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의 역학칼럼 - 두꺼비 상은 재물과 발복의 상징
두꺼비상은 재물과 발복의 상징
관상(觀相)을 보는 방법 중에는 동물비유법(動物比喩法)이 있다. 그 사람의 얼굴과 행동양식의 특징을 잡아낸 다음에 이들 동물로 환원시켜 보는 관상법이다. 그래서 열두 띠도 모두 동물로 나타나 있는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차피 인간세계는 ‘동물의 왕국’이 아닌가. 동물비유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좋은 대상은 정치인과 기업 CEO들이다.
정치인과 CEO는 소시민과 달리 삶의 용적(容積)과 활동 영역이 넓고 분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스라소니의 상(相)이다. 스라소니는 맹수에 속하는 동물이다. 주로 북만주에서 서식하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인 스라소니는 동작이 빠르고 민첩해서 난타전에는 최고의 명수이다. 각본 없이 순간적으로 벌리는 난타전(亂打戰)에는 다른 동물의 추종을 불허한다. 조폭의 오야봉(두목) 중에 스라소니상을 한 사람이 많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미묘하고 애매한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정치적 입지 확보에 동물적 후각을 발동시킨다. 노무현 대통령이 지지층의 반대를 무릅쓰고 타결시킨 한미 FTA 협상도 그런 맥락에서 볼 수 있다. 특히 관상에 금기(金氣)가 많으면 자신이 불리하거나 수세에 몰릴 때는 공격적인 기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대권도전을 포기한 고건 전 총리의 관상은 특이하다. 그는 기린의 상(相)이다.
기린은 키가 커서 높은 나무에 열린 나뭇잎과 열매를 주로 먹는다. 청아(淸雅)하고 고고(孤高)한 동물이다. 땅바닥에 떨어진 것을 주워 먹는 스타일은 아니다. 정치는 때에 따라서는 땅바닥에 떨어진 찹쌀떡도 주워 먹어야 하는데 기린이 어떻게 땅에 떨어진 것을 주어 먹는단 말인가. 고건 전 총리가 정치활동을 접은 것도 이런 맥락에서 풀이할 수 있다.
현. 전직 정치인 중에 호랑이나 사자상과 같은 맹수의 상을 지닌 분도 있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의 비상대책위의 문희상 대표가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대운이 용신(用神)의 운으로 대길운(大吉運)이 아니면 크게 빛을 보지 못한다.
사자나 호랑이와 같은 맹수의 상은 개인적인 사업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대운이 양호하고 사주의 구성이 식신생재 하거나 재왕(財旺)한 사주가 아니면 개인 사업에는 거의 실패한다.
기업인 가운데 흥미로운 관상이 있다. 바로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이다. 이건희 회장은 두꺼비의 상(蟾相 : 섬상)이다. 우리나라 할머니들이 며느리에게 손주를 기대하면서 하던 말이 “떡두꺼비 같은 아들 하나 낳아라”이다. 두꺼비는 재물과 발복(發福)의 상징이다.
삼성은 창업자인 이병철 보다 이건희 대(代)에 들어와서 엄청나게 커진 것이다. 선대(先代)에 묘(墓)를 금섬복지(金蟾伏地) 명당에다 썼다고 전해지고 있다.
금섬복지(金蟾伏地)란 금두꺼비가 엎드려 있다는 뜻이다. 두꺼비의 특징은 눈도 깜박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다가 날아가는 파리를 낚아 채 먹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운기는 침착하고 온순한 성격이면서도 의지가 굳어서 끈기있는 노력으로서 재물을 얻고 성공한다.
서민적이고 원만한 처신을 하여 인심을 얻으며 가정이 화목하고 자손의 영화가 있다. 이건희 회장은 본인이 외부에 자기를 노출하면서 활발하게 돌아다니는 스타일도 아니다. 가만히 있는 것 같으면서도 할 일은 다한다. 쓸데없는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는다. 두꺼비는 정중동(靜中動)의 리더쉽을 상징한다.
두꺼비상(蟾相)의 생김새는 얼굴에 살이 더덕더덕하게 보이고 살결 또한 검은 편인데가 주근깨가 있기도 하다. 딱부리눈이고 입모습이 투박해서 마치 뚜거비를 방불케 하여 능청스러울 만큼 넉넉해 보이는 모양새이다. 직업은 회사 사무직이나 공무원은 맞지 않고 실업가나 상업으로 부자가 될 수 있다.
수(水) 토(土)에 해당하는 곳이 알맞다. 두꺼비눈(蟾眼)은 눈망울이 둥글고 튀어나와 있는 모양새이다. 이러한 눈은 모든 일을 신중하게 때를 기다리며 머뭇거리는 조심성 많은 성격으로 실패없이 재물을 모으고 살지만 그 영화와 수명(壽命)이 말년까지 이르지 못하는 상이다. (명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