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척택(尺澤)- 폐 수혈
手太陰脈氣(수태음폐기)가 이곳에 이르는 것이 마치 물이 모이는 곳[澤] 같으면서 尺側(척측)에 있으므로 尺澤(척택)이라 하였다.

수태음폐경의 5번째 혈로서 팔꿈치에 팔을 구부렸다 폈다 하면
가로 금이 생기는 곳의 상완이두근건 힘줄 외측(엄지손가락 쪽)에서 취혈합니다.
척택혈은 오수혈 배열에서 수태음폐경의 합혈이므로
폐에 만성병이 있을 때 특히 열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정혈이 급성열병을 치료한다면 합혈을 만성병과 기가 역상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겨울에는 합혈을 쓴다고 합니다.
전통 침법에서는 폐에 만성적인 열이 있거나 가슴이 답답한 경우에도 사용합니다.
동의보감과 고전 침법 책에는 뜸을 떠서는 안 되는 금구혈이라고 나옵니다.
척택혈은 수태음폐경의 오수혈중 하나로서
수태음폐경이 오행 중 ‘金土’을 지니고 있는 경락이고
척택혈은 水의 성질을 가진 오수혈이므로 오행 중 金,土,水의 성질을 지닌 혈자리입니다
따라서 척택혈을 보해주면
우리 몸의 金,土,水의 기운을 더해주게 됩니다.
그러므로 木火土金水 오행 중 金,土,水를 제외한
木,火의 기운이 우리 몸에 지나치게 많은 경우
척택혈을 자극함으로서 金,土,水의 기운을 더해 오행이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우리 몸에 木,火의 기운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
척택혈을 지압해주면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木은 바람, 긴장성, 상승, 움직임 등의 기운을 가지고 있는 오행이고,
火는 뜨거운 기운을 가지고 있는 오행입니다.
따라서 사람이 긴장하면서 위로 뜨거운 기운이 오르는 경우에 쓸 수 있습니다.
척택혈은 특히 하체에 열이 있을 때 특효가 있는 혈자리입니다.
예를 들면, 다리에 열이 있어서 소아마비, 한방병명으로 위벽이라고 하는 증상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태음폐경의 水혈로써, 폐에 열이 있어 생기는 해수, 천식에도 특효입니다.
척택혈은 후천혈로써 몸을 은근히 시원하게 해주는 자리입니다.
상병하치 이론에 의해
특히 하체가 더운 사람을 시원하게 해주는 데에 아주 좋은 혈자리입니다.
후천: 오행을 상생순으로 배치할 때 목화토를 선천, 토금수를 후천이라 하고 함.
위벽 [ 痿躄 ] :
팔다리가 늘어지고 힘이 없어 걷지 못하는 병증.
오장(五臟)이 일으키는 위병(痿病)의 총칭이다.
[소문(素問)] <위론(痿論)>에서 "오장이 폐에 열이 있어 폐엽이 바싹 마름으로 인하여 위벽을 일으킨다.(五臟因肺熱葉焦, 發爲痿躄.)"라고 하였다.
첫댓글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척택수는 토금수성질을 가지고 있군요^^
정혈이 급성열병을 치료한다면
합혈은 만성병과 기가 역상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겨울에는 합혈을 쓴다고 합니다.
동의보감과 고전 침법 책에는 뜸을 떠서는 안 되는 금구혈이라고 나옵니다.
사법을 이용하여 토금수 질병에 사용하겠군요.
척택혈을 보해주면 우리 몸의 金,土,水의 기운을 더해주게 됩니다.
그러므로 木火土金水 오행 중 金,土,水를 제외한
木,火의 기운이 우리 몸에 지나치게 많은 경우
척택혈을 자극함으로서 金,土,水의 기운을 더해 오행이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뜸을 뜨서는 안 되는 것과 보법에 대한 해석 부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척택혈은 특히 하체에 열이 있을 때 특효가 있는 혈자리입니다.
척택혈은 후천혈로써 몸을 은근히 시원하게 해주는 자리입니다.
상병하치 이론에 의해 특히 하체가 더운 사람을 시원하게 해주는 데에 아주 좋은 혈자리입니다.
폐에 열이 있어 폐엽이 바싹 마름으로 인하여
팔다리가 늘어지고 힘이 없어 걷지 못하는 질병이 온다.
감사합니다^^ 다시 정리가 되네요^^
척택혈이 예사로워 보이지 않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학회장님.이종규선생님.
잘보고 다시정리하고 또익히게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