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13: 12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 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
성령의 초자연적 은사들은 진리의 지식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고 부분적이고 불명료하였다. 그것은 마치 놋쇠로 만든 거울로 보는 것같이 희미했다. 그러나 ‘온전한 것’이 올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듯이 하나님의 뜻에 관해 온전하게, 충족하게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신약성경 27권의 완성된 계시가 초자연적 은사들보다 온전하고 명확하고 충족한 말씀일 것을 암시하였다고 본다. 오늘날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완성된 특별계시이며 그의 명료하고 충족한 말씀이다.
1]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옛날의 거울은 사람의 얼굴을 희미하게 나타냈다. 이 말씀은, 존재(存在)에 있어서 확실하나 그 정체(正體)는 전적(全的)으로 알기 어려울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밤에 하늘을 보면 별들이 많이 보이는데 어떤 별들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뚜렷이 보이지 않는다. 그것이 "희미"하다는 것이다. 내세가 거울로 보듯이 "희미"한 이유는, 우리가 하나님 말씀에 의하여 내세를 깨닫고도 또 다시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약 1: 23-24에 말하기를 "누구든지 말씀을 듣고 행하지 아니하면 그는 거울로 자기의 생긴 얼굴을 보는 사람과 같아서 제 자신을 보고 가서 그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곧 잊어버리거니와"라고 하였다.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을 잊어버리는데 건망증(健忘症)이 있다. 사람의 마음은 더러운 못과 같다. 더러운 못에는 고기는 다 죽어 버리고 개구리만 성한다. 사람은 하나님 말씀을 잊어버림에 있어서 셀바리우스(Cervurius)란 짐승과 같이 건망증이 있다. 셀바리우스는, 무엇을 먹다가도 머리를 뒤로 돌이키면 자기 앞에 놓은 식물(食物)을 잊어버리고 새로운 식물을 찾기 위하여 달아난다고 한다.
사람이 하나님 말씀에 대하여 건망증이 있는 원인은 하나님 말씀과 반대되는 죄악과 이 세상 생명을 좋아하는 애욕(愛慾)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도는 하나님 말씀을 잊어버리지 않기를 힘써야 된다. 그는 "갓난 아이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여야 될 것이다.
* 벧전 2: 2 - 갓난 아기들 같이 순전하고 신령한 젖을 사모하라. 이는 그로 말미암아 너희로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게 하려 함이라.
그 이유는 그는 희미하지만 참된 내세 지식을 가졌기 때문이다. 성도는 캄캄한 때에 더욱 빛을 사모하여야 될 자이다. 잎 속에 감추인 꽃을 더욱 보고 싶어함과 같은 심리(心理)로, 그는 희미한 중에 가리운 내세를 사모하여 들어가고자 하여 자기를 깨끗하게 하여야 된다.
요일 3: 2-3에 말하기를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지금은 하나님의 자녀라. 장래에 어떻게 될지는 아직 나타나지 아니하였으나 그가 나타나시면 우리가 그와 같을 줄을 아는 것은 그의 참모습 그대로 볼 것이기 때문이니 주를 향하여 이 소망을 가진 자마다 그의 깨끗하심과 같이 자기를 깨끗하게 하느니라"고 하였다.
* 고후 3: 18 -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 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그와 같은 형상으로 변화하여 영광에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
2]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조금 맛만 보고 전체는 소유되어지지 않는 그 심리는 얼마나 안타까운 심리일까? 감옥에 갇힌 사람이 그 좁은 창문을 통하여 바깥 세계를 내다볼 때에 그 마음이 얼마나 바깥 세계를 사모하게 될까?
진실한 성도들은 모두 다 은혜를 사모하는 자들이다.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9-10절의 해석 참조.) 우리가 이점에 있어서 기억하여야 될 일이 있다. 그것은 현세에 우리의 아는 것이 부분적인 것이지만 믿기에 부족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 본문에 바울이 "부분적으로 아는것"의 가치(價値)를 부인한 것은 아니다. 주석가 슐라테르(A.Schlatter)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곧, 현세에 우리가 아는 바를 바울이 무가치하고 무용하다고 말함이 아니다. 그것이 멸절된다는 것뿐이다. 그 이유는 그것이 완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Was wir jetzt erkennen, heisst Paulus nicht und unnutz; es erfallt aber der Verganglichkeit, weil es nie etwas ganzes und vollendetes ist.-Erlauterungen zum Neuen Testament, 1909, Zweiter Band p.117).
우리가 정신만 차리면, 이런 부분적인 진리 지식에 의하여도 내세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부분은 전체를 증거하는 법이다. 이 점에 있어서 예화를 하나 들면, 이태리 사람 콜룸부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역사가 타당할 것같다. 그가 1492년 8월 3일 아침 여덟시에 88명을 실은 세배(Sante Maria,Pinta, Nina)를 가지고 대서양(大西洋)을 건너가던 중 8월 17일엔 선원들이 콜롬부스를 원망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그들을 안정시켜 항해를 계속하던 중, 10월 7일에 철물(鐵物)에 붙였던 작대기 한 개와 판자 조각 한개와 또 나뭇가지를 물에서 건졌다. 그것이 그들에게 큰 소망을 주었다. 그들은 그것으로 인하여 육지가 가까운 줄 알아 힘을 얻고 기뻐하였다.
과연 그날 밤 11시에 콜롬부스는 멀리 있는 불빛을 보았고, 12일 오전 2시에 그들은 신대륙(新大陸)을 발견하였다. 그때에는 전에 콜럼부스의 발 밑에 엎드리어 자복하며 울면서 용서를 빌었다. 그리고 그때에 그들은 다 흙에 입맞추고 하나님께 감사하였다고 한다(Encyclopaedia Britanica VI, 742-743).
그러면 우리는 이들의 여행에 있어서 부분적인 지식, 곧 나무 조각 같은 것을 보고서 전체(곧 大陸)의 존재를 확신한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우리는 내세에 대한 현재 우리의 지식이 희미하다고 하여, 내세에 대한 확신을 못 가질 수는 없다.