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봉축법요식 등 행사가 끝난 뒤 덕산창법 큰스님은 충남인뉴스 /굿모닝논산 김용훈 대표와 가진 인터뷰에서 자신은 불가에 입문한 이래 한결같은 마음으로 나눔의 실천불교를 화두로 수행과 사랑나눔을 행해 왔다고 말했다.
덕산 창법 큰 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 중 잡보장경의 무재칠시 [無財七施]를 인용 항상 편안한 마음으로 이이웃을 돌아보는 보시행[菩施行]을 강조 했다.
또 지장정사 신도들이 중심이 돼서 가난한 이들을 돌아보고 빨래 청소 및 도시락 나눔을 계속해 오고 있지만 시골마을 일 수록 가난하고 어려운 이웃들이 많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덕산 창법 큰 스님은 많이 가진 이들이 덕은 베풀 줄 모르면서 소위 명당을 찾아나서는 일이 있는데 다 부질없는 짓이라며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는 덕[德]짓는 일이야 말로 모든 복[福]을 불러들이는 근원이라고 덧붙였다.
스님은 세수 75 세임에 비해 남달리 건강을 유지하는 특별한 비결이 있느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자신은 매일 새벽 2시면 일어나 두세시간 기도를 드리는 것으로 일과를 시작한다며 부처님에 대한 기도의 힘일 것이라고 설명하고 음식은 주로 채식을 계속해 오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무재칠시 (無材七施)?
어떤이가 석가모니를 찾아가 호소를 하였답니다.
"저는 하는일 마다 제대로 되는일이 없으니 이 무슨 이유 입니까?"
"그것은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기 때문이다."
"저는 아무것도 가진게 없는 빈 털털이 입니다."
"남에게 줄것이 있어야 주지 뭘 준단 말입니까?"
"그렇지 않느니라." " 아무 재산이 없더라도 줄 수 있는 것은 일곱가지는 있느리라."
첫째는: 화안시(和顔施)
얼굴에 화색을 띠고 부드럽고 정다운 얼굴로 남을 대하는 것이요.
둘째는: 언시(言施)
말로써 얼마든지 베풀고 있으니 사랑의 말, 칭찬의 말,
위로의 말, 격려의 말, 양보의 말, 부드러운 말 등이다.
셋째는: 심시(心施)
마음의 문을 열고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이다.
넷째는: 안시(眼施)
호의를 담는 눈으로 사람을 보는것 처럼 눈으로 베푸는 것이요.
다섯째는:신시(身施)
몸으로 때우는 것으로 남의 짐을 들어 준다거나 돕은 일이요.
여섯째:좌시(座施)
자리를 내주어 양보 하는 것이요.
일곱째는:찰시(察施)
굳이 묻지 않고 상대의 속을 헤아려 알아서 도와 주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네가 이 일곱 가지를 행하여 생활화하면
너에게 영원한 공덕이 되리라"고 하셨습니다.
|
첫댓글 논산에 이렇게 많은 사찰이 있을 줄이야



_()_ 관세음 보살
부처님의 자비가 온세상에 퍼져 나가길
윤회씨!!!
통창회때 교정에서 만나고 헤어질때 인사도 못하고 떠난듯하오,
밝고 명랑한 모습이 아름다왔소 !
뒷정리 하느라 못본건가봐 나도 아쉬웠어 몇날 며칠을 기다렸는데...
너무나 짧은 만남에 아쉬움도 많았지만 머지않아 만남 있기에 돌아설수밖에
논산에 이런곳이 있었네 관촉사가 제일 크지않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