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난다마르가명상요가협회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바로알자
    2. 합일(合一)
    3. 선이
    4. 자명심
    5. kara
    1. woohang
    2. 박지우엄마
    3. 썬또셔
    4. 지구여행학교
    5. Bhaktiprema
 
카페 게시글
자료실 범어(산스크리트어) 한글표기 표준화 홍보영상
Sarita 추천 0 조회 271 20.07.17 23:51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댓글
  • 20.07.22 18:13

    첫댓글 나마스카.
    산스크리트어 표기법을 만드느라 수고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직 우리나라에 단일화된 표기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임이 분명합니다.

    반면에 몇가지 첨언한다면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로만 산스크리트어가 전세계적으로 사실상 산스크리트어의 표준어로 쓰이고 있고 우리도 그것에 익숙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여기에 따라 발음하는 것도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원칙적인 표기법도 필요한 것이 분명합니다.


    따라서 출판 등에 사용되는 산스크리트어 표기법도 확립돼야 하고 현실에서 익숙하게 알파벳에 따라 발음하는 두가지가 공존할 수밖에 없음을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한글은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차이가 뚜렷하고 느낌의 차이가 커서 표준화된 표기법대로 하다보면 발음이 어렵고 오히려 원래의 산스크리트어 발음과도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것의 예외를 인정한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단어가 그 예외에 해당될 것입니다. 특히 이름을 무리하게 발음하기 보다는 현재와 같이 친숙하게 발음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번 표준화 작업을 하신 분들의 공이 과소평가되서는

  • 20.07.22 18:15

    안될 것입니다.
    이번 작업은 우리 아난다마르가 뿐만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에도 기록될 중요한 일입니다. 다시한번 이번 일에 수고해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고 많은 사람들이 산스크리트어에 익숙해지길 바랍니다.

  • 20.08.05 16:41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