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골옹 섭생] 제사지낸 조상님께서 내려주시는 '하늘의 씨(氏)'와 '하늘의 술(術)'.
자기 직계의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祭祀)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할 때에는 반드시 술을 따라서 올리지요? 제사상에 술을 올릴 때에는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첨작례(添酌禮), 이렇게 네 차례에 걸쳐서 술잔을 올리게 되는데, 하필이면 왜 이렇게 네 차례에 걸쳐서 술잔을 올리는 그 뜻이 뭣인지 아세요? 그리고 제사(祭祀)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하는 가문(家門)마다 예를들면 홍씨/ 이씨/ 김씨/ 하는 성씨(姓氏)에는 꼭 ‘씨’ 자(字)를 붙이는데, 이 ‘씨(氏)/’자는 우리말로 ‘씨앗’을 뜻하는 말이며, 이는 곧 ‘종자(種子)’를 뜻하는 말인 것이잖아요?
그리하여 우리말에서 식물의 씨를 ‘씨앗’이라 말하고, 동물의 씨를 ‘종자’라 말하며, 사람의 씨를 ‘시(氏)’라고 말하는 것인데, 이 ‘시(氏)’자가 된소리로 변하여 ‘씨(氏)/’가 된 것이라고 하네요. 그리하여 우리말에서 남자 쪽을 일컬어 시집, 시댁, 시앗.... 등 ‘시(氏)’자(字)로 되어져 있는 말들이 많이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를 지낼때에 제사상에 네 차례에 걸쳐 술잔을 따라 올리는 것인데, 이렇게 네 차례에 걸쳐서 술잔을 따라 올릴 때에 우리네 조상님께서는, 제사상에 올리는 술잔의 헌작례(獻爵禮)를 통하여 살아있는 우리네 자손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하늘나라(天國)에 있는 네 가지에 ‘하늘의 씨(씨앗,종자)’를 우리네 자손들에게 내려주시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 ‘씨/’가 각각 무슨 ‘씨(씨앗,종자)’인지 아세요?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에 술잔을 올릴 때에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첨작례, 이렇게 딱 네 차례의 헌작례(獻爵禮)를 올리는 데에는 아주 깊고 오묘한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래요. 이렇게 제사상에 술잔을 따라 올리는 행동을 ‘헌작(獻爵)’ 이라고 말하는 것인데, 이 ‘작(爵)/’자가 바로 술잔작·벼슬작(爵)/자인 것이기 때문에 조상님의 제사상에 술잔을 따라 올리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하늘나라에서 내려주시는 하나의 큰 ‘벼슬(爵)/’에 해당되는 성스러운 일이 되는 것이래요. 그렇기 때문에 조상님의 제사상에 술을 따라 올리는 사람을 일컬어 초헌관(初獻官), 아헌관(亞獻官), 종헌관(終獻官), 첨작관(添酌官)이라 하고 축문을 읽는 사람을 축관(祝官)이라 하여, 꼭꼭 ‘벼슬관(官)/’자를 붙여서 말해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첨작례의 술잔을 따라 올리는 헌작례(獻爵禮)를 통하여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하늘나라에 있는 네 가지에 ‘하늘의 씨(씨앗,종자)’를 제사를 지내는 우리네 직계 자손들에게 직접 내려주시는 것이므로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에는 남의 집 가족은 절대 참석시키지를 않고, 반드시 직계가족만 참석시켜서 그 ‘하늘의 씨(씨앗,종자)’를 내려주시는 것이므로 직계가족의 성씨(姓氏)를 일컬어 “북두칠성 별님(星)이 내려주시는 여인(女)이 낳은(生) 하늘의 씨”라는 뜻으로써 ‘성/씨’/(姓氏)라고 말하는 거래요.
그러니까 그 뭣이냐- 하늘나라에 있는 그 네가지에 ‘하늘의 씨(씨앗,중자)’가 뭣이냐 하면, 그 머시냐- 요딴 머시깽이 같은 얘기는 아무데서나 쉽게, 흔히 들을 수 있는 얘기가 아니니깐 두루 혼자서만 살짜쿵 아시고서 설람, 혼자서 스스로 잘 실천을 해 보셔요. 그리하여 아주 좋은 천운(天運)의 씨앗을, 아주 좋은 천복(天福)의 씨앗을, 아주 좋은 천술(天術)을 잘 받아서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심어놓고 설람, 평소에 부지런히 정성껏 자기 스스로가 이를 잘 가꾸고 길러서 행복한 추수(秋收)의 결실을 받게 될 수가 있도록 해 보셔요.
이 네 가지에 ‘하늘의 씨’를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심어놓고 설람, 평소에 부지런히 자기 스스로가 이를 정성껏 잘 가꾸고 기르는 질(質)과 양(量)의 크기가 그대로 자기 자신의 행복에 질(質)과 양(量)의 크기, 즉 씨앗을 잘 심어놓고 이를 평소에 잘 가꾸고 기르는 노력의 질과 양의 크기가 그대로 가을철 추수의 수확으로 되어 자기 자신에게로 되돌아오는 것과 같은 하늘의 섭리(攝理)에 따라, 자기 직계의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으로부터 내려받은 그 네 가지에 ‘하늘의 씨’를 잘 받아서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심어놓고 설람, 이를 평소에 부지런히 자기 스스로가 열심히 잘 가꾸고 기르는 질(質)과 양(量)의 크기가 그대로 자기 자신의 복록(福祿)의 질과 크기로 결정되어 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하여 우리말에서 예를 들어, 우리가 평소 대화를 할 때에, “무슨 일이든 운/이 있어야 된다. 운/이 좋았다. 운/이 없었다. 운/이 나빴다” 또는 “무운/을 빈다. 행운/을 빈다.” 등과 같이 ‘운’ 이라는 말을 많이 하게 되잖아요? 그런데, 이 때에 ‘운/’ 이라고 하는 말은 하늘의 운(運), 즉 ‘천운(天運)’을 뜻하는 말인 거래요. 그러헌즉 이 말의 뜻인 즉슨, 무슨 일이든 일이 잘되려면 ‘좋은 천운(天運)’이 있어야 되는 것이며,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천운(天運)’이 없기 때문인 것이며, 일이 도리어 잘못 나쁘게 되어지는 것은 ‘나쁜 천운(天運)’이 있기 때문인 것이래요.
그러헌즉 우리네 사람이 평소에 삶을 살면서, 제 몸이 건강하고, 제 하는 일(事)과 업(業)이 잘 이루어지고, 출세(出世)를 하고 성공(成功)을 하고.... 하는 것은 평소에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의 ‘씨(씨앗,종자)를 보다 잘 가꾸고 잘 길러낸 그 질(質)과 양(量)에 대한 결과의 수확(收穫)일 뿐이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 ‘천운(天運)’이라는 것은 하늘나라에서 우리네 조상님들을 통하여 우리네 자손들에게 내려 주시는 것으로써, 가족이나 단체.... 등 여러 사람이 함께 받는 것을 일컬어 ‘운(運)’, 즉 “천운(天運)” 이라 하고, 개인이 받는 것을 ‘복(福)’, 즉 “천복(天福)”이라고 말하는 것이래요.
그런데 옛날 우리 민족의 전설에 의하면, 이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은 기원전 2800여년전 태호(太昊) 복희씨께서 하늘나라 천국(天國)에다가 천운과 천복의 씨(씨앗,종자)를 많이많이 만들어 가득 쌓아놓으시고 설람, 우리네 살아있는 자손들에게 이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의 씨(씨앗,종자)를 내려 주시는데, 그 조건이 자기의 부모님 조상님에게 효도(孝道)하는 사람과, 하늘에 충성(忠誠)하는 가족·단체에게, 그 ‘천복(天福)’과 ‘천운(天運)’의 씨(씨앗,종자)를 제례행사(祭祀)의 헌작례(獻爵禮) 술잔을 통해서 내려 주신다는 거예요.
그러한 고로, 우리가 평소 남에게 참으로 어려운 부탁을 하기 위하여 접대를 할 때에는, 반드시 두차례 세차례 4차례이상의 술잔을 따라 권하면서 두번 세번 4차례이상 간곡히 부탁을 해야 되는 것이라고 하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시제(時祭)를 지낼때에 예를들면 5대조 10대조....30대조 시조(始祖) 하는 식으로 자기로부터의 대수(代數)가 높으신 조상님의 제사에 참석할수록 하늘나라의 높은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의 좋은 씨(씨앗,종자)를 내려받을 수가 있게 될 수도 있다는 거예요.
따라서 그러한 조상님의 제사에 참석한 사람은, 자신이 평소에 행(行=실천)하는 일거수 일투족(一擧手 一投足) 하나하나의 행위 모두가 자기 자신의 부모님, 조상님에게 지내 올리는 효행의 ‘제사짓(祭事=제사행위)’이 되어지는 것이며, 자기 자신이 평소에 하는 말(言) 한마디 한마디 모두가 자기 자신이 하늘에 올리는 충성의 ‘기도짓(祈禱=기도행위)’이 되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헌즉. 자기 자신이 평소에 행하는 선행(善行)은 자기 자신의 부모 조상님에게 지내 올리는 선(善=좋은)한 효행(孝行)의 ‘제사짓(제사행동)’이 되어서 자기 자신에게 선한(좋은) 복(福)이 되어 나에게로 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며, 또한 자기 자신이 평소에 하는 선(善=좋은)한 말(言)은 자기 자신이 하늘에 올리는 선(善=좋은)한 충성(忠誠)의 기도문(祈禱文)이 되어서 자기 자신에게 선(善=좋은)한 복(福)이 되어 나에게로 되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라고 해요.
따라서 만약 자기 자신이 평소에 행하는 행실(行實)을 나쁘게 사용하여 악행(惡行)을 하게 되면, 그 악행은 자기 자신의 부모님 조상님에게 지내 올리는 악(惡=나쁜)한 ‘제사짓(祭事=제사행위)’이 되어서 자기 자신에게 악한(나쁜) 복(福)이 되어 나에게로 되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며, 또한 자기 자신이 평소에 행하는 악(惡=나쁜)한 말(言)은 자기 자신이 하늘에 올리는 악(惡=나쁜)한 충성(忠誠)의 기도짓(기도행위)이 되어서 자기 자신에게 악(惡=나쁜)한 복(福)이 되어 나에게로 되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를 일컬어 자연에 하늘의 섭리(攝理)상 “제행(諸行=모든 행위)의 메아리 현상” 이라고 한답니다.
그리하여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이러한 대자연에 하늘의 섭리(攝理)를 우리네 자손들에게 간곡하게 알려 주시고자, 조상님의 제사상에 정성껏 술잔을 따라 올리는 헌작례(獻爵禮)를 통하여 하늘나라(天國)에 있는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의 씨(씨앗,종자)를 우리네 자손들에게 내려 주시는 것이라는 하네요. 그렇기 때문에 살아 생전에 술을 전혀 마시지 못하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에서도 정성껏 술잔을 따라 올리는 헌작례(獻爵禮)의 절차를 결코 생략하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헌즉, 조상님의 제사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하여 올릴 때, 맨 처음 술잔을 올리는 초헌례(初獻禮)를 통해서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 매사(每事)에서 사람을 대할 때에는 마치 자기 자신의 부모님 조상님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것과 같은 성실한 효행심(孝行心)과, 하늘에 제사를 지내 올리는 것과 같은 정중한 충성심(忠誠心)으로 사람을 대할 수 있는 마음심(心)/자, ‘하늘(天國)의 마음씨’를 내려 주시는 것이라고 해요.
그런다음, 두 번째에 술잔을 올리는 아헌례(亞獻禮)를 통해서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 매사(每事)에서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에는 마치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에 축문(祝文)을 읽어 올리듯이 매우 겸손하고 공손하게 말하되, 축문의 내용처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여 말할 수 있는 말씀언(言)/자, ‘하늘(天國)의 말씨’를 내려 주시는 거래요.
그런다음, 세 번째에 술잔을 올리는 종헌례(終獻禮)를 통해서는 우리네 조상님들께서,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의 매사(每事)에서 일(事)을 해 놓을 때에는 마치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에 올릴 제물(祭物)을 작만(作滿)해 놓듯이 매우 정성스럽고 부족되지 않게 풍족히 해 놓을 수 있는 공사공(工)/자, 장인공(工)/자, ‘하늘(天國)의 솜씨’를 내려 주신다는 거예요.
그런다음, 네 번째에 술잔을 올리는 첨작례(添酌禮)를 통해서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 매사(每事)에서 몸가짐을 할 때에는 마치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에 예복(禮服)을 입고 참석하듯이 항상 깨끗하고 단정한 몸가짐에 용모(容貌)의 얼굴용(容)/자, ‘하늘(天國)의 맵씨’를 내려 주시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하여 이렇게 자기 자신의 조상님 제사상에 술잔을 올리는 초헌례(初獻禮), 아헌례(亞獻禮), 종헌례(終獻禮), 첨작례(添酌禮)의 네 차례에 걸친 헌작례(獻爵禮)를 통해서, 우리네 조상님들께서는 우리네 자손들에게 행복을 자라나게 하는 하늘나라 천국(天國)에 있는 하늘의 씨, 즉 하늘의 마음씨(心)와, 하늘의 말씨(言)와, 하늘의 솜씨(工)와, 하늘의 맵(容)씨, 이렇게 네 가지에 하늘나라에 있는 ‘하늘(天國)의 씨(씨앗,종자)’를 영적(靈的)으로 자기 자신의 직계 조상님으로부터 우리네 직계 자손들이 내려받아서, 각각 자신들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심어 자기 스스로가 가지고 있게 되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자기 자신이 조상님으로부터 내려받아서 평소에 자기 자신이 직접 가지고 있게 되는, 매사(每事) 사람을 대하는 ‘하늘의 마음씨(心)’와, 매사 상대방에게 말을 하는 ‘하늘의 말씨(言)’와, 매사 일을 이루어 내는 ‘하늘의 솜씨(工)’와, 매사 몸가짐을 하는 ‘하늘의 맵씨(容)’ 이렇게 네 가지에 ‘하늘(天國)의 씨’를 매년 설날 제사, 추석날 제사, 시제날 제사, 기일날 제사, 이렇게 매년 네 차례씩 봄철, 여름철, 가을철, 겨울철, 이렇게 계절의 철이 바뀔 때마다 마치 논밭에다 제 절에 맞는 새로운 씨(씨앗,종자)를 심고 가꾸어 기르듯이,
매년 자신의 신분(身分=몸과 마음이 차지하는 사회적 위치)이 성장하여 나이와 위치의 철이 바뀔 때마다, 항상 나이와 위치의 그 철에 맞게 항상 새로운 ‘하늘(天國)의 씨앗’을 영적(靈的)으로 새롭게 내려 받아서,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나서, 평소에 자기 자신이 스스로 늘 그 영적(靈的) ‘하늘의 씨’를 정성껏 잘 가꾸고 기르는 질(質)과 양(量)의 크기가 그대로 자기 자신의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의 질과 양의 크기가 되어서 그 결과가 다 자기 자신의 복록(福祿)에 크기로 결정되어 자신에게 되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들어 자기 자신의 부모님이나 직계 조상님의 제사(祭祀)에는 제례(祭禮)의 원칙상 잘 모르는 남의 가족은 일체 참석시키지 않고, 오직 자기 성씨(姓氏)의 직계 가족만 참석시키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식의 생물학적(生物學的)이면서 동시에 영적(靈的)인 ‘직계유전(直系遺傳)의 법칙’ 때문이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러한 생물학적(生物學的)이면서 동시에 영적(靈的)인 ‘직계유전(直系遺傳)의 법칙’ 때문에 간혹 출생(낳은) 부모와 양육(기른) 부모가 다를 경우, 예를들어 낳아준 생(生)부모와 길러준 양(養)부모 (異腹,異父)가 각각 다를 경우에는 어느 쪽을 따라가야 하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얼핏 생각하기에는 낳아준 생(生)부모가 길러준 양(養)부모보다 중요할 것 같지만, 하늘의 섭리(攝理)에서는 “자연일륜(自然一輪)이요, 인간이륜(人間二輪)이며, 천지삼륜(天地三輪)”인 까닭에, 자연은 태어나자마자 자기 혼자서도 생존해 갈 수가 있는 것(自然一輪)이지만,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자기 혼자서는 결코 생존할 수가 없고 반드시 두 사람 이상의 도움을 받아야만 비로서 생존할 수가 있는 것(人間二輪)이며, 천지는 하늘과 땅 사람(天地人)의 천지삼륜(天地三倫)인 것이므로, 하늘의 섭리상으로 볼 때에 낳아준 생(生)부모와 길러준 양(養)부모는 똑같이 다 중요한 것이므로 우리민족의 족보(族譜)상 ‘양자제도(養子制度)’가 바로 그러한 예의 표시라는 것이어요.
이와 같이 하늘의 섭리(攝理)상 우리네 사람은 인간이륜(人間二輪)인 관계로, 태어나 혼자서는 생존할 수가 없고 반듯이 두 사람 이상의 도움을 받아야만 비로서 생존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말에서 “우리 부모, 우리 자식, 우리 형제, 우리 가족, 우리 집....” 이라며 ‘우리(宇理)’라고 하는 식에 ‘하늘의 섭리’로써 공동체적으로 말하는 것이래요.
따라서 예를들어 남녀 이혼(離婚) 재혼(再婚)시 이혼·재혼 전·후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 낳아준 생(生)부모와 길러준 양(養)부모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복(異腹)부모 이부(異父)부모의 관계는 하늘의 섭리상 인간이륜(人間二輪)에 양쪽 다 똑 같이 중요한 전생의 인연(前生因緣) 관계속에 있는 것이므로 만약 어느 한 쪽의 개인이, 하늘의 섭리를 어기고서 자기 개인의 호불호(好不好) 감정에 이끌려 어느 한쪽만을 중히 여기고 어느 한쪽을 소홀히 한다면 하늘의 섭리에 반하는 일에 해당되어 그 인생에 결코 득(得)이 되지 않는 일이라고 합니다.
그러헌 고로 친가(親家)와 처가(妻家)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인간이륜(人間二輪)의 하늘에 섭리는 불변(不變)인 것이므로 혹시 사돈간에 신분이나 경제적 차이로 인하여 어느 한쪽이 하늘의 섭리를 버리고서 자기 개인의 호불호(好不好) 감정으로 어느 한쪽을 소홀히 한다면 그 또한 하늘의 섭리에 반하는 일에 해당될 수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요즘 현대에 와서는 서양의 기독교 사상에 영향을 받아서 나이 어린 젊은 사람들과 최고학부의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일수록 그러한 전생인연(前生因緣) 관계를 무시한다든가, 또는 우리민족 전통의 제사(祭祀)를 샤머니즘(迷信) 시(視) 하여 배척하려고 드는 현상이 득세(得勢)하고 있는 현실인데, 위와 같은 우리민족 전통의 제사(祭祀)에 대한 심오한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우리 민족 전통의 양자(養子)제도와 제사(祭祀)제도는 우리가 얼핏 잘 못 알고 있는 그런 샤머니즘(迷信)이 아니라, 우리네 살아있는 자손들에게 나이 어릴 때부터 하늘의 섭리에 맞는 인성(人性)교육을 위한 우리민족 고유에 매우 훌륭한 좋은 전통적 풍습이라는 거예요.
서양의 문화에서는 돌아가신 자기 부모님이나 조상님에 대한 제사를 지내지 못하게 하는 일도 있다고 하는데, 예를들어 로마 교황청에서 발표하고 있듯이 매년 11월1일이 되면 새해가 새로 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매년 10월 말일이 되면 하늘나라에 있는 죽은 사람들의 영혼(靈魂)이 잠시동안 지상(地上)에 내려가 볼 수가 있도록 ‘하늘의 문’을 잠시 열어 주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때에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지상으로 내려와 각자 자기 가족들이 사는 집으로 찾아 오는 것이며, 죽은 사람들의 영혼이 마치 강시(僵尸)라든가 좀비, 드라큐라.... 같은 마귀의 모습으로 페스트, 흑사병, 폐결핵, 폐병.... 같은 몹쓸 역병들을 가지고 올 수도 있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죽은 사람의 영혼이 자기 집에 찾아오지 못하게 하고, 가족들을 전혀 알아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매년 10월말일 경이 되면 살아있는 온 가족들이 모두 다른 사람 모습의 탈인 가면(假面)을 쓰거나 또는 사람모습이 아닌 짐승모습의 탈(假裝)을 쓰고 집을 싹 비우고 나가서, 죽은 사람의 영혼(靈魂)이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게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인 척, 사람이 아닌 짐승인 척 하는 코스프레(假裝을 하여 다른 모습인 척하는 것)를 하면서 거리를 쏘 다니다가 남의 집에 들어가게 되면 그 집 주인이 얼른 나가게 하기 위하여 과자나 사탕을 성큼 내주는 것을 공짜로 받아 먹는 걸 기쁨으로 여겨 축제(祝祭)로 삼는 것이 할로윈 행사의 기원(起源)이라고 하니, 이러한 할로윈 행사에 대한 바탕의 기원이야말로 알고 보면 이처럼 참으로 차원이 다르게 샤머니즘(迷信) 스러운 것이잖아요?
사실 말이지만 “하늘의 문이 열리는 명절(名節)날” 이라고 하는 뜻의 ‘개천절(開天節:10월3일)’ 날은 오직 우리 한민족(韓民族)만이 가지고 있는 국경일(國慶日)의 명절날인 것이잖아요? 하지만 우리 한민족(韓民族)의 “하늘의 문이 열려서 밝아진다”고 하는 개천절(開天節) 명절날, 설 명절날, 추석명절날, 그리고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祭祀)날, 시제(時祭)날.... 등에는 자기 집 안의 안방에서 직계 자손들이 다 함께 모여 정성껏 제사(祭祀)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하면서 온갖 정성으로 자신들이 직접 장만하여 놓은 제물(祭物)을 가득 차려 놓고 설람, 온갖 정성으로 귀한 ‘손님’을 맞아들이듯이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신령(神靈)을 온 가족들이 모두 나와 도열하여 귀히 받들어 영접(迎接)해 모시고서 제사(祭祀)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하면서 평안(平安)하게 잘 지내고 있는 것이잖아요? 그리하여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祭祀)를 하늘에 고(告=알릴고)하면서 지내는 것을 일컬어 우리말로 “제사를 지낸다”라고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자기 직계 조상님의 제사(祭祀)와 시제(時祭)에 관하여 무턱대고 샤머니즘(迷信) 시(視)해서 배척하려고 들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제사(祭祀)에 대한 의미를 보다 깊게 반추(反芻)해서, 자기 직계 조상님의 제사와 시제 때에는 나이 어린 젊은 자녀와 가족과 함께 자기 자신이 직접 자기 자신에 조상님의 제사와 시제에 꼭 꼭 참석해 보면서 ‘우리 부모’ ‘우리 조상’ ‘우리 자손’ ‘우리 가족’ ‘우리 집....’ 등 우리민족 고유에 ‘우리’라는 말의 의미를 되새겨 본다면 그야말로 우리의 장래를 위하여 매우 뜻깊은 일이 될 수가 있는 것이겠지요? 그렇죠?
그러헌즉 매년 새롭게 지내는 자기 조상님의 제사(祭祀)와 시제(時祭) 행사에 꼭꼭 참석을 하셔서, 자신의 직계 조상님께 올리는 네 차례의 헌작례(獻爵禮)를 통하여 조상님들로부터 내려받는 그 네 가지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에 ‘하늘의 씨(씨앗,종자)’를 받아서 자기 몸과 마음속에 꼭꽂 잘 심어놓고 평소에 부지런히 이를 잘 가꾸고 길러 보셔요. 그러면 아주 좋은 천운과 천복을 받게 되실 것이에요.
제사를 받은 조상님께서는, 제사를 지내는 자기 직계 자손들에게 헌작례(獻爵禮)의 ‘술’을 통하여 ‘하늘의 술(術)’을 내려주시는 것인데, 우리말에서 ‘술’이라고 하는 말은, 신통한 효과의 ‘약술’, 일이 잘 이루어 지게 하는 ‘요술’, 무엇인가를 잘 만들어 내는 ‘기술’ 아름답고 드러나게 게 하는 ‘예술’.... 등의 말로써 “일이 ‘술술’ 잘 이루어지게 하고, 어려운 일도 ‘술술’ 잘 풀리게 한다는 뜻....”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술의 ‘술(術)’을 상징해서 돌아가신 조상님의 제사상에 ‘술’을 따라 올리고, 또 돌아가신 조상님께서 우리네 살아있는 자손들에게 ‘하늘의 술(術)’을 내려주신다는 뜻에서 상징적으로 ‘술’을 따라 올리는 것이지, 돌아가신 조상님께서 살아 생전에 알콜의 술(酒)만을 드셨기 때문에 ‘술’을 따라 올리는 뜻이 아니라는 거예요.
그러므로 제사상에 초헌례(初獻禮)의 첫 번째로 올리는 ‘술’ 잔을 통해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의 매사(每事)에서 사람을 대할 때에는 마치 자기 자신의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것과 같은 성실한 효행심(孝行心)과,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것과 같은 정중한 충성심(忠誠心)으로써 사람을 대하는 마음심(心)/자, ‘하늘의 마음씨’를 조상님으로부터 내려 받아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이를 평소에 부지런히 잘 가꾸고 기르게 되면, 이는 곧 아주 ‘신통(神通)한 효과의 약술(藥酒)’과 같은 효과의 것이 되어서 우리네 자손들의 인생에 병을 미리미리 예방해 주는 데에 아주 요긴하게 씌여지는 천복(天福)이 되어서 우리네 자손들에게 되돌아오게 된다는 것이에요.
그리하여 설날 추석날 같은 명절날처럼 좋은 날이라 할지라도, 마치 설날 추석날 조상님의 제사상에 딱 한잔의 술잔만을 올리듯이, 평소에는 아무리 좋고 기쁜 날이라 할지라도 딱 한잔의 술만 마셔야 되는 것이래요. 그래서 우리가 평소에 말을 할 때에도 “우리 술 한/잔/ 할까?” 라며 술을 딱 한/잔/만 마시자고 말을 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얼마만큼 큰 잔으로? 술항아리 만큼 큰 잔으로 딱 한잔?”
에이~ 잘 아심시롱. 그야 물론 제사상에 올리는 술잔의 크기만큼 차(茶)를 마시듯이 찻잔만큼 쬐끄만 잔으로 딱 한/잔/만 마셔야 된다는 뜻인 줄을 뻔히 잘 알고 있으심시롱.....
그러기에 설날 추석날에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일컬어 “차례(茶禮)를 지낸다” 라고 말하는 것이잖아용?
그리고 제사상에 아헌례(亞獻禮)의 두 번째로 올리는 ‘술’ 잔을 통해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의 매사(每事)에서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에는 마치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에서 하늘에 축문(祝文)을 읽어 올리듯이 매우 겸‘손’하고 공‘손’하게 말하되, 축문의 내용처럼 자기의 뜻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시하여 말할 수 있는 말씀언(言)/자 ‘하늘의 말씨’ 를 조상님으로부터 내려 받아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이를 평소에 부지런히 잘 가꾸고 기르게 되면, 이는 곧 우리네 살아있는 자‘손’들에게 복을 가져다 주는 ‘손’, ‘손님’처럼 아주 ‘신묘(神妙)한 요술(妖術)’같은 효과의 것이 되어서 어려운 일도 ‘술술’ 잘 풀려 성공하게 되는 천복(天福)이 되어 우리네 자손들에게 되돌아올 수도 있게 된다는 것이에요. 그러기에 우리말에서 “말이 씨가 된다”고 말하는 거라잖아요?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께서, 이처럼 제사상에 올리는 아헌례(亞獻禮)의 ‘술’을 통하여 우리네 살아있는 자‘손’(子孫)들에게 매사 상대방에게 말을 할 때에는 마치 제사를 지낼 때 축문(祝文)을 읽듯이, 겸‘손’(謙遜)과 공‘손’(恭遜)의 ‘손/’을 강조하고 있는 뜻은, 우리네 살아있는 사람의 복(福)은 겸‘손’과 공‘손’의 ‘손/’을 따라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말에서도 자기 자신에게 이익의 복(福)을 가져오게 해 주는 것을 일컬어 ‘손(手)/’이라 하며, 이 ‘손’에는 두 가지의 ‘손’이 있는데, 예를들어 옳은 일을 올바르게 잘 하는 ‘옳은손(右手)’과 일을 잘하지 못하여 서투른 ‘왼손(左手)’의 두 가지에 ‘손/’이 있는데, 이 두 가지의 손이 잘 협조하여 힘을 합해야만 복을 가져오는 힘이 쎄 진다는 거예요.
그리하여 우리말에서, 우리 가게에 이익의 복(福)을 가져다 주는 사람, 또는 우리의 사업에 이익의 복(福) 가져다 주는 사람을 일컬어 ‘손님’이라고 말하면서, 우리 가게에 또는 우리의 사업에 이익의 복을 가져다 주는 ‘손/님’이 왔을때에는 “왔을 때 잘 대접을 해 줘서 자꾸만 또 오게 해야 된다”고 하는 전통이 있는 것이잖아요?
그리고 제사상에 종헌례(終獻禮)의 세 번째로 올리는 ‘술’ 잔을 통해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의 매사(每事)에서 일(事)을 해 놓을 때에는 마치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에 올릴 제물(祭物)을 작만(作滿)하여 놓듯이 매우 정성스럽고 부족되지 않게 풍족히 해 놓는 공사공(工)/자, 장인공(工)/자 ‘하늘의 솜씨’ 를 조상님으로부터 내려 받아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이를 평소에 부지런히 정성스럽게 잘 가꾸고 기르게 되면, 이는 곧 아주 ‘신기(神技)한 기술(技術)’과 같은 효과의 것이 되어서 평생동안 잘 먹고 살 수 있는 천복(天福)이 되어 우리네 자손들에게 되돌아올 수가 있게 된다는 것이어요.
그리고 제사상에 첨작례(添酌禮)의 네 번째로 올리는 첨작의 ‘술’ 잔을 통해서는, 우리네 자손들이 평소 매사(每事)를 대하는 몸가짐에서는 마치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를 지내어 하늘에 고(告=알릴고)할 때에 예복(禮服)을 입듯이 항상 깨끗하고 단정한 몸가짐에 용모(容貌)의 얼굴용(容)/자, ‘하늘의 맵씨’를 조상님으로부터 내려받아 자기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이를 평소에 부지런히 정성스럽게 잘 가꾸고 기르게 되면 이는 곧 아주 ‘신령(神靈)한 예술(藝術)’과 같은 효과의 것이 되어서, 마치 제사(祭祀) 때에 입는 단정한 예복으로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몸을 빈틈없이 잘 감싸듯이,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신령가호(神靈加護)가 우리네 자손들의 몸을 빈틈없이 잘 보호해 주는 천복(天福)이 되어 우리네 자손들에게 되돌아오게 되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예술의 술(術)’은 사람이 용(龍)이 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사람은 결국 이러한 예(禮)로써 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허니 돌아가신 직계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를 통하여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으로부터 이 네 가지에 ‘하늘의 씨’ 를 직접 내려 받아 자신의 몸과 마음속에 꼭꼭 잘 심어놓고 설람, 평소에도 아주 부지런히 정성껏 이를 항상 잘 가꾸고 길러서 보다 크고 좋은 결과에 천운(天運)과 천복(天福)과 천술(天術)에 ‘하늘의 술’을 많이많이 받게 되시기를 바랍니다.
“이봐요 아라리오!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祭祀床)에 술을 따라 올리는 헌작례(獻爵禮)를 통하여 우리네 자손들이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의 신령(神靈)으로부터 우리네 자손들이 그러한 ‘하늘의 술’을 받게 된다고 하는 그런 내용의 글이 어떤 책에 나와 있는 것인지 출전(出典)의 책(冊)을 밝히시오 출전(出典)을!”
워매- 클났넹. 책에는 읎는디.... 출전(出典)유? 그런 말이 써 있는 출전의 책은 읎어유! 그러니 출전의 책(冊) 만을 믿던지 말던지, 고추먹고 맴맴, 댐배먹고 맴맴, 맴대루 허셔유!
다만, 옛날옛날 아주 옛날에, 집안의 윗 여인(女人)인 할머니께서 집안에 새 여인(女人)의 새아기(손주며느리)가 들어오게 되면 마치 옛날얘기 전설얘기를 해 주듯이 조곤조곤 소곤소근 말로써 가르쳐 알려 주셨다고 하는 여사서(女四書)의 “안사람(女人)에게 가르쳐 둔다”고 하는 뜻에 ‘내훈(內訓)’ 책 ‘봉제사(奉祭祀)’ 편의 가인사덕(家人四德:家人=집사람=안사람=女人→그래서 ‘여인사덕(女人四德)’이라고 알려져 있음)에 전설(傳說)처럼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이야기였는데, 요즘 나오는 번역본의 책들에는 이러한 내용들이 허무맹랑한 미신(迷信)취급을 당하여 몽땅 다 빠져버려서 요즘 나오는 책들에는 그러한 내용들이 하나도 나와 있지 않고, 다만 믿을 만한 사람들에게만 말로써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하늘의 술’에 대한 전설(傳說)의 이야기라고 합니다.
그러헌즉 이러한 전설(傳說)의 내용을 믿고서 조상님의 제사를 지낸 후에는, 한 밤중이라 하더라도 “하늘나라에 계신 부모님 조상님의 신령(神靈)께서 내려주시는 그 천운(天運)에 ‘하늘의 운’과, 천복(天福)에 ‘하늘의 복’과, 천술(天術)에 ‘하늘의 술’은 제사음식이 채 식기도 전에 얼른 받아서 몸소 자기 자신이 직접 먹어야 되는 것” 이라면서 제사를 지낸 후에 곧바로 반드시 음복(飮福)을 하는 그 이유를 이제는 아시겠지요?
그러기에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 자신의 운(天運)과 복(天福)과 술{天術)은 항상 자기 자신이 직접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하잖아요? 그러헌즉 자기 자신의 부모님 조상님에게 스스로 행(行)하여 올리는 효도와 제사의 효·제(孝·祭)는 결국 자기 자신이 스스로 천운(天運), 천복(天福), 천술(天術)에 가 닿게 될 수 있는 첫 계단이 되어지는 것이에요.
이런 이야기는 그냥 얼핏 듣기에는 순 엉터리도 없는 샤머니즘에 미신(迷信)같은 이야기이지만 절대로 그냥 무시해 버려서는 아니될 이야기이니깐 두루, 돌아가신 직계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상에 올리는 헌작례(獻爵禮)의 술잔을 통하여 자기 자신이 직접 내려받는 ‘하늘의 씨(씨앗,종자)’와 ‘하늘의 술(術)’에 대한 하늘의 섭리(攝理)를 아주 자-알 명심을 허셔서 정성껏 잘 실천을 해 보셔요.
특히 무엇이든 현재 사업 경영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든가, 공직(公職)에 몸담고 있는 사람, 또는 큰 뜻을 품고 있는 사람은 이와 같이 하늘나라에 계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祭祀)를 지내면서 하늘에 제사를 고(告=알릴고)하는 제례(祭禮) 예절(禮節)의 각 마디마디가 품고 있는 그 깊은 의미의 뜻을 더욱 깊이 깨달아 아시고 설람, 하늘나라에 계신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祭祀)를 통하여 자기 자신의 뜻이 하늘에까지 가급적 많이많이 가 닿게 고(告=알릴고)하면서 정성들여 열심히 노력을 하는게 하늘의 섭리(攝理)상 더욱 좋다는 거예요.
우리말에서 “하늘의 섭리(攝理)” 라고 할 때의 ‘섭(攝)’자는 하늘의 소리를 듣는 귀(耳)가 맨 위에 하나 더 있어서 귀이(耳)자가 3개인 것이잖아요? 사람은 소리를 듣는 귀가 좌,우 2개 뿐인 것인데, 현재 사업을 경영하고 있거나, 공직에 몸담고 있거나, 큰 뜻을 품고 있는 사람은 특히 더욱더 하늘의 섭리(攝理)에 소리를 잘 듣는 귀가 자기의 머리 꼭대기 위에 하나 더 있어야 된다는 뜻이라고 하네요.
그러헌즉 돌아가신 직계 부모님 조상님의 제사를 지내는 일은, 하늘에 계신 부모님 조상님을 통하여 하늘나라에 있는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에 ‘하늘의 씨’와, 하늘나라에 있는 천술{天術)에 ‘하늘의 술’을 직계 자손으로서 친히 내려받기 위하여 하늘의 섭리(攝理)에 소리를 듣고자 하는 행사인 것이므로, 제사를 통하여 돌아가신 부모님 조상님께서 우리네 자손들에게 내려주시는 하늘의 섭리(攝理)에 소리를 잘 듣고 정성껏 잘 실천을 하시면 아주 좋은 천운(天運)과 천복(天福)과 천술(天術)의 ‘술(術)’을 많이많이 받게 될 수가 있을 거래요. 아셨죠?
이러한 점들을 잘 참고하셔서 부디 자기 스스로가 좋은 마음으로의 효도(孝道)와 제사(祭祀)로써 부디 좋은 천운(天運)과 천복(天福)에 ‘하늘의 씨(씨앗,종자), 그리고 아주 좋은 천국{天國)에 ‘하늘의 술(天術)’을 많이많이 받게 되시기를 바랍니다.
***
2022. 12. 20.
아라리오 홍 사 권 올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