으로 '붓다-담마'를 공부하기 시작합시다. 바로 이 몸과 마음을 구성하는 모든 사물을 알도록 합시다. 이 삶, 갈망하고 갈망에 따라 행동하고 행동의 결과를 거두고 그리고 다시 갈망을 늘리는 등등 계속해서 끊임없이 순환을 하는 이 삶, 고통의 바다인 '삼사라'라는 윤회 사이클을 계속하는 이 삶에서 배우도록 합시다. 이러한 고(괴로움)는 순전히 단지 사물의 진정한 성품 또는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 모르는 무지 때문입니다.


Summing up, Buddhism is an organized practical system designed to reveal to us the "what is what." Once we have seen things as they really are, we no longer need anyone to teach or guide us. We can carry on practicing by ourselves. One progresses along the Aryan Path just as rapidly as one eliminates the defilements and gives up inappropriate action. Ultimately one will attain to the best thing possible for a human being, what we call the Fruit of the Path, Nirvana. This one can do by oneself simply by means of coming to know the ultimate sense of the "what is what."

요약하면, 불교는 '(사물의) 본질이 무엇인지' 보여주도록 고안된 '실천적 조직 체계"입니다. 우리가 사물의 본질이 정말로 무엇과 같은지 알게 되면 안내하거나 가르치는 어떤 누구도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홀로 실천(수행)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수행자는 오염원을 제거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하지 않는 정도에 따라 빠르게 성자의 길을 따라 진전됩니다. 수행자는 궁극적으로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상태, 즉 도의 결실이라 부르는 열반을 얻게 됩니다. 수행자는 궁극적 의미에서 '본질이 무엇인지'를 전적으로 알게 됨에 따라 홀로 실천(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